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20일 서울신문 <황서미의 시청각 교실>
늘 앉아서 작업을 하는 내 허리가 얼마 전부터 아우성친다. 병원에 갔더니 링거부터 먼저 맞아보라는 의사 선생님의 말씀에 한 시간가량 환자가 되어 누워 있었다. 조용한 주사실… 옆자리에 같은 링거를 달고 누워 계신 할머니가 전화하는 소리가 커튼 뒤로 넘어온다.
“쌀 안쳐놔요. 5시면 밥 안쳐 놓으라고.”
할아버지는 약간의 난청이 있으신지 휴대폰 밖으로 새는 소리가 우렁차다.
“뭐라고?”
“밥 안치라고.”
할머니는 둥글둥글 웃으며 구슬리듯 재차 부탁한다.
“좀 늦을 것 같아. 가서 바로 저녁 먹게 5시면 밥 안쳐놔 줘요.”
몇 번의 대화가 오가고 나서 할아버지가 밥을 지으시기로 했다.
“알았네.”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쏙쏙 들어오는 이 대화를 빌어 평소에 자주 부탁하는 일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었다.
“쌀 자기가 좀 씻으면 되지. 그걸… 지겹다, 지겨워.”
전화를 끊자마자 좀 전의 웃음소리는 싹 가신 채 투덜거리며 혼잣말을 하는 할머니. ‘지겹다’라는 말이 묵직하게 내게 펀치를 날린다. 하루에 집안일을 하는 시간을 계산해보았다. 평균 세 시간 정도다. 집을 청소하고, 세탁기와 식기 세척기를 돌리고, 간단한 식사 준비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하루 평균 가사노동 시간은 어떻게 될까. 2019년 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자의 평일 가사노동 시간은 3시간 10분이다. 남자는 48분이었다. 본 조사 결과가 나오기 5년 전보다 9분이 늘었지만, 여성의 4분의 1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여전히 남성들에게 살림은 아내를 ‘도와주는’ 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방증이다.
아마도 부부싸움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 가사의 분담일 것이다. 아내들은 살림을 영 자기 일처럼 여기지 않고 설렁설렁 해치우는 남편들에 불만이 많을 것이다. 반대로 남편들은 이렇게 시간 내서 해주는데 왜 잔소리를 하냐는 것일 테고 말이다. 물론 이 반대인 집들도 많이 봤지만, 여기서는 ‘평균적’인 모습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얼마 전 어떤 분과 요리하는 남자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맞벌이 가정도 많아서 직접 밥상을 준비하는 남편들이 점점 는다고 말이다. 실제로 sns에 훌륭한 솜씨로 음식을 만들어 올린 것을 보면 부럽기 이전에 놀라서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더니 웃으며 말씀하신다.
- 그거야 매일 하는 일이 아니니까 올리는 거죠.
사실 통계까지 들먹여가며 이 글을 쓰는 나 역시도 남의 처지를 말할 때는 아니다.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일주일에 거의 1시간도 안 된다. 처음에는 느리고 지저분한 솜씨를 지켜보다가 차라리 내가 하는 것이 속 편하겠다는 생각에 도맡은 후 얻은 참담한 결과다. 이런 전근대적인 가사 분담에 대한 고정관념을 타도하자고 분기탱천해보지만, 나는 오늘 저녁에도 또 밥을 안칠 것이다. 그러나, 오늘도 남녀 가사 시간은 다만 몇 분씩이라도 점점 좁혀지고 있다. 불가능할 것을 알면서도 소망한다. 자식들의 세대는 하루 세 시간여의 가사 노동 시간을 행복하게, 그리고 정당하게 기꺼이 반으로 나눌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