끔찍한 설계와 공간구성, 대체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1편)
2018년 10월 20일에 방문한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 대한 공간 & 디자인 분석에 대한 이야기다. 본론만 말하자면, 그야말로 상식적인 수준 이하의 건축설계와, 고객 동선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디자인. 그야말로 끔찍한 설계 디자인의 대표주자격이었다.
당일에 필자는 즐거운 기대를 품고 역사박물관으로 향했다. 겉으로 보기엔 충분히 깔끔하고, 좋은 공간처럼 보였기 때문이었다.
후문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의 모습.외부전경만 봐서는 이곳에 문제가 있을거라고는 상상도 할 수가 없다.
낮 시간에 바라본 박물관 정문의 모습 / 정원의 모습 좀 누리끼리한 느낌을 제외하고는 잘 정돈된 모습이다. 박물관 건물 자체의 패턴도 깔끔한 편이고, 현수막을 걸더라도 건물 자체의 밀도가 그리 높지 않아 시각물이 부각되기에 좋은 환경이다.
야간에 바라본 정문의 정원. 사실 이때 봤었던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었기 때문에, 다시 방문해 내부 인테리어도 확인을 하려했었다. 박물관 춤추고 노래하다 - 라는 슬로건을 걸고, 일반인들이 다가서기에 쉬운 박물관을 노리고있다는 점 또한 - 디자이너로서 높게 산 부분이었다.
정문 입구를 들어서자마자 사람들을 막아서는 거대한 두개의 기둥
공학적으로는 필요한 부분이었을지 몰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어리둥절하고, 불편함을 겪게되는 요소다. 저렇게 중간부분에 기둥이 걸리지 않도록 설계할 방법이 있었을텐데 말이지. 처엠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어떤 필요나 이유가 있었을 수도 있으니까. 라고 생각해보려 애썼다. 그러나 이곳에서 시작된 문제는, 건물 전체에 동일하게 암처럼 퍼져있었
거대한 기둥의 문제는 입구 뿐만 아니라 2층 카페테리아와 로비 부분에서도 동일하게 이어졌다. 중간중간에 저 거대한 기둥들이 시야를 가로막고있어서, 관람객들의 동선을 방해하고있다. 차라리 공간을 만들거면 기둥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방을 만들거나, 기둥을 보이지 않게 다른 곳으로 밀어두거나하는게 더 나았을 것 같다.
지나치게 어두운 조명 /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라이팅에 있어서도 할말이 많은게, 전반적으로 너무 어두웠다. 자연광을 제외하고는 내부에서 사용되는 조명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사실상 해가 지고나면 거의 어둠속을 걸어다녀야하는 수준이다. 색상 면에서도 전반적으로 차가운 느낌을 주고, 창문도 불투명 처리되어 답답한 느낌을 주고있다.
그나마 잘 만들어둔 어린이 박물관
1층 내부에는 어린이 박물관이 위치해있다. 생각보다 인기가 있는지, 아이들을 동반한 학부모들이 많이 찾아오고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박물관 견학프로그램도 여러가지를 운영중인듯해서, 서비스 면에서는 상당히 좋은 인상을 받았다. 노란색으로 과감하게 / 깔끔하게 정리한 배색 부분도, - 어린이를 대상으로한 지점을 명확하게 보여줬으니. 그 부분은 높게 사야겠지.
본격적인 관람 이전에 주변에 배치된 시각물들을 먼저 분석해봤다.
통일성 없는 크기와 규격의 입간판들
색상과 폰트, 시각적 통일성이 없는 입간판들. 딱 봐도 여러 디자이너들이 그때그때 필요를 채우기 위해 작업했다는걸 알 수 있다. 사실 이런 부분들은 한두명의 디자이너가 가이드라인만 짜서 만들었어도 문제가 없는데. 그런 부분을 전혀 관리하고있지 않다는걸 알 수 있다. 게다가 잠깐 둘러보고 지나치게되는 입간판 치고는 내용들이 너무 작고 세세해서, 내용 확인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색상 패턴이나 사용한 비례를 보더라도, 작업한 디자이너들도 실력이 그리 좋은 사람들은 아닌것 같았다.
좌측 : 어떤걸 봐야하는지 한 눈에 들어오지않는 언어별 기본 책자들
우측 : 문제점을 가상으로 개선한 경우
일단 기본 안내 책자만 보더라도, 하나의 통일된 스타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서 시각물이 온통 들쭉날쭉이다.
