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번역하는 개발자 Mar 27. 2022

번역 프로세스 제대로 달려봐?

IT 도서 번역자에게 묻다 Part 3

대상 독자: 도서 번역 초심자

이 포스트는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한 '번역 FAQ - IT 도서 번역가에게 묻다'를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영상은 50분의 강의 시간에 맞추느라 일부 내용이 편집되었는데 텍스트 버전은 영상에서 잘린 내용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50분 전체 강의 내용을 소개 1개와 FAQ 8개의 포스트로 나눠서 올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 공정이나 역할과 책임 등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나 R&R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IT 업계 종사자가 아닌 분은 해당 내용을 건너뛰셔도 됩니다.

이제까지는 번역에 관련된 역할자를 소개하고 어떤 사람이 번역자로 적합한지 ‘Who’라는 주제어로 풀어봤는데요. 다음은 번역하는 과정을 ‘How’라는 키워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내용이 많으니까 번역 공정과 협업 방법, 번역 팁의 순서로 살펴볼게요.


먼저 전반적인 번역 프로세스는 이러합니다.

앞에서 역할자 설명했던 것 기억 나시죠? 그때 본 역할자 중에 번역자와 관련 있는 건 편집자와 베타 리더 정도입니다. 다른 역할자는 편집자를 통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직접 컨택할 일이 없거든요.


일단 그림의 작업 흐름을 살펴볼게요.

먼저 편집자는 어떤 책을 번역할지 출판사 내부에서 기획 회의를 가집니다. 이 과정에서 이미 같이 협업을 해본 번역자가 있다면 역자 후보로 내정하기도 하죠. 번역 내정자가 있다면 원서가 어떤지 검토를 합니다.


번역자가 책 괜찮다고 피드백을 주면 출판사는 판권을 확보하기 위해 입찰에 참여하죠. 출판사가 입찰에 성공하면 번역 의뢰를 합니다. 번역자에게 원고를 보여주고 참여 의사를 물어보죠. 번역자가 긍정적이면 번역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파일럿 번역을 거치는데요. 출판사가 몇 페이지 정해주면 번역자가 번역해서 보내는 방식입니다. 샘플 번역이라고도 하는데 번역자와 첫 계약인 경우에만 하고 이후에는 생략하는 게 보통입니다.


파일럿 번역이 괜찮으면 계약으로 넘어갑니다. 예전에는 대면으로 계약했는데, 

요즘엔 우편이나 전자 결재를 많이 합니다. 계약서에는 번역비, 납기, 저작권이나 출판권에 관한 얘기,

진척 확인 방법, 증정 부수, 번역자 할인 혜택 등의 내용이 들어갑니다. 계약서 내용은 출판사마다 다를 수 있는데 문화체육관광부의 표준 계약서가 무난하니 비교해서 살펴보세요.


번역비는 일부를 착수금으로 먼저 주고, 작업이 끝난 후에 잔금을 치르는 게 일반적입니다. 출판사 특성상 자금 사정이 좋진 않기 때문에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잔금이 치러지기도 합니다. 이건 계약하기 나름이니 서로 상의해서 정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번역을 시작하면 되고요. ⅓, ⅔, 3/3 분량으로 작업 원고를 공유하면서 

진척을 확인합니다. 빠르면 이 과정에서 베타 리딩에 들어가는데요. 베타 리더는 출판사에서 수배하기도 하지만 요즘은 번역자가 직접 섭외하기도 합니다. 번역하다 보면 어떤 분이 봐주면 좋겠다는 그림이 나오거든요. 베타 리더에게는 감사의 뜻으로 출간 후에 책과 약간의 선물을 드리는데요. 보통은 출판사에서 준비해줍니다. 좋은 책이 나오는 데 도움이 되거든요.


