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으면서 정리하기_1
기존의 디자인 역사의 이해는 과거의 작품 양식이 기준으로 진행되는 이해방식이었다. 하지만 이제 디자인 역사와 같은 이론 교육은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 책은 디자인 분야 내부의 흐름이 아닌 디자인 현상을 둘러싼 세상을 주목한다.
-
개념은 여러 사물이나 현상을 속에서 공통 요소를 뽑아낸 보편적 관념이다. 쉽게 말해 그 분야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공통 상식을 말한다.
-
디자인이 학문의 문턱을 넘지 못하는 이유는 보편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디자인에 대한 보편 개념을 찾으려면 디자인 분야만이 아니라 디자인을 둘러싼 다른 분야들에 대해서도 알고자 노력해야 한다.
-
인간은 미래에서 오는 두려움을 해소하고 싶어 하는 기본적인 감정이 있고, 두려움은 ‘불안’과 ‘공포’로 나뉜다. 옛날부터 거대한 자연현상에 대한 두려움, 원인 모를 벼락이나 전염병을 신의 노여움이라 여기고 제사장들이 이 불안을 해소해 주는 역할을 했다. 그러면서 종교의 세력이 커졌고, 인간의 소유욕으로 인한 ‘이기심’으로 국가가 탄생한다. 국가의 탄생으로 자신의 것을 지키고 뺏는 행위인 ‘전쟁’이 탄생한다. 인간의 폭력의 결정체인 ‘전쟁’은 인간에게 대표적인 ‘공포’로 자리를 잡는다. 이후에 제사장들은 성직자로, 전쟁을 담당하던 전사들은 귀족이 되어 종교와 정치는 기능적으로 분리되었다.
-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보다 과학을 장려하게 되었고, 종교는 윤리와 도덕만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렇게 신의 입지가 좁아지자 신이 규정하는 성직자와 귀족의 존재 근거가 약해지고, 자연스럽게 그들의 공백은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중간계급이 대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