- 기본적인 안내 책자가 뭐고, 추가적으로 읽어야할게 뭔지. 책자별 구분이 전혀 안되어있다.
- 상단의 기본 책자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지원하지만 - 아래쪽의 전시안내 책자는 스페인어와 프랑스어까지 지원한다(?)
- 밝은 나무배경에 밝은 채도의 시각물들을 동시에 보여주니, 어떤 것들을 선택해야할지 혼란이 온다.
- 편집물의 표지의 화려함에 집중하기보다, 언어별로 단순하게 '이걸 보면 된다'고 알 수 있는 간단한 표지가 더 낫지 않았을까?
좌측 : 시각적 완성도가 떨어지는 주제별 프린트물
우측 : 문제점을 가상으로 개선한 경우
주제별 컨텐츠의 경우, 언어별 지원을 하지 못한다는건 그렇다 쳐도 이건 디자인 수준의 문제인 것 같다. 개별 시각물이 아니라 실제 배치된 상황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해야하는데. 그 부분을 완전히 간과한듯. 디자이너 자체가 실력이 좋지 않거나. 비용을 아끼기위해 대충 만들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 왜 이토록 잡다한 색상을 사용해서, 보기좋지도 않은 색들을 사용했는지.
- 타이틀에 왜 우측정렬을 사용했는지
- 왜 본문에 1~2~3단으로 통일성 없는 단락을 나누었는지
- 왜 타이틀은 텍스트가 우측정렬이고, 왜 본문은 이미지가 우측에있는지
- 왜 이토록 타이틀의 시각물의 비례를 커다랗게 잡아놓았는지.
- A4용지 사이즈라해도 저 본문 텍스트 크기가 과연 눈에 보일만한 비례인지
- 차라리 접이식 형태로 만들고, 동일한 색상을 기반으로 제작하는게 보기에 더 나았을 것이다.
- 맨 첫 화면부터 너무 많은 화면을 보여주기보다, 페이지별로 내용을 나누는게 더 낫다.
시각물 관련된 문제점을 정리 해보면 -
일단 너무 많은 폰트와 색상이 일관성 없게 사용되고있다. 지금까지 본 시각물들 중 사용된 폰트와 색상만 하더라도 벌써 몇가지인가. 박물관에 명칭을 위한 대한민국 정보청사 폰트. 입간판에 쓰인 여러가지 그래픽 스타일용 폰트. 기본책자에 사용된 여러 폰트. 주제별 프린트물에서조차도 다른 폰트가 사용되고있다. 색상으로 치면 폰트보다 더 다양한 색상과, 시각물별 개별 그래픽 스타일이 사용되어 혼란을 더 늘리고있다. 일관성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해보이고, 그걸 유지하려는 노력을 누군가 해야한다. 아마도 비용 문제로 모두 외주처리하게되고 - 거기서 가이드라인 없이 작업하는 별개 작업자가 - 현재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거라고 봐야할 것 같다.
디자인 시각물의 문제 뿐만 아니라, 공간 전반에서도 문제가 많았다.
2층이 없는 이상한 구조 / 관리자가 관람객보다 우선시되는 공간설계
사실상 이 박물관의 기괴한 구조는. 관람객보다 관리자가 우선시된다는 점에 있다고 봐야할 것 같다. 일단 2층이 관리자용 공간으로 점유되어있어서, 본격적 관람은 3층에서부터 시작된다. 또한 관람객보다도 관리자가 관리하기 효율적인 구조로 모든 내부구조가 서계되어있다. 이 문제는 공간 전반에서 드러나는 문제다.
3층으로 올라가는 와중에 볼 수 있는 영상시각물
이 에스컬레이터에 디스플레이 단 사람. 정말 멱살을 잡고싶었다.
- 저 에스컬레이터를 올라가는 시간이 약 10초 ~15초 남짓이다. 그러나 영상의 전체 내용은 15초 내에 모두 확인이 불가능하다
- 화면의 영상은 길이가 길고, 쓸데없는 애니메이팅이 많아서 중간중간 텍스트 없이 빈 화면만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
- 디스플레이가 직각으로 배치되어있어서, 보기가 매우 불편하다.
- 그나마도 저 전광판의 영상은 저곳에서밖에 볼 수가 없다(?)