참고로 베타 리더를 섭외할 땐 가상의 독자를 상정해서 다양한 계층에서 모집하는 게 좋습니다. 전문성을 갖춘 사람, 완전 입문자인 사람 등 다양한 독자층을 시뮬레이션하는 거죠. 베타 리딩은 번역 중에 나눠서 진행하기도 하고, 완성된 초고로 한 번에 하기도 하는데 책의 분량이나 난이도를 고려해서 계획을 세웁니다. 이때는 철저하게 베타 리더 입장에서 생각해야 해요. 그래야 더 좋은 피드백이 나오거든요. 이때는 교정, 교열이 되지 않았고, 북 디자인이 입혀지기 전이라 원고가 거칠고 볼품없습니다. 거친 글일수록 베타 리더가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데요. 가능한 한 품질을 높인 상태에서 베타 리딩을 부탁하는 게 좋습니다.


번역자가 보았을 때 문제없다고 생각되면 완성된 원고를 편집자에게 인계합니다. 이때의 원고를 ‘완전원고’라고 합니다. 편집자는 이걸 받아 원고를 다듬게 되는데 동시에 디자이너에게 북 디자인 작업을 의뢰합니다. 편집자는 납품받은 완전원고를 검수하면서 오탈자나 비문을 보완합니다. 이 과정을 ‘교정/교열’이라고 하는데 

특히 문장을 다듬고 광을 내는 과정을 ‘윤문’이라고 합니다.


북 디자인이 완성되면 그 위에 텍스트를 얹습니다. 디자인 템플릿에 글자를 넣는 거죠. 종종 이 과정에서 글이 넘치거나, 누락되면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교정, 교열은 최소 3번은 거치게 되죠. 

원하는 품질이 나오지 않으면 교정, 교열을 더 할 수도 있습니다. 인쇄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면 

인쇄소로 원고를 넘깁니다. 이 과정을 하판이라고 합니다. 이후는 인쇄, 유통 공정인데 이번에는 다루지 않을 거예요.


이번에는 범위를 더 좁혀서 번역을 할 때 뭐부터 시작하는지 살펴봅시다.

이건 제가 쓰는 방식인데요. 십여 권 정도 번역을 하면서 나름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 소개합니다.


제게 가장 먼저 보는 건 목차인데요.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할 수 있고, 작업 분량을 가늠할 때 유용합니다. 다음은 머리말을 보는데요. 저자가 무엇을 전하고 싶은지, 독자에게 뭘 기대하는지를 알 수 있어요. 부록과 참고자료도 꼼꼼하게 보는데요. 각주로 설명을 추가하거나, 용어의 출처를 확인할 때 도움이 돼요.


다음은 삽화와 표를 살펴봅니다. 텍스트보다 양이 적기 때문에 전체 내용을 빠르게 보는 데 도움이 되고요. 본문 외에도 그림이나 표에 번역할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번역을 하다 보면 본문에서 쓴 용어와 그림의 용어를 맞춰야 하는데 은근히 손이 많이 가고 신경 쓰이거든요.


다음은 저자나 원서의 베타 리더를 뒷조사합니다. 저자가 쓴 다른 저서를 살펴보고, 유튜브에 강연이나 인터뷰가 있으면 살펴봅니다. SNS를 계정을 팔로우하고 원서를 썼을 당시의 내용을 역주행으로 살펴봅니다. 당시의 활동이나 생각의 변화를 살펴보면 본문에서 하는 말이 어떤 맥락에서 나오는지 감 잡기 좋습니다. 저자의 생활을 엿보다 보면 나도 모르게 저자에 동화되는데 저자에 빙의한다는 기분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사한 내용을 다룬 경쟁서를 원서와 교차하며 살펴보고요. 나중에 어떤 베타 리더가 적합할지 메모해뒀다가 베타 리더 섭외 시 활용합니다. 그 밖에도 직장인 번역자가 쓸만한 전략은 많은데요. 예전에 ‘번역 전 워밍업 방법’ 이란 영상과 ‘직장인 번역자의 생존 전략’이라는 영상을 올려둔 게 있으니

나중에 시간 날 때 살펴보세요.


이전 글: 번역은 아무나 할 수 있다고?

다음 글: 이럴 거면 공역하지 마!




이미지 안내

이 자료의 삽화는 그래픽 레코딩 기법으로 그린 스케치 노트입니다. 그래픽 레코딩이 궁금하다면 ZZOM의 신간 '처음 배우는 그래픽 레코딩'을 참고하세요.





영상 안내

Part 3 영상을 보시려면 '번역 프로세스 제대로 달려봐?'를 참고하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