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블리쌤 Aug 15. 2023

비교급과 ASAP 의미

* 중3 교과서(동아출판사. 윤정미) 5과 Language in Use <Grammar in Use>

중3 학생들 수준에 맞추되 학생들의 스키마와 관련하여 예문을 구성해 보았다.

쌀로 밥 짓는 이야기가 아닌, 아는 사람의 모르는 이야기가 흥미를 유발한다고 하니...

이 문법 사항의 핵심은 "as 원급 as" 용법이다. 원급 자리에 형용사와 부사가 다 가능하다.

원래 문장구성에서 시작해서 어떤 식으로 비교를 하면서 문장이 확장되는지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위의 예문에서 tall은 Chungvely is ... 다음에 연결되는 형용사로 보어 역할, hard는 Chungvely studied ... 다음에 위치하며 부사 역할로 쓰였다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

그리고 비교 대상을 가져올 때, 비교대상 외에 다른 문장구성요소는 같으므로 중복된 말은 다 생략하고 비교대상만 남긴다는 것, 형용사, 부사 앞과 뒤에 as... as를 써주고 두 번째 as 뒤에 비교대상 쓰는 걸 시각적으로 정리했다.

"비교급 + than"은 교과서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왕이면 같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함께 언급한다.

사실 내가 가수 태양보다 키가 더 큰 게 사실이기도 하고ㅋㅋ

학생들이 내 키를 궁금해한다. 키가 커 보여서 부러운 게 아니라 반대 느낌이라서 안쓰러운 마음으로...  그럴 때마다 난 늘 "2m 쫌 안 된다"는 거짓말 같은 진실을 말한다.

그러니 비교대상을 구체화해서 예문을 들면 좀 더 관심을 갖게 될 것 같다.

또 비교급이 어떤 상황에 쓰이는지 맥락을 알려주며 해석하는 것이 좋다. 비교는 비교대상을 통해 언급하려는 대상을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하려는 의도가 있다. 주어로 쓰인 말이 새로운 정보로 화제가 되는 대상이며, 비교대상은 듣는 이가 잘 아는 친숙한 내용을 끌어와야 의도했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A as 원급 as B  : A = B          

            A 비교급 than B : A > B          

둘 다 A에 초점이 있고, 듣는 이가 잘 아는 B에 빗대어 표현하는 문장 구조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느낌으로 해석한다.

"B에 대해 잘 알지? A가 B 만큼 어떠하다, 혹은 B보다 더 어떠하다"


위의 교과서 예문을 맥락에 맞게 의역을 하면

            Jason can run as fast as Mike.          

Mike가 빠른 거 알잖아. 근데 글쎄 Jason도 Mike만큼이나 빨리 뛸 수 있더라.


            I am as hungry as you.          

너 배고프지? 나도 너만큼이나 배고파.


            Canada is as large as the USA.          

 미국이 큰 나라인 거 알고 있잖아. 근데 캐나다도 미국만큼이나 크다.


            Today is as windy as yesterday.          

어제 바람이 많이 불었던 거 알지? (근데 내가 나가보니) 오늘도 어제만큼 바람이 많이 불더라.



이쯤 해서 끝내도 되지만, 팬심과 사심을 드러내면서 학생들의 실력을 키워줄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 관련된 이야기 하나를 더 추가한다. 

뉴진스의 최신곡 <ASAP>를 소개한다. 

뮤직비디오를 잠깐 보여주면 학생들은 관심 있는 노래를 들으면서 발음을 정확하게 익힐 기회도 얻는다.

그러면 적어도 "아쌉"이라고 읽는 어이없는 일은 없을 것이다.

"에이쌥"이라고 단어처럼 읽거나, 한 글자씩 "에이-에스-에이-피"라고 읽는다는 걸 뮤직비디오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Let's talk ASAP와 같은 문장 내 활용도 알 수 있다.

ASAP는 as soon as possible을 줄여서 하는 말이다. "되도록 빨리"

as 형용사/부사 as possible :   가능한 어떠한/어떠하게

예 : 가능한 많이 as many/much as possible

시계 소리 의성어인 tick-tock의 발음과 똑같지만 위에서 처럼 tik-tok으로 가사를 표기한다면 짧은 영상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틱톡을 의미할 수 있다. 

tick-tock은 보통 대화에서 시계 소리를 내면 시간이 흘러간다면서 재촉하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참고로 뉴진스 노래 가사는 한국어와 영어가 패턴 없이 섞여 있고 단순해 보이기도 하지만, 뮤직비디오와 연관 지어서 보면 영상미 외에도 다양하고 심오하게 해석할 여지를 남기는 스토리텔링이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래 영상은 뉴진스 ASAP 공식 뮤직비디오

https://youtu.be/dJdqn5v4Dkw

작가의 이전글 ETA 의미와 접두사(over, under) 활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