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문화원 세종학당 1학기
1. 전래동화 같은 구비문학에는 그 나라의 전통과 관습, 가치관이 잘 녹아들어 있다.
2. 전래동화의 주제와 내용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국인에게도 낯설지 않다.
3. 작자 미상, 전달자에 따라 내용 수정이 가능한 구비문학의 특성상 전래동화는 한국어 교사들이 학습자 수준과 학습 목표에 따른 내용 편집이 용이하다.
4. 전래동화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사건 구조로 한국어를 잘 모르는 외국인도 내용 이해에 부담을 덜 느낀다.
5. 전래동화는 책, 만화, 동영상 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청각 자료들이 있다.
6. 전래동화에는 속담과 관용 표현, 의성어, 의태어가 다양하게 나온다. 전래동화를 통해 이런 것들을 배울 수 있다.
<참고>
이가원(2019),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62집
석선유(2021),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다중문식성 교육 연구 - 소가 된 게으름뱅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의연(2012),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