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pellie Oct 08. 2016

정보, 공유와 소유

정보란 공유되어야 할까? 소유되어야 할까?

국정감사가 한창입니다. 어제는 역대급 유머도 나왔죠. MS를 왜 MS에서 샀는가?라는.


매번 국정감사를 보면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 공개하지 않을 것인가를 놓고 싸움을 합니다. 한쪽에서는 공개해야 한다고 말하고 다른 쪽에서는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죠. 공공의 이익을 대변하길 바라며 선택한 이들의 자기들 입장만 생각하고 있는 이 쓸모없는 시간 낭비를 보면서 살짝 웃음이 나왔습니다.


두 명제가 있습니다.

명제 1. 정보는 원칙적으로 '공유'되어야 하며, 제한적으로만 '비공개'를 해야 한다.
명제 2. 정보는 원칙적으로 '소유'되어야 하며, 제한적으로만 '공유'할 수 있다.


이 두 명제 중에서 어느 것이 '정보'라는 대상의 본질에,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의 흐름에 조금 더 부합할까요?라는 질문을 생각해 보면 답은 생각보다 쉽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명제 1의 방향.. 말이죠.


브런치를 시작하면서 초기에 올렸던 글 중에 '교통경찰관과 교통신호제어기'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사람(교통경찰관) 보다 훨씬 객관적인 기계(교통신호제어기)를 교통이 혼잡한 시기에는 끄고 사람이 작동하는 모습과 그 모습에 대해 분명 객관성이 떨어짐에도 기다리는 운전자의 모습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건 '정보의 공유'와 이에 기반한 그 조직 구성원의 '예측가능성'의 확보였습니다. 교통 신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고 있고, 그 정보에 기반해 운전자가 움직일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는 교통경찰관과 그 정보에 따라 신호를 바꿀 것이라 기대하고 있는 운전자의 예측가능성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비록 객관적이지는 못하지만 원활한 교통의 흐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가 '정보'에 기대어 갖게 되는 예측성입니다.


다시 국정감사의 이야기로 돌아와 보면 증인을 채택할 것인가 채택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해 의견이 맞서고 있다면 , 다시 말해 어느 쪽으로 보든 이해관계에서의 유불리가 존재한다면, 증인을 채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국정감사라는 기능, 정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흐름,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흐름에 조금 더 부합하는 형태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은 , 어쩌면 선입견 일 수도 있지만 , 정보의 독점은 사람을 나태하게 하고 사람으로 하여금 유혹에 빠지기 쉽게 만듭니다. 그게 반복되면 마치 당연한 것처럼 인식하게 되고 그 사람이 사회의 지도층에서 권력을 가지면 그 사회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겠죠. 기업이라는 조직도 국가라는 조직도 마찬가지로 말입니다.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하려는 자와 정보를 움켜쥐고 통제하려는 자.

우리는 어느 편으로 가야 할까요. MS를 MS에서 샀다고 혼나야 하는 세상에 사는 우리들에게 사실 정말 어려운 질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정답으로부터의 자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