영상 길이와 볼수있는 공간이 하나뿐이라는건 둘째쳐도. 시야각 부분만큼은 정말 용납이 안된다. 에스컬레이터를 올라가고나면 아래와같은 공간이 나오는데도, 굳이 천장에 설치를 해서 가뜩이나 좁은 공간을 더 좁고 답답하게 만들었다.
에스컬레이터를 올라가면 펼쳐지는 넓은 공간 / 그러나 화면은 찾아볼 수 없다.
사진에 보이는 것은 다름아닌 - 화물용 엘리베이터다. 관리자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한 구조겠지.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2층에서 잡고. 3~4층으로 바로 옮길 수 있으니까. 다만 일반 관람객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기능이 저렇게 떡하니 놓여있고, 정작 관람자들이 봐야할 정보를 누락해놓고있으니, 누가 설계한건지 정말 이해가 안가는 구조였다.
좌측 : 에스컬레이터 옆에 놓여진 안전바와, 화재용 차폐막
우측 : 건너편이 막혀있는 창문 (?)
안그래도 좁아터진 공간에, 화재용 차폐막까지 길을 가로막고있으니. 그야말로 금상첨화(?)였다. 게다가 공간 자체가 매우 좁고, 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계속 -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 화면을 보여주고있다. 그나마도 천장도 낮아서, 전반적으로 답답함을 주는 설계였다. 게다가 저 어두운 창문 너머는, 정말 기괴하게도, 옆 건물로 막혀있다(?) 박물관 반대편에 뭔가 있나 하고 들여다봤더니. 그 역시도 박물관 건물이었다. 처음에는 이 상황이 이해가 가질 않아서, 이게 뭔가 하고 확인해보니. 박물관 건물이 두개로 나뉘어있고, 그 중간에 연결된 통로가 있는 형태였던 것이다.
텅 빈 공간인가 / 두 개의 건물을 억지로 연결한 결과인가
중간 통로에서 양쪽을 확인해보니, 중간 통로만 제외하고는거의 별개의 건물이었다. 그런 건물을 겉으로보기에는 한 건물인 것 처럼 포장해놓은거였지. 대체 왜 하나의 건물에 중간 공간을 나눠놓았는지. 이게 처음엔 하나의 건축물이 만들어졌다가, 새로 증축이 된건지. 도저히 상식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끔찍함의 정점. 4~5층으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는 내려오는 길이 없다(?)
3층에서 바라본 에스컬레이터의 모습이다. 4층으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외에는 돌아오는 길이 없다. 5층도 마찬가지다. 1층에서 3층으로 강제로 이어지는 곳에는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는데. 4,5층에는 없다. 정말 황당하기 그지없었던 설계였다. 나중에 알고보니 4층까지 관람을 마치고나면, 큰 계단 / 엘리베이터를 통해 1층 로비로 나가는 구조를 만들어두었는데. 사실상 - 설계한 사람의 수준이 떨어진다고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1층부터 4층까지 이어지는 관람을 하기에 좋은 구조도 아닌데다, 그렇게 모든 공간을 들여다보지않는 관람객은 어떻게해야하는가? 그야말로 바보같은 공간 설계였다.
나쁜 공간. Not to do의 핵심을 거의 다 모아놓은듯한 공간 설계
사실 필자가 이렇게 쓰면서도 빡침이 몰려오는 공간을 경험하는건 생전 처음이었다. 삼성역 코엑스의 거대기둥과 인천공항 답사는 아무것도 아니었다. 사실 디자인적으로나 공간 설계적으로 문외한이 보더라도 이해가 가질 않는 수준의 영역들이라서. 하나하나 까내려가자니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문제가 많았다. 전반적으로 관리자를 위해서 최적화해둔 공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그 역시도 하나의 선택일 수 있다. 그러나 수준이 떨어지는 설계자가 억지로 공간을 맞춰나간 탓에 - 문제가 곳곳에서 드러났다. 과연 무엇이 문제였길래 이런식으로 디자인을 해둔걸까. 대체 어떤 히스토리가 있었길래?
-
이런 내용들까지 포함하면 이번 글에서도 이 문제를 전부 이야기할 수가 없을듯 하다. 여기서 더 이어나갔다가는 내가 암걸릴 것 같아서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2편에서 계속 이어나가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