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준란 May 14. 2018

장국영의 <패왕별희>

팟캐스트 <차이나는무비 플러스>  



돌아온 그대, 장국영  돌아온 그대, 장국영  



돌아온 그대, 장국영! 

안녕하세요! 오늘은 천카이거 감독의 수작이자 장국영의 대표작인 <패왕별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초나라의 패왕과 우희의 사랑을 뜻하는 패왕별희. 중국에서는 독단적인 사람을 지칭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는데요. 영화 <패왕별희>의 역사적 배경과 영화에 대한 출연진들의 감상을 만나보겠습니다.                                                  

                                                                                                                                                                                                                                                                                                                                                               

                                                                                                                                                                                                                                                                  

꿈꾸미는 패왕별희와 연관된 역사적 배경에 관해 이야기 했습니다. 글자 그대로 뜻을 풀면 패왕별희는 ‘항왕과 우희의 이별’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초나라의 패왕인 항우와 그의 애첩 우희가 헤어지는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는 것이죠. 진나라 몰락 이후 초나라의 패왕과 한나라의 유방이 패권을 위해 대치하던 시절, 군사력의 측면에서 초나라의 패왕은 한나라에 우위를 점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하강의 결전에서 전세는 한나라로 기울고 초나라는 크나큰 위기를 맞게 됩니다. 바로 이 위기의 순간에 항우의 첩 우희는 자결을 하고 항우 역시 뒤따라 목숨을 끊게 되지요.                        

                     

     

                                                                                                                                                                                                                                                                                   

역사는 대부분 승자의 이야기만을 기록한다고 하지만 항우와 우희의 비극적 사랑 이야기는 후에 중국의 대표적 경극 작품으로도 또한 우리가 지금 다루고 있는 천카이거 감독의 영화로도 재탄생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천카이거 감독의 눈으로 재탄생한 이야기, 영화 <패왕별희>에서 진행자들이 꼽은 <차이나는 한 장면>은 무엇일까요?                

                                  

                                                                                                                                                                                                                                                     

꿈꾸미는 두지의 엄마가 어린 두지의 손가락을 자르는 장면을 꼽았습니다. 손짓의 표현이 중요한 경극의 특성상 육손으로 태어난 두지는 경극 배우가 될 수 없었는데요. 두지의 엄마는 아들을 경극학교에 보내기 위해 아들의 여섯 번째 손가락을 자르기로 마음먹습니다. 이 장면은 ‘거세의 상징’이라고 얘기되기도 하는데요. 이후에 실제로 두지가 ‘데이’ 역을 맡아 평생 여성의 역할을 하며 살아간다는 점에서 이러한 해석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습니다.                                  

                

                                                                                                                                                                             책사가 뽑은 한 장면은 데이와 샬루의 어긋난 감정이 드러나는 대화 장면입니다. 두지는 ‘데이’로 시투는 ‘샬로’로 살아오며 데이는 샬루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샬루는 데이가 아닌 주샨을 사랑하게 되는데요. ‘너희는 죽을 때 까지 함께 하라’는 사부의 말을 인용하며 함께 하자는 데이에게 ‘우리 이미 반평생 살지 않았느냐’고 데이를 거절하고 주샨에게 가는 장면에서 데이의 안타까운 마음이 느껴졌지요. 책사가 꼽은 한 장면이었습니다.                                   

               

                                                                                                                       

자영업은 어린 데이가 경극 연습 중 특정 부분을 지속적으로 틀리는 장면을 꼽았습니다. 바로 “나는 사실 계집아이다. 사내가 아니다”라는 우희의 대사인데요. 사실상 데이는 남자 아이니 어린 데이가 하는 대사는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말인 셈이죠. 그런 점에서 자영업은 ‘데이가 틀릴 수 밖에 없는 대사였던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신여성이 꼽은 한 장면은 무엇이었을까요? 신여성은 문화대혁명 시대 장면을 차이나는 한 장면으로 꼽았습니다. 1966년에 시작된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보면서 인생의 허무함을 느꼈다고 하는데요. 비극적 상황에서 친구도 가족도 연인도 나를 배반할 때 또 내가 그들을 배반할 때 느끼게 되는 인간의 나약함이 마음을 아프게 했다고 합니다.         

                                         

                                                                                                                                                                                                                                                                                                                                           

1900년대 중국 역사의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파란만장했던 개인들의 삶의 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영화 <패왕별희>, 그리고 누구보다 아름답게 빛나는 배우 장국영. 거짓말처럼 우리 곁을 떠난 그를 떠올려 보았습니다.
 
중국 영화를 만나는 색다른 시선, 영화 속에 숨겨진 중국의 매력과 마력에 빠지는 시간. 지금까지 <차이나는 무비>였습니다.
 
 
ㅣ팟캐스트ㅣ
 더 자세한 내용을 들으시려면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www.podbbang.com/ch/13254        


'소중한라디오'에서도 들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전용)

https://www.soradio.co.kr/pod7_player.php?chid=zurGiUQJ23                                         


또 있습니다. 팟티에서도 들을 수 있습니다. 

https://www.podty.me/cast/182234          

                                

이전 05화 아베사학 스캔들을 파헤친 <신문기자>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