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라떼 is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데렐로 Feb 14. 2022

신문 시대의 종언

내가 아는 60대 중반 남성이 드디어 신문을 끊었다. 1월말의 일이다. 이쯤 되면 내 입장에서는 라떼 냄새 나는 ‘종언(終焉)’이라는 단어를 떠올릴 수밖에 없다. 신문 시대의 종언... 중년을 넘어선 시정(市井)의 범부 하나가 신문구독을 멈췄다고 “신문 시대가 끝났다”는 건 과하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다. 과연 그럴까.


약 10년 쯤 전, 점심식사 후 커피 마시는 자리에서 10명 쯤 되는 회사 직원들에게 내가 물었다. 집에서 신문 보는 사람이 있느냐고. 그 무렵 신문 안 보는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기에 던진 질문이었다. 질문 대상의 연령은 20대부터 40대까지 골고루 분포돼 있었다. 돌아온 답변은 모조리 “노(No)”였다. 집에서 신문을 구독하는 직원이 한 명도 없었다. 나까지 포함하면 10명 가운데 달랑 1명이 되는 것이다. 궁금증이 가라앉지 않아 40대 후반의 직원에게는 다시 한번 물었다. 답은 마찬가지였다. 꽤 충격을 받았으나 그 정도로 신문 시대가 끝났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다시 몇 년 후 그러니까 지금부터 5년 쯤 전 아주 가까운 지인과 이야기를 하다 신문 이야기가 나왔다. 집에서 신문을 보느냐고 내가 물었다. 그의 답은 “No”였다. 5년 전 열 명의 No 때보다 조금 더 놀랐다. 신문에 칼럼을 쓰기도 하는 대학교수가 신문을 구독하지 않는다니... 5년 전 열 명의 비구독자를 만나지 않았다면 이 상황을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남의 일이 아니었다. 3년 쯤 전, 우리 집 신문배달이 자꾸 늦어졌다. 뿐만 아니라 아예 빼먹는 경우도 한 달에 한 두 차례 생겼다. 참았다. 하지만 빼먹는 빈도가 주 1회 이상으로 늘자,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다. 신문보급소에 전화했다. 따졌다. 미안하다며 그럴 일 없을 거라고 했다. 


하지만 그 약속은 열흘을 넘지 않았다. 신문은 또 오지 않았고, 두어 번 쯤 더 전화로 실랑이를 하고는 결국 신문을 끊었다. 나아질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확신했기 때문이다. 끊겠다고 선언하자 구독하지도 않은 다른 신문까지 갖다 준다. 그냥 있다가는 신문을 끊지 못 할 것 같아 신문을 그대로 현관 옆에 쌓아놓았다. 그러고도 끊지 못하다, 신문사 본사 독자관리부서에 까지 전화를 몇 번 하고서야 신문을 끊었다. 


그렇게 원하던 신문을 끊었으니 후련해야 하는데 허전했다. 매일 아침 신문을 챙겨들어오던 습관이 어디 하루 이틀 일이던가. 결혼 후만 해도 30년 가까운 세월이었다. 허전한 게 당연했다. 그래서 다시 구독할까 하고 잠깐 흔들리기도 했다. 하지만 마음을 다잡았다. 신문구독료가 아까운 건 둘째 치고, 신문이 안 와서 스트레스 받던 생각에 진저리가 났다. 그렇게 신문과 나의 수십년 된 인연은 끝이 났다. 


내가 이렇게 신문을 끊은 후에도 앞서 이야기한 60대 중반의 남성, 즉 나의 손위 처남은 변함없이 신문을 구독했다. 그 후 처남집에 가면 신문을 뒤적이는 재미가 있었다. 하지만 그것도 한동안이었다. 나중에는 그마저도 그만 두게 되었다. 


처남에게 신문 끊은 이유를 묻지 않았다. 봐야 할 이유보다 안 봐도 되는 이유가 훨씬 많을 테니까 물을 이유가 없다. 혹시 이유가 있더라도 나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했다. 




내가 신문을 본 걸로 정확하게 기억하는 시기는 중학교 무렵이다. 아마 4면밖에 안 되는 얇은 신문이었을 것이다. 4면이 아니면 많아봐야 8면이었을 것이다. 그 후 신문의 면수는 계속 늘어났고, 섹션 신문이라고 해서 분야별로 나뉘는 신문이 되면서 면수는 32면 이상까지 되었다. 


1977년 9월 고상돈(1948~1979)이라는 등산가가 한국인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이 소식을 전하던 신문은 1면 전체에 먹베다를 깔고 백발자(검은 박스 위에 흰 글씨로 눈에 확 띄게 뽑는 제목)로 제목을 뽑았다. 그리고 2년 후 10월 하순 또다시 먹통단 백발자로 된 ‘박정희 대통령 서거’라는 정말 대문짝만한 글씨의 제목을 보았다(이때만 해도 한자가 섞인 제목이었다). 내가 기억하는 가장 큰 글자의 제목이었다. 


내가 직장에 갓 취직했을 무렵에는 오후 다섯시 쯤 광화문에서 다음날 조간신문 초판을 사오곤 했다. 특별한 일이 있을 때 발행하는 호외(*)라는 것도 있었다. 신문 부수가 광고 가격을 결정하게 되면서 발행 부수를 과장하느니 어쩌느니 하는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고, 신문의 논조와 팩트를 놓고 설전이 오가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까지도 신문사들은 내 처남이 신문을 끊으리라고는 생각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세상이 바뀌었다.


이제는 다른 궁금증이 생겼다. 도대체 지금 종이 신문을 보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퇴직한 전직 신문기자도 안 보는 것은 아닐까. 그러면 누가 볼까. 현직 신문기자들? 혹은 신문보급소장? 또다른 궁금증. 종이 신문 발행 부수는 도대체 몇 부 정도 될까.




신문은 영어로 newspaper다. 이 정도 단어는 요즘은 초등학생들도 알 것이다. news+paper. 앞에서 이야기한 것이 어찌됐든 news에 관한 내용이었다면, 이제 마무리하면서 신문의 또 다른 기능(?)인 paper, 즉 종이로서의 기능을 생각해 본다. 


나는 음식을 할 때 기름이 튈 것 같으면 바닥에 신문지를 깐다. 우리 집에서 신문을 끊은 후에는 처남 집에서 신문을 가져다 썼다. 처남의 절독을 알게 된 것도 이 때문이었다. 걱정 같지 않은 걱정이지만, 걱정은 걱정이다. 이제 신문지가 없으니, 기름 튀는 음식할 때 바닥엔 뭘 깔지? 이삿짐 쌀 때 유리그릇이나 사기그릇은 뭘로 싸지? 전부 ‘뽁뽁이’로 싸나?



*호외 : 매일 발행되는 신문에는 날짜와는 별개로 일련번호가 붙는다. 2022년 2월 14일자가 ‘제2014호’라면 2월 15일자 신문은 제2015호가 된다. 그런데 이렇게 호수를 붙이지 않고, 급하게 임시로 발행하는 신문을 호외(號外)라고 한다.

**이 글을 쓰고 나서 내가 라떼임을 다시 한번 확실히 알았다. 혹시나 하고 인터넷에서 ‘신문지’를 검색했더니, 신문이 아니라 신문지를 판다는 광고가 수두룩하다. 신문은 이제 뉴스 전달 기능은 상실하고 종이 기능만 남은 모양이다. 

***사진 출처 : 신데렐로

매거진의 이전글 나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