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데렐로 Mar 15. 2021

라면의 달인

내가 기억하는 가장 맛있는 라면은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기흥휴게소의 라면이다.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까지 먹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 휴게소의 라면 코너에서는 음식점용 가스레인지 6개와 손잡이가 달린 얇은 양은 냄비를 사용했다. 라면은 농심도, 삼양도 아닌 다른 회사 라면이었다. 두 회사 라면만 먹던 나에게 제3의 라면을 각인시킨 계기였다. 그걸 끓이는 종업원은 달인이라고 불러도 충분할 것이다. 아니다, 달인이다. 


우리 부부가 여행을 시작하는 주말 아침 무렵이면 그 라면 코너 앞에는 늘 긴 대기줄이 생겨있었다. 한번에 6개씩을 끓여냈는데, 냄비 6개를 놓은 후 큰 들통의 끓는 물을 국자로 퍼서 각 냄비에 붓는다. 라면 레시피가 요구하는 물 양은 500~550ml인데 약 400ml 정도만 붓는 것 같다. 곧바로 가스레인지에 가스총으로 불을 붙인다. 이때 달인의 표정은 무심 그 자체다. 


그리고는 펄펄 끓고 있는 냄비에 순식간에 라면 여섯 개를 투척한다. 스프 역시 순식간에 찢어 제끼며 냄비에 넣는다. 라면이 끓기 시작하면 기다란 쇠 집게로 라면을 들었다 놓았다를 반복한다. 간혹 냄비 테두리에 집게를 탕탕 두세 번 두드리는데, 그 무심한 동작이 달인의 라면 끓이기에 예술성을 부여하는 것 같았다. 이때쯤 달인은 들통에서 끓는 물을 한 국자 퍼서 여섯 냄비에 찔끔찔끔 부어 넣는다. 라면이 거의 완성됐다는 신호다. 라면을 기다리며 줄 서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달인을 쳐다보고 있다.


다음에는 소스통에 들어있는 달걀을 냄비마다 죽죽 짜 놓는다. 자, 이제 마지막이다. 큰 그릇에 들어있는 썬 파를 집게로 집어 한 움큼씩 던져 넣는다. 두 세 냄비에 넣은 후에는 또다시 집게로 냄비 테두리를 두드린다. 처음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무표정하고, 시크하다. 여섯 개의 라면이 완성되면 냄비를 들어서 우동그릇 같은 국수 그릇에 부어 넣는다. 완성이다. 운 나쁘게 일곱 번째 서 있던 사람은 다시 이 과정을 지켜보면서 기다려야 한다.


나는 꼬들꼬들한 라면을 별로 안 좋아하는데 유일한 예외가 이 달인의 라면이다. 후후 불어서 한 입 먹는 순간, 안 익은 것 같다고 느끼다가 잠시 후 아, 익었구나 하면서 먹게 되는 달인의 라면. 두 젓가락 째부터는 더 이상 완성도에 의심을 가질 수 없게 만드는 달인의 라면. 


자료사진.  출처-ⓒ pixabay


글 한 꼭지 쓰느라고 늘어놓는 너스레가 아니다. 마술사의 마술은 결국은 눈속임이라고 생각하지만, 달인의 쇼는 눈속임이 아니다. 내가, 아니 줄 서 있던 수많은 사람들이 직접 그 사실을 목격하고, 그 맛을 확인했으니 말이다. 이 라면 끓이기는 조리라기보다는 일종의 퍼포먼스에 가깝다고 느껴졌다. 20년이나 된 오래전 일을 이렇게 생생하게 기억하는 것도 워낙 기억이 강렬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부부는 주말에 1박 2일로 국내 여행을 갈 때면 늘 아침식사를 이 기흥휴게소 라면으로 해결했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변하는 법. 몇 년 동안 그 라면을 먹었는데, 어느 날 그 라면 코너에 들렀더니 긴 줄이 보이질 않았다. 달인은 간 데 없고 나이 지긋한 아저씨가 그 자리에 있었다. 끓이는 모습을 보았더니 속도감이 전혀 없다. 그제서야 과거 달인의 동작에서는 리듬감도 느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느린 아저씨의 이름표를 보았더니 견습생이라고 쓰여있었다. 기흥휴게소 라면은 그게 마지막이었다. 


그 후에도 여러 휴게소에서 라면을 사 먹는다. 하지만 어느 경우도 달인의 맛을 흉내 내지 못 한다. 궁금하다. 그 라면 달인은 어디서 무얼 하는지. 만약 라면 식당을 하고 있다면 당연히 가서 먹을 것이다. 멀고 가까움은 관계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