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효석 Mar 26. 2019

사업으로 돈 버는 방법에 관하여

주변에 회사 그만두고 창업 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내용이다. 네 개 다 해본 창업자로서 실전 인사이트 공유한다.


1. 급여 생활자
- 장점은 그나마 안정적인 급여를 꾸준히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으나 공공기관이 아닌 이상 50대 초반이면 명퇴를 해야 하는 시대이니 과연 이것을 장점으로 볼 수 있을지는 이제는 미지수다. 그래서 지금은 대학에서 진로 교육을 하면 20명중 19명이 공기업을 간다고 한다. 적어도 정년은 보장되고 연금도 있기 때문이다.
- 가장 큰 단점은 박봉이다. 그야말로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비용만 번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보면 그래서 급여를 모아 저축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라고 이야기 한다. 
- 무엇보다도 월 300만원씩 꼬박 10년을 모아도 서울시내에 중형평수 아파트 하나 구입하지 못한다. 월200을 꼬박 모은다면 은퇴할 때가 되어서야 벽에 맘놓고 못질 할 수 있는 내 집 구하는거다. 그 이후 남은 50년 가까운 생애는 다시 먹고 살 고민해야하고 말이다.  


2. 프리랜서
- 프리랜서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래도 시간의 유연성이 아닐까 한다. 사실 이게 엄청난 이점이다. 부자들이 돈을 벌고 나면 가장 하고 싶어하는 일은 시스템이 돈을 벌게 하고 자신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여유있게 사는거다. 즉, 시간을 사기 위해 돈을 버는 거다. 
물론 일에 치이거나 욕심이 많으면 워커홀릭이 되기 싶다. 하지만 큰 욕심없이 한다면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간섭없이 일해도 급여소득 수준이나 그 이상으로 버는 것이 가능하다.
- 단점은 수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시스템이 돈을 버는 구조를 만들지 않는 이상 거의 모든 프리랜서는 자신의 노동력을 시간으로 파는 구조다. 하루에 8시간이나 10시간을 일할 수는 있지만 아무리 해도 하루를 25시간으로 쓸 수는 없다. 보통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면 3개월 이내에 번아웃이 오게 된다.
그런 이유로 자신의 일하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페이가 적정 비용이 있기 때문에 매출에도 한계선이 있다.
- 주변에서 보고 경험한 걸 대략 이야기 해보자면, 연봉 1억 정도 되면 프리랜서 상위 5% 안에 든다고 본다. 그래봐야 세금떼면 월 660만원이다. 성공한 프리랜서의 상징이기도 한 "월천"은 연봉으로 약 1억7천인데 이정도면 상위 1% 정도이지 않을까 한다. 개인적으로 보았을때 프리랜서로 자기 분야에서 매우 높은 명망을 가지고 있다면 벌 수 있는 상한치는 3~4억 정도라고 본다.


3. 개인사업자
- 프리랜서로는 수익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시간을 초월하여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시간이 아닌 시스템이 일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 시스템이란 IT를 이용한 자동화 기술일 수도 있지만 보통은 개인이 아닌 조직을 의미하기도 한다. '프리랜서'와 '1인 기업'의 차이도 결국 혼자서 일하지만 시스템이 존재하느냐 아니냐의 차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 직원을 두게 되면 매출은 그에 비례해서 커져야 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굉장히 어렵다. 그래서 내가 보통 조언하기는, 연봉 1~2억 수준을 목표로 한다면 차라리 프리랜서나 1인기업이 낫다고 한다. 개인사업자로 1~2명을 직원으로 두고 그 매출을 내는 것이 프리랜서로 하는 것보다 더 어렵기 때문이다. (2명의 직원 인건비+운영비를 빼고 내가 월천을 가져가려면 매출이 월3~4천 정도는 되어야 한다)
- 그러나 일단 시스템이 갖추어지게 되면 자신의 시간을 다 갈아넣지 않고도 돈이 들어오는 궁극의 마법이 펼쳐지기 시작된다. 또한 개인 사업자의 가장 큰 장점은 이익 잉여금을 자신이 자유롭게 가져가는데 어려움이 없다는 점이다. 사실 다른 이유 다 빼고 이거 때문에 개인 사업자 하는거다.
- 가장 큰 단점은, 조달이나 입찰 시장은 기본 조건이 법인이다. 공공이나 대기업에 비딩하는 비즈니스라면 개인사업자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커머스와 같은 B2C에 적합하다.


4. 법인사업자
- 처음 사업을 하는 분이 법인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람마다 의견은 다르지만 나는 반대하는 편이다. 우선 4대 보험 및 기장료 등으로만 일단 월 50정도 고정으로 나간다고 깔아 놓아야 한다. 그리고 각종 공과금 및 회계처리에 굉장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 총무/경리 업무만 보는 전담 인력이 하나 있어야 할 정도다. 만약 나라장터나 입찰사업을 타겟으로 하는 법인이라면 제안, 계약, 정산 인력만 두세명은 기본으로 두어야 한다. 
- 법인의 가장 큰 한계점은 법인으로 설립하는 순간 회사의 모든 자산은 회사의 것이지 대표자와는 상관 없는 돈이라는 거다. 내가 만든 회사지만 나 역시 법인에서 월급을 받는 급여 생활자가 되는 것이다. 회사 생활이 싫어서 창업을 했는데 하고나니 다시 급여 생활자가 되어 인지부조화 온 분들 더러 보았다.
- 물론 방법은 있다. 급여를 올리거나 상여를 받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적정선이라는게 있다. 회사 매출이 10억인데 대표가 3~4억씩 가져가면 배임이다. 성공적인 프리랜서처럼 3~4억 정도를 받아가려면 적어도 최소한 50~100억 정도는 되도 눈치 보인다.
- 그리고 자신이 지분 30%를 가지고 있으면 매월 수익의 30%를 따박따박 가져가는거라고 생각하는 분들 굉장히 많은데 그런거 없다. 지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법인의 주식을 매매할때만 수익화가 되는데 기업매각을 하거나 상장을 통해 지분만큼의 주식을 팔지 않는 이상은 배당을 통해 주식수에 비례하여 배당금을 받는 이상의 수익은 없다. 통장에 찍히기 전까지는 사이버머니다.


요약하자면, 자신은 사업이 체질이 안맞는다는 분은 직장 다니시면서 재테크를 하시는게 좋다. 자유롭게 하고 싶은 일 하시면서 직장인 보다는 조금 여유로운 생활 하시고 싶은 분은 프리랜서를 하시라. 몇억 정도 이상 꽤 많은 수익을 벌고자 하면 개인 사업자를 먼저 추천한다. 그런데 본인의 야망이 커서 수십억, 수백억, 수천억 회사를 만들고 싶다면 그건 법인이 아니면 불가능하다. 하지만 목표 수익액과 자유도는 반비례한다.


위 네 개를 다 해본 입장에서 내리는 주관적인 추천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