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번역자에게 묻다 Part 1
대상 독자: 도서 번역 초심자
이 포스트는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한 '번역 FAQ - IT 도서 번역가에게 묻다'를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영상은 50분의 강의 시간에 맞추느라 일부 내용이 편집되었는데 텍스트 버전은 영상에서 잘린 내용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50분 전체 강의 내용을 소개 1개와 FAQ 8개의 포스트로 나눠서 올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 공정이나 역할과 책임 등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나 R&R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IT 업계 종사자가 아닌 분은 해당 내용을 건너뛰셔도 됩니다.
번역은 하고 싶은데 이런 생각이 납니다.
번역하려면 어떤 자격이 필요해요?
번역을 하고 싶은데 누구에게 물어봐야 해요?
이 질문에 답하기 전에 번역과 관련된 역할자에 어떤 사람이 있는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번역의 최종 산출물은 번역서죠.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중간 산출물이 만들어집니다. 산출물을 중심으로 연관된 사람을 찾다 보면 번역하는 전체적인 공정과 역할을 파악할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최종 산출물인 ‘책’을 중심으로 살펴봅시다
우선 책을 만드는 저자와 그걸 옮기는 번역자가 있죠? 그 뒤엔 책을 소비하는 독자가 있습니다. 독자마다 책을 읽는 목적도 다양한데요. 책 내용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책을 평가할 목적으로 읽고, 리뷰를 다는 사람을 ‘서평단’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서평단은 책을 읽는 시점과 목적에 따라 ‘베타 리더’와 구분됩니다. 이건 뒤에서 다시 다루니까 그때 자세히 설명할게요.
다음은 중간 산출물을 중심으로 살펴봅시다.
이 그림에서 ‘번역 데이터’라고 표시한 건 텍스트 파일이나 워드 파일 같은 북 디자인이 입혀지기 전의 원고입니다. 보통 번역 결과를 제출할 때는 텍스트 파일이나 MS 워드, 한글 파일을 보내는데요. 이걸 편집자가 가공해서 어도비 인디자인 파일에 옮기고 인쇄소로 보내게 됩니다.
편집자는 책을 기획하고, 원고를 검수하는 등의 총지휘자고요. 출판사에 소속된 분도 있고 프리랜서일 수도 있습니다. 디자이너는 책의 표지나 내지의 템플릿을 만드는데요. 역시 출판사 소속이거나 프리랜서입니다.
베타 리더는 책의 난이도나 전문성에 따라서 섭외하기도 하고 섭외 안 하기도 합니다. 간혹 여러 명의 베타 리더를 두기보다 한 사람의 감수자를 두기도 합니다.
베타 리더와 감수자의 차이는요. 감수자가 해당 분야의 권위자라고 한다면 베타 리더는 해당 분야의 권위자일 수도 있고, 현업 담당자일 수도 있고, 입문자 일 수도 있고, 다양한 독자 계층을 대변하는 사람이라고 보면 됩니다. 앞에서 서평단 얘기를 했는데요. IT로 치자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클로즈드 베타테스터나 3자 테스터가 베타 리더에 해당합니다. 미완성 원고에 피드백을 주면서 책의 약점을 보완하는 역할입니다.
서평단은 얼리어답터나 유튜브 리뷰어 정도가 되겠네요. 완성된 책에 리뷰를 하는 거라 마케팅 목적이 강합니다.
다음은 계약서를 중심으로 살펴볼게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저작권을 생각하지 못하고 무작정 번역을 시작합니다. 개인적인 번역은 상관없지만 그걸 다른 사람에게 배포하면 문제가 되죠.
출판 번역에는 크게 두 가지 계약서가 필요한데요. 번역자와 출판사 사이에 하나, 출판사와 출판사 사이에 하나가 더 필요합니다. 먼저 출판사 간에 쓰는 계약서를 ‘해외 번역 출판 계약서’라고 하는데요. 이때 각국의 저작권 에이전시가 다리를 놓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판권 계약’이 이거예요. 번역자는 판권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말 그대로 출판권이라서 그렇습니다. 번역자는 번역자일 뿐, 책을 출판하는 발행인은 아니잖아요.
번역자가 체감하는 건 국내 출판사와 체결하는 번역 계약인데요. 용역 계약이나 저작권 양도 계약, 저작재산권 설정 계약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계약할 수 있습니다. 번역을 하다 보면 저작권이 누구에게 있냐 궁금하실 텐데요. 이건 IT로 비유하면 SI 프로젝트와 비슷합니다. 고객사와 개발사가 공동 저작권을 가지고, 고객사에게 사용권을 주는 방식도 있고요. 저작권은 고객사가 가지고, 개발사는 용역비만 받는 방식도 있습니다.
보통은 번역자 번역물에 대한 저작권을 가지고, 출판사는 독점적인 출판권을 가지는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간혹 용역 계약을 하는 곳도 있어요. 번역은 장당 얼마를 받는 매절 계약이 대부분이라 인세 계약이 아닌 한 체감되는 정도는 비슷합니다. 다만 납기를 지키지 못할 때의 페널티나 번역비 입금 시기나 방법 등이 다를 수 있으니 번역 의뢰를 받으면 계약서 초안을 꼼꼼히 살펴보세요. 참고로 문화체육관광부의 표준계약서가 공개되어 있으니 어떤 내용을 참고 있나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질의서를 중심으로 살펴봅시다.
질의서는 저자에게 확인받고 싶은 내용을 써서 보내는 건데요. 간단히 메일 본문에 써 보내기도 하고,
양이 많으면 엑셀로 정리해서 첨부하기도 합니다. 번역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면 질의서는 없어도 되는데요.
간혹 원서의 뉘앙스가 헛갈리거나, 원서의 오류를 발견하거나, 번역서를 현지화하려는데 동의가 필요할 때
질의서를 보내곤 합니다.
단, 저자에게 직접 컨택하는 걸 출판사와 에이전시가 꺼리는데요. 처음 문의할 때는 편집자를 통해서 전달하면 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로 치자면 원청업체와 하청업체 간에 직접 업무 지시를 할 수 없는 것과 비슷해요. 회의를 하더라도 중간 역할자를 두는 셈이죠. 일종의 컴플라이언스 이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자가 직접 소통하는 걸 허용한다면 출판사와 에이전시는 참조로 하고 직접 저자를 수신자로 지정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저자가 SNS 활동을 왕성하게 하기 때문에 번역자 입장이 아닌 독자나 팬의 입장으로 간단한 안부 정도는 보내기도 합니다. 한편, 일본 출판사는 문의를 보내도 회신이 늦은 편인데요. 빠르면 1주, 늦으면 3개월 정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너무 자주 문의하면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으니 적당한 양을 모아서 보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전 글: 번역 FAQ - 내용 소개
다음 글: 번역은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이미지 안내
이 자료의 삽화는 그래픽 레코딩 기법으로 그린 스케치 노트입니다. 그래픽 레코딩이 궁금하다면 ZZOM의 신간 '처음 배우는 그래픽 레코딩'을 참고하세요.
영상 안내
Part 1 영상을 보시려면 '번역에 관련된 사람은 누구?'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