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혜 Feb 18. 2022

엄마가 듣고 싶었던 이야기

 떼쓰는 아이에게 ‘절대’의 기준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장소나 기분에 따라 훈육의 기준이 너그러워졌다가 엄해지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 ‘절대’라는 건 살면서 때론 얼마나 사람을 막막하고 외롭게 하는가. 까지 생각이 닿았다.




 아파도 절대 결석은 안된다는 말에 초중고 12년 개근을 했다. 

숨 막혀 미쳐버릴 것 같던 첫 사회생활에서 도망치고 싶을 때 ‘절대’라는 기준에 길들여진 나는 퇴근 후 매일 울면서 다음 날이면 아무렇지 않은 듯 일어나 꾸역꾸역 출근을 했다. '지금 이것조차 못한다면' 늘 듣고 커왔던 그 말이, 그런 생각이 나를 쓸모없는 사람으로 만들고 외롭게 했다.


 도망치고 싶었지만 도망칠 수 있는 곳이 없었다. 부모님 중 한 분은 나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셨고 한분은 나에 대해 너무 관심이 많으셨다. 한쪽이 방관자였다면 한쪽은 감시자였다. 그래서 혼자 스스로 알아서 발을 딛고 서야 했다. 어느 한쪽도 완전하게 의지할 수 없었기에.


 때론 나와는 ‘절대’ 무관할 것 같았던 일들은 ‘절대’ 나와 무관하지 않음을 겪었고 그때마다 아이러니하게도 나를 위로했던 사실은 삶에서 결코 '절대’라는 법칙은 없다는 것이었다.




 그게 아니어도 괜찮은, 그 사람이 아니어도 괜찮은, 그곳이 아니어도 괜찮은, 아니 그렇기에 더 좋은 삶을 만날 수도 있다는 걸 엄마가 된 나는 내 아이에게 알려주고 싶다. 내가 너무 늦게 알아 외로웠고 지쳤었으니까.



괜찮아. 그럴 수도 있어. 놀랐니? 힘들었겠구나.
지나갈 거야. 지금은 좀 쉬어도 돼.

엄마가 언제나 네 곁에 있어.

  어쩌면 내가 크면서 듣고 싶었던 말. 그걸 내 아이에게 해주는 일이 육아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와 하는 시합! 누가 더 사랑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