brunch

매거진 회사일지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름비 Oct 21. 2020

역사학적 관점의 데이터 분석

사료와 생각

모든 학문들의 궁극적인 목표가 그렇듯 역사학 또한 단순히 암기가 아닌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다. 하지만 다른 학문들과 달리 특정 현상 및 조건에 대해서 여러 번 실험을 할 수 없는 역사학은 어떻게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나아갈까? 그리고 그것이 데이터 분석과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우리는 왜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라는 책을 보면 우리가 역사, 즉 기록된 문서 및 데이터를 근거로 '~이럴 것이다'라고 생각하여 작성한 과거에 대한 해석 및 이야기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어떤 것의 역사이던 그것의 과거에 대해 주류로 여기어지는 책, 혹은 의견이 있다. 우리는 거기서부터 시작하여 해당 의견이 근거로 하는 문서들을 검토하고 그 문서에 대한 해당 의견의 해석이 올바른지 확인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그 문서가 만들어진 시기의 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짜여 있는지, 그리고 그 문서의 신뢰성을 확인한다.


그렇게 해당 문서, 즉 데이터가 만들어진 시점의 배경과 맥락을 근거로 해당 데이터에 대해서 새로운 시각이나 의견을 만들어 내는 것에서부터 역사에 대한 공부가 시작된다.


즉, 역사는 과거의 데이터와 사회적 배경지식을 근거로 한 가설의 생산과 검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디서 들어본 것 같지 않은가? 데이터의 꽃은 AB test와 머신러닝 알고리즘이지만, 사실 그 모든 것들의 기초는 이미 일어난 일들에서 파생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 및 결정이다.


사실 역사와 마찬가지로 정말로 근래에 일어난 일이 아니라면 왜 특정 시점에 데이터가 특정한 패턴을 보이는지, 즉 그 시기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기 위해서는 1차 사료인 데이터 트렌드에 더해서 그때 일어난 프로젝트 및 이슈  문서에 해당하는 2차 사료들까지 찾아봐야 한다. 물론 그런 사료들이 없어서 직접 물어보며 다녀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데이터 분석가들은 왜 과거의 일들을 파 해치고 다시 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야 할까?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것은 한 주체의 과거 기록들을 해석하여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것과 같다. 문제는 특정 시점의 특정 데이터를 어떤 맥락, 즉 이야기에  근거하여 해석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면 단순 오류로 여기거나 옳지 않은 해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로 표현되는 회사들의 과거를 잘 해석하기 위해서는 그 회사의 과거를 철저히 분석하고 그 분석을 결과로 회사의 역사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모든 데이터 분석가들은 역사학자 및 사회학자, 그리고 투자자의 관점으로 회사를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는 사람 이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초기 스타트업의 서비스 피봇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