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운 Apr 02. 2019

나도 모르게 나한테 주는 면죄부를 인식하는 일의 중요성

<에스콰이어 2018년 2월호>와 <82년생 김지영>을 읽고

친구는 로펌에 사무직으로 일했었다. 판사 출신 사장은 노골적인 성희롱을 일삼았다. "일어나봐, 옆으로 돌아봐. 요즘 왜이렇게 배가 나왔어 너 뽑을 때 이정도였으면 내가 너 안 뽑았지. 가슴보다 배가 나오면 어떡해 처녀가."같은 말을 일상적으로 들었단다. 기 쎄다는 말 자주 듣는 그 친구도 그 앞에선 무력했다. 계약직의 비애랄까. 그 친구보다 더 어린 비서에겐 사장실 들어올 때 꼭 문을 닫으라고 했고, 일본 여행을 같이 가자고도 하고, 자기 얼굴에 팩 좀 붙여달라 했고, 회사 단합대회 때 돈도 줄 테니 네 친구들이랑 같이 걸그룹 댄스 좀 춰보라고 했다. 그 비서는 내 친구보다 더 일찍 퇴사했다. 

에스콰이어 2월호에 실린 사례들과 비슷한 일화를 10개도 댈 수 있다. 그런데 이럴 때 대화는 가해자를 악마화하는 방식으로 흘러가기 쉽다. 나도 위 사례를 접했을 때 비슷하게 반응했었다. 
"세상에 저런 불한당 개-새끼가 다 있나!" 
그런데 이런 방식은 문제해결에는 도움이 안 된다. 가해자와 내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마땅히 잘못을 저지른 사람을 욕하는 나는 선량한 시민이 되고, 저 불한당과의 거리는 선명하게 벌어진다. 그 같은 가해자가 생긴 과정에 내가 끼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사람은 내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해결에 뛰어들지 않는다. 

김지영 씨가 미쳐버린 직접적 이유가 뭔지 찾을 수 있던가? 무력감과 공포를 느끼는 순간들이 삶의 코너마다 등장했고, 한 인간의 경험은 환경과 문화에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버지도 버스위협남도 상사도 의사도 남편도 그녀에게 상처를 주었지만 그들의 의도는 나쁘지 않다. 그들의 말과 행동이 사회적으로 어느정도 용인되는 것들이니 그들만의 잘못도 아니다. 또한 당시의 상처들이 아주 크리티컬하지도 않다. 하지만 김지영 씨의 존엄성은 차츰 깎여나갔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부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는 이유다.

나는 내 안에도 존재할 '가해성'을 발견하는 대화를 나누는 작업이 문제 해결에 좀더 이롭다고 믿는다. 낮은 수준이라도 차별적인 사고방식이나 편견을 갖고 있진 않은지, 나는 몇 퍼센트의 가해자일지 점검해보는 것이다. 예컨대 "나는 회사 내에 성추행 사건이 발생했다면 피해자가 누군지 궁금해하는 일이 없다고 자부할 수 있나? 연예인 섹스비디오가 떴을 때 보고 싶지 않았나? 혹은 누군가 공유해줬을 때 '이런 행동 별로다'라고 말하는 사람이었나?"같은 물음을 해보는 일. 내가 내 연차보다 낮은 사람에게 은근슬쩍 강요한 일은 없나?, "야이~ 막내가 이래도 돼?"라며 위계를 인식시키고 상대의 행동에 제약을 거는 경험은 없었나? 그런 발언들이 이 조직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지는 않았을까? 등 조직 내 권력이 흐르는 방식에 나는 긍정적 기여를 하는 사람인지 판단해보는 일. 

아티클에 제시된 사례 속 가해자들은 어디서 갑자기 뚝 떨어진 나쁜 놈이 아니다. 그런 나쁜 짓이 가능해보이는 문화와 환경 속에서 길러지는 것이다. 작은 가해에 허용적인 분위기는 더 큰 가해를 쉽게 부른다. 유쾌한 농담과 불쾌한 농담, 모욕, 물리적 폭력은 모두 연결돼 있다. 나는 가해자는 명백히 아닐 수 있어도, 가해에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드는데 일조하지 않았다고 떳떳하게 말하긴 어렵다. 그런 점에서 가해자들은 우리와 얼마간 닮아 있다. 그 점을 인식하지 못하면, 함께 가해에 대응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나가기 어렵다. 후배 얼굴 몸매 평가하는 카톡방에서 가만히 있거나 한 마디 거드는 건 괜찮은가? 라는 물음을 던져본 경험이 있어야, 그 다음 행동에 반영할 수 있다. 내가 "사람 없는 데서 평가질 하지마, 뭐냐 모양 빠지게ㅋ" 한 마디 던졌을 때는 "뭐래" 같은 반응이 돌아올 지언정, 같은 카톡방 안의 누군가에겐 그자체만으로 고마운 일이나 용기가 될 수 있고 그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로 번져나갈 가능성이 열린다. 

우리나라 제1의 남성패션잡지가 여성 이슈를 전면에 내세워 다루는 것 역시, 나는 위와 같은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함께 가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나가겠다는 무언의 선고 같다. 여성잡지가 아니기 때문에 훨씬 더 강력하다고도 생각한다. 이런 도전 자체만으로도 얼마나 큰 고마움인지 모른다.


성폭력, 권력에 의한 차별, 그로 인한 불이익이 발생했을 때 당사자가 고립감에 빠지는 대신, 주변에 도와주거나 들어주거나 편이 되어줄 사람-기관-제도가 있다고 믿게끔 하는 것. 우리가 생각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일인지도 모른다. 내 안의 가해성을 찾고 인정하고 개선해나가는 게 그 시작이다.





 



2018.01.25.

트레바리 1801 시즌 <에스콰이어> 클럽에 놀러가기 위해 썼던 독후감입니다.

같이 독후감 쓰고 같이 놀러댕길 사람 구합니다

>>> https://trevari.co.kr/apply


매거진의 이전글 사랑, 너는 자신있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