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두 codu Apr 30. 2022

우연의 운명성 속에서 흩어지고 제자리를 찾아가는 진심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우연과 상상>(2022)

해당 리뷰는 씨네랩의 초청을 받아 관람 후 작성되었습니다. 


3편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영화 <우연과 상상>은 그 제목에 걸맞게 생각지도 못한 우연에 기대어 나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우연한 사건’은 영화에서는 물론 실제 삶 속에서도 종종 중요한 구심점이 된다. 다만 이야기 속의 우연은 압축된 시간의 흐름 안에서 필연적인 운명의 속성을 띤다. 대화와 우연을 동력으로 흘러가는 3개의 이야기 속에서 진실 혹은 진심은 흩어지는 듯하나 그들이 있어야 할 자리를 찾아간다.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은 <우연과 상상>을 통해 진실과 소통에 대한 낯익은 주제의식을 가볍고 다채롭게 변주한다.


비밀에 부친 진심의 유출

영화 속 인물들이 숨기고자 했던 것은 어떤 방식으로든 드러나고 공개된다. 공개되는 대상과 방식은 저마다 다르지만 어떤 이야기에서도 꼭꼭 숨겨진 비밀은 없다.

<제1화 마법(보다 더 불확실한 것)>에서 패션 모델인 메이코(후루카와 코토네)는 함께 일하는 츠구미(현리)에게 한 남자와의 이야기를 듣고 기시감을 느낀다. 츠구미와 애무와도 같은 깊은 대화를 나눈 상대는 메이코의 전 남자친구 카즈아키(나카지마 아유무)였다. 메이코가 숨기고자 한 진심은 영화 속 인물이 아닌 관객에게 적나라하게 드러나고야 만다.

<제2화 문은 열어둔 채로>. 아이를 낳고 뒤늦게 대학에 입학해 동성 친구가 없는 나오(모리 카츠키)는 사사키(카이 쇼우마)와 비밀리에 섹스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깐깐한 세가와(시부카와 키요히코) 교수 때문에 장래 계획에 차질이 생긴 사사키는 나오에게 세가와 교수를 함정에 빠트리라고 지시한다. 나오는 세가와 교수의 아쿠타가와 수상을 핑계로 교수실로 향한다. 교수실의 문은 열려 있었지만 꽤 선정적인 이들의 대화는 나오의 휴대폰에 고스란히 녹음된다. 이 녹음 파일은 작은 실수로 잘못 전해지고 만다.


<제3화 다시 한 번>은 20년 동안 전하지 못했던 진심에 관한 이야기다. 20년 만에 동창회에 나간 나츠코(우라베 후사코)는 도쿄로 돌아가려는 찰나 보고 싶었던 사람을 우연히 만난다. 하지만 20년 동안 전하지 못했던 감정과 진심 어린 말은 당사자에게 도달하지 못한다.


여기저기로 흩어져 버리는 진심들을 보고 있자면 안타깝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다. 이미 <해피 아워>(2015)와 <드라이브 마이 카>(2021)를 통해 진실한 소통의 어려움을 이야기한 바 있는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이지만, 이번 영화 <우연과 상상>은 소통과 이해의 주체가 사람이 아닌 진실 혹은 진심 그 자체인 듯하다. 세상에 비밀이 있을 수 있을까. 진심을 숨길 수 있을까. 비밀에 부치고 싶었으나 본의 아니게 드러나게 되는 진실 혹은 진심들이 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우연과 상상을 통해 진심들은 그들이 가야 할 곳을 향해 움직인다.


우연의 운명적 속성

앞서 말했듯이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은 이번에도 인물들 간의 대화를 통해 극을 이끌어 간다. 메이코와 츠구미는 택시 뒷좌석에서 바에서 나눈 대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교수실에서 나오와 세가와 교수는 소설에 대한 대화를 한다. 나츠코는 친구와 손을 마주 잡고 대화한다. 두 인물 간의 대화에 정신없이 빠져들다 보면 사건은 어느새 일단락 된다. 세가와 교수는 자신의 소설에 대해 설명하며 이렇게 말한다. “말이 그것을 원했”다고. 말이 말을, 글이 글을 불러오는 말과 글의 영화다. <우연과 상상> 속에서 말은 그 자체로 힘을 갖고 있다는 듯이 움직인다. 말과 글로써 퍼지고 흩어지는 비밀들로 우연은 예정된 예언처럼 한발 앞서 이들을 기다린다. 그리하여 관객은 우연의 몇 발자국 앞에서 이를 예감하게 된다.

각 이야기의 인물들은 자신이 바라던 것과는 사뭇 다른 결말을 맞이한다. 기대했던 상상은 수많은 우연으로 인해 전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 메이코는 말한다. “마법보다 더 불확실한 것을 믿어볼 생각 있”느냐고. 그건 본인조차 종잡을 수 없는 메이코 자신의 마음이기도 하고, 우리 앞에 펼쳐진 우연이기도 하다. 우연은 그렇게 운명처럼 그들을 기다리고 있다. 우연이라기보다 운명에 가까운 관계들이 나오지만, 영화 속 인물들은 이를 우연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눈앞의 우연을 운명이라고 명명하지 않는다. 영화를 보는 관객처럼 제3의 눈으로 보아야 마침내 그것이 운명이었음을 실감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영화를 보는 이들은 말 그대로 전지적 시점으로 우연이라는 것의 움직임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영화 속에서 진심과 진실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기록된다. 기록은 인간이 순간을 붙잡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메이코는 자신의 마음을 사진을 찍음으로써 기록한다. 나오는 녹음으로 둘의 대화를 기록한다. 아야와 나츠키는 일종의 역할극을 통해 기억에 각인한다. 어찌 되었든 진심을 담을 곳을 찾아 남기는 것, 그것이 기록이다. 기록은 순간을 포착하고 남김으로써 물질적으로 또 정신적으로 사람의 마음에 남는다.

세번째 이야기 <다시 한 번>은 ‘제론’이라는 소프트웨어 바이러스에 의해 인터넷상의 모든 정보가 유출된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이 이야기 속 두 사람은 역할극을 통해 기억을 새롭게 재현한다.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추억을 새롭게 기록하는 것이다. 두 사람의 기록은 앞선 기록과는 사뭇 다르다. 모든 것이 아날로그 시절로 회귀한 시대에서 두 사람은 진심이라는 정보를 서로에게 공개해 버린다. 물질의 힘을 빌리지 않고 서로의 마음에 기록한 진실은 마침내 마음의 깊은 구멍을 메우게 된다. 우연에게 길을 내어주고 진심을 막지 않고 손을 맞잡음으로써 끝내 자유로워진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