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빠 박세희 Aug 14. 2023

이 책을 읽으니 일기 숙제의 문제점이 보여요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초1 아들은 방학이라 제주에 와 있다. 방학을 맞아 2주 정도 제주에서 보내고 있다. 덕분에 나도 지난 주말에 이어 이번 주말에도 제주에서 보내고 있다.


여름방학 하면? 역시 방학 숙제다. 초1의 여름방학 숙제가 뭐 특별할 건 없다. 대표적인 게 그림일기 숙제 정도이고, 그마저도 주1회만 하면 된다.


1주에 그림일기 1개. 아주 가벼운 수준이지만, 이게 밀린다. 부모가 챙겨야 하는데, 챙기는 방법이 "OO아 그림일기 써야지~" 하고 말하는 것 뿐이니 아이 입장에선 잔소리로 들릴 수 밖에.


흰 종이를 앞에 두고 눈만 꿈뻑이고 앉아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보면 속이 터진다. 후딱 쓰고 자면 좋을텐데 이게 뭐가 어렵다고 이렇게 시간을 끄나.


하기사 나도 여름방학 마지막 날에 밀린 일기를 쓰느라 죽을 상을 하고 책상에 앉아 있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일기 쓰기 습관은 참 들이기가 어렵다.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일기 쓰기 숙제를 내주는 목적은 무엇일까. 한글 공부? 작문 공부? 나는 좋은 습관 들이기라고 생각한다. 하루를 기록하고 회고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을 들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습관 만들기 관점에서 아이에게 주 1회 그림 일기를 쓰라고 하는 것은 상당히 무리한 요구이다.


첫째, 습관을 만드려면 매일 해야 한다. 시작하는 단계라면 오히려 주 1회가 아니라 매일 하는 게 맞다. 자주 많이 해봐야 습관이 된다.


둘째, 습관을 만드려면 조금씩 해야 한다. 지금의 숙제는 아이에게 너무 어렵다. 한 줄 일기 쓰기 정도로 시작했어야 적절했을 것이다.


셋째, 습관을 만드려면 만족이 있어야 한다. 일기를 쓰고, 아이는 어떤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까. 현재로선 전혀 없어 보인다.


결국 나는 오늘 아이 옆에서 같이 그림 일기를 썼다. 분명 아이도 하고픈 말이 많은데, 그걸 글로 옮기는 건 힘겨워 하는 게 보였다.


그럼 우선 음성 일기를 먼저 써볼까. 일기 내용을 편하게 말로 녹음하고, 이 녹음 파일을 들으면서 글로 써 보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다.


짧게라도 매일 스스로 기록을 남기는 습관을 가졌으면 한다. 그게 삶에 만족감을 준다는 걸 스스로 깨달으려면 얼마나 더 기다리면 될까.



매거진의 이전글 고동진, 일이란 무엇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