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툇마루 Apr 13. 2023

틀을 깨고 본질을 생각하기

정해진 틀에 맞추어 사는 것에 능숙하지 않은 편이다. 납득되지 않으면 말이다.

질서나 사회적 규범과 같은 틀은 잘 맞추며 산다. 쉽게 납득되는 이유가 있으니.

학교에 다닐 땐 아주 순응적이었던 걸 보면 이런 기질이 드러난 건 성인이 된 이후였던 것 같다.


세상에는 인식하지 못하고 지내는 틀도 수없이 많을 것이다.

이미 태어나면서부터 대부분의 사람들이 맞추어 살아가는 틀은 공기처럼 있어도 없다고 느낄 것이다.


"본질"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이 생기면서부터였던 것 같다. 만들어진 틀이 불편했던 것은.

그중에서도 한국의 교육에서 특별히 갑갑함을 느꼈고, 요즘은 신앙생활에서 갑갑함을 느낀다.

교육에서,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에게 주어진 수많은 틀.

종교에서, 종교인들이 만들어낸 수많은 틀.


수많은 아이들이 묻는다. 공부를 왜 해야 하냐고.

"학생의 본분이야"라는 대답을 삼키고, 그 질문을 반가워하며 함께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찾아가자고 손잡을 수 있다면 좋겠다.

많은 사람들이 묻는다. 교회가 제대로 가고 있는 것이 맞냐고.

"의심하지 말자"라는 말 대신, 기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함께 드러나고 이야기할 수 있다면 좋겠다.

불편한 질문을 꺼내놓는 입을 가리려 하지 않고, 그 질문을 내놓기까지 흔들리며 지나왔을 그 시간을 존중하자. 가족 안에서, 조직 안에서, 관계 안에서, 주어진 역할 속에서 짊어진 틀을 느낄 때, '해오던 것'이라는 관습 아래 두려고만 하지 않기를. 누구라도 그것의 본질을 생각하고 꺼내어 말할 수 있기를.


스터디 모임을 하는데, 새로 만난 리더가 그 모임의 본질에 맞지 않는 틀을 안내한 적이 있다. 순응하는 분위기였지만, 용기를 내어 다른 의견을 제시했고 역시나 어색한 분위기가 되었다. 다른 생각을 말하고, 듣는 경험은 언제나 어색한 공기를 만들지만, 조금씩 받아들여야 할 문화이지 않을까.

너도 나도 서로 잘하고 있는 것인지, 잘못하고 있는 것인지 알아가기 위해서 조금 더 단단해질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본질을 찾고 싶은 단어 자체에 융통성 없이 집중하다 보면, 오히려 그 본질에 가까워질 수 있는 융통성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가게 되는 경험을 한다. 이런 아이러니라니.

생각해 보면 '틀'이라는 것이 만들어질 때, 그것 만드는 사람(들)은 과연 모두에게 예외 없이 적용할 수 있을 거라 예상했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핸드폰 안의 메모장을 자주 이용하는데, 그중에 2020년부터 이어 써 내려가는 페이지가 하나 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그 메모장의 제목이다.

"본질에 가까워지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 (2023.4.1)"이라고 쓴 것이 가장 최근의 기록이다.

머리카락에 검은 물이 빠지고 희어지기 시작하면 편안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그런데 지금의 나를 보면 그 바람은 좀 틀려먹은 것 같다. 60대가 되면 어떨지 또 모르겠지만, 우선 50대에는 아직 불편한 사람으로 살아가게 될 것 같다.


(이미지: pixabay)


작가의 이전글 마음먹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