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송인 Oct 05. 2019

조현병: 프롤로그

저는 정신과에서 환자들을 심리평가하고 있습니다. 네. 제가 주로 하는 일은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진단 내리는 데 있어 참고가 될 만한 심리평가 결과를 정신과 의사에게 제시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진단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평가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마음 상태의 개략적인 윤곽을 그려내는 것이죠. ‘왜 이 환자분이 지금 정신과를 찾게 되었을까?’에 대한 가설(정식 용어로는 사례개념화case formulation라고 합니다)을 만들어 내고, 가설에 비추어 진단을 제시하는 과정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제일 많이 봤던 환자를 꼽으라고 하면 조현병 환자와 신경인지장애 환자를 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제가 펼치려는 정신장애 이야기의 시작과 끝을 두 장애에 할애할 생각입니다.




조현병이 예전 정신분열증을 가리키는 새로운 용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이 많이 확산된 것 같습니다. 정신분열증이라는 단어 자체에 내포된 부정적 뉘앙스를 제거하고자 정신분열증을 조현병이라는 용어로 대체한 것이죠.아시는 분도 계실 텐데, 조현 즉 현을 조율하는 데 문제가 생겨서 악기가 제대로 음을 연주하지 못 하는 이미지를 그려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음이 일종의 악기라면, 조현병은 마음을 조율하는 데 문제가 생겼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조현병을 진단 내리기 위해서는 1. 망상, 2. 환각(환시나 환청을 포함), 3. 와해된 언어, 4. 와해된 행동, 5. 음성 증상이 필수적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1개월 이상 뚜렷하게 나타나야 하고, 그 두 가지 증상 중에 한 가지는 반드시 1, 2, 3 중 하나여야 하며, 증상으로 인해 일터나 대인관계를 비롯한 삶의 주요한 현장에서 증상이 나타나기 전과 비교했을 때 현저한 기능 저하가 나타나야 합니다. 뚜렷한 (양성)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시기를 포함하여 증상으로 인한 장해가 총 6개월 이상 나타나게 된다면 조현병 진단 기준에 부합하게 됩니다.


조현병은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진 정신장애가 아닙니다. 대부분의 정신장애가 원인이 불분명하고 현대 의학이나 심리학을 연구하는 연구자 및 임상가가 이 문제를 풀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현병도 마찬가지라는 것이죠.


원인이 분명하게 밝혀진 바 없지만, 조현병은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증상들의 집합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정신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진단 체계인 DSM-5에 조현병 진단 기준으로서 앞서 언급했던 망상이나 환각, 음성 증상 같은 필수 요소가 명시돼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증상들이 얼마나 지속돼야 하는지에 관한 세부적 지침이 제시돼 있다는 것이죠.


다만 이런 진단 기준에 부합한다 하더라도, 조현병이라고 진단 내려진 환자 각각은 저마다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어떤 환자는 망상에 환청과 와해된 언어가 수반되기도 하고, 또 다른 환자는 환청이 심했다가 환청의 빈도가 줄어들자 음성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진단 기준에 명시돼 있는 증상을 지녔다 하더라도 그것이 발생하는 양상은 환자마다 다르니 조현병 환자들은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더 많아 보이기까지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만난 조현병 환자들을 곰곰 떠올려보면 이들의 삶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자신의 삶에서 꿈과 희망이 사라지는 데 대한 절망감과 뿌리 깊은 소외감을 경험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국내 한 연구를 살펴보면 조현병 환자의 자살율은 다른 정신장애 환자의 자살율에 비해 높습니다.(참조 1) 제 개인적인 경험에 국한될 여지도 있으나, 제가 느끼기에 다른 어떤 정신장애보다도 심한 절망감과 소외감을 경험하는 것이 조현병을 지닌 환자입니다. 다른 정신장애 집단보다 조현병 환자 집단에서 자살율이 높은 것이 제게는 개연성 있는 결과로 여겨집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이들의 내적 경험이 갖는 보편적 특성이 어떤 것일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참조)  

1. 이호선, 이건석, 구재우, 박선철 (2015). 조현병 환자의 자살: 최근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대한조현병학회지, 18(1), 5-9.

이전 02화 신경증과 정신병의 경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