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pellie Feb 27. 2021

HR, 구성원 관점으로 전환하기

조심스럽게 쓰는

최근 모 기업의 다면평가가 이슈가 된 바 있습니다. 인담 중 한 명으로 많이 아쉬움이 남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로 자칫 다면평가제도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지는 건 아닐까라는 기우도 있습니다. 본 사례를 포함해 인사제도에 대해 어떡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종종 찾는 커뮤니티에 올라왔고 다음은 제가 단 답글입니다. 

제가 인사제도를 다룰 때 하는 표현으로 "발생 가능한 경우의 수를 최대한 고려한다"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 표현은 그 전제로 인사를 구성원 관점에서 생각한다는 걸 기반으로 합니다. 긍정적 기대효과만 중심으로 설계하는 건 인사제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경험상 경영진 입맛에 맞춘다거나 인사의 편의가 목적이 된 경우 일 수도 있습니다. 제도는 설계 못지않게 운영이 중요합니다. 운영과정에서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면 역시나 말씀 주신 모습들로 나타날 수 있겠지요. 완벽한 인사제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인사가 매력적인 이유가 될 수도 있구요. 불완전하지만 그 와중에도 개인적으로 지키려 하는 건 인사가 가지고 있는 메시지의 일관성입니다. 이는 일종의 신뢰라 할 수 있습니다. 일관성 내지 신뢰를 유지할 수 있다면 제도는 불만들을 통해 좀 더 나은 상태로 만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인사제도는 기본적으로 '제도'입니다. 구성원의 행동을 통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성장에 관한 글에서 환경을 플랫폼과 울타리로 표현한 적이 있지요. 전자는 자율을, 후자는 통제를 대변하는 관점입니다. 통제 관점에서 인사제도에서 구성원은 환경의 범위 안에서만 움직이는 존재가 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구성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슷해지고 이러한 방식이 반복되면 왜 하는지에 대한 고민 없이 원래 해왔다는 이유로 무언가를 하는 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왜 하는지 물어보는 사람은 환경으로서 제도의 통제를 벗어나는 듯 보일 수 있는 까닭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인사제도가 앞의 통제 관점의 인사제도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반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우리는 이미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말을 자주 하고 있거든요. 정말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인사제도를 바라보는 관점도 달라질 필요가 있습니다. 통제 관점의 인사제도는 그 다양성을 제약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통제 관점의 인사를 조금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인사담당자로서 우리가 종종 듣게 되는 사용자 관점이라는 단어로 연결됩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경영진 혹은 기업 내지 사측 등의 표현에 해당하는 의미입니다. 이에 대해 제가 종종 이야기하는 건 인사담당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점을 탑재하고 있다 라는 이야기입니다. 인사라는 직무의 특성이라 생각합니다. 저처럼 인사를 이야기하며 경영을 함께 생각하려는 입장은 사용자 관점의 성격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인사담당자는 사용자 관점을 기본적으로 갖게 되므로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건 '구성원 관점'을 추가하는 일입니다. 이는 일종의 균형을 맞추는 일이기도 합니다. 


구성원 관점에서 인사는 다양성을 반영합니다. 구성원 개개인이 기업 내 제도, 특히 인사제도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는지, 실제 인사제도가 그 제도를 활용하는 주체로서 구성원의 관점에서 인사담당자의 의도에 맞게 전달되고 활용되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소통을 하고 기준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는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을 기업 관점으로 수렴하는 통로로써 인사담당자를 이야기하고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을 통해 우리가 운영하는 인사제도를 더욱 완전한 상태로 만들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은 쉬운데 참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어려운 일이기에 그만큼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역할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끔 게임 이야기를 합니다. 게임이 개발되어 오픈되고 나면 오픈으로 완성이 아니라 실제 유저들의 게임 내 활동을 확인하고 그 활동과 관련한 의견들을 듣고 개선하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게 됩니다. 이로서 게임은 좀 더 나은 상태가 되고 지속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인사제도에서 구성원의 관점은 중요한 판단 기준이 아닙니다. 고려해야 할 발생 가능한 경우의 수들 역시 다양성 관점에서는 많지 않습니다. 구성원 관점에서는 반대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고려해야 할 발생 가능한 경우의 수들이 구성원의 수만큼 내지 구성원들의 수에 그들의 상호작용의 수만큼의 경우의 수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을 소음으로 볼 것인지, 제도를 더 나은 상태로 만드는 원천으로 활용할지에 대한 판단은 필요하겠으나 오늘날 관점의 변화는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인사제도를 만드는 건 인사담당자일 수 있으나 그 제도를 완성하는 과정에 구성원의 참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기존에 해왔던 인사제도들은 많은 경우 사용자 관점이 많이 반영되어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그 관점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레 남깁니다. 


덧.

관련 덧글들을 보면서 조금은 마음이 아팠습니다. 인사팀에 대한 부정적인 말들이 있었지요. 인사직무가 인사담당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HRM을 시작하는 이에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