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중섭 May 19. 2019

글로벌 비트코인 은행이 되고 싶은 스타벅스

#5-1 블록체인 왕좌를 둘러싼 전쟁

2018년 8월, 스타벅스가 뉴욕 증권거래소를 보유한 ICE의 Bakkt (기관을 상대로 디지털 자산 거래 및 수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했을 때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비트코인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며 흥분했다. “스타벅스가 비트코인 결제를 가능하게 하면 비트코인 사용이 활성화될 것이다”라는 인식은 여전히 지배적인 것 같다. 그러나 내 생각에 스타벅스는 비트코인으로 훨씬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 같다. 그것은 단순한 결제가 아니라 은행이다. 일반 은행들 대비 훨씬 저렴하고 빠른 해외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말이나 밤에도 영업하는 글로벌 비트코인 은행.


왜 ICE는 맥도널드나 월마트가 아니고 스타벅스를 리테일 파트너로 선택했을까? 그 답은 스타벅스 앱에 있다. 소비자들은 스타벅스가 주는 쿠폰과 편리한 서비스 때문에 스타벅스 앱을 이용한다. 스타벅스는 각종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자동충전을 유도하고 자주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 충성도 높은 소비자들은 기꺼이 스타벅스 앱에 돈을 예치한다. 인상적인 점은 스타벅스 예치금의 규모이다. 월스트리트 저널과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조사에 의하면, 2016년 스타벅스의 예치금은 12억 달러 (한화 약 1.4조 원)로 이는 미국의 웬만한 중소 은행 예치금보다 높은 수준이다. 


놀라운 것은 예치금뿐만이 아니다. 미국 내 가장 많은 유저 수를 보유한 모바일 페이 업체는 애플, 구글, 삼성이 아니라 스타벅스다.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에 의하면, 2018년 기준 미국 내 스타벅스 모바일 페이 사용자 수는 2천3백4십만 명으로 이는 구글 페이와 삼성 페이 대비 각각 2배 이상인 수치다.  


전 세계에 지점이 깔려있는 스타벅스는 다양한 통화로 쌓여있는 예치금을 어떻게든 활용하고 싶을 것이다. 로컬 은행들은 고객이 예치한 돈으로 대출을 해주면서 손쉽게 이자 장사를 하고 있는데, 그것보다 훨씬 더 큰 글로벌 인프라를 갖추고 고객 예치금도 풍부한 스타벅스는 커피만 팔라는 법이 있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사의 예치금 데이터를 들여다보며 스타벅스 고위 경영자들은 어떻게든 은행 비즈니스를 도입해 이를 수익화시키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통화의 다양성 및 은행의 로컬화 경향은 스타벅스의 자본과 글로벌 인프라를 활용하는데 제약으로 작용한다. 이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 정답은 비트코인이다.


전 세계 17억 명의 인구가 은행 계좌가 없고 이 중 약 67%는 모바일을 가지고 있다. 인상적인 것은 은행 인프라가 낙후된 곳은 법정화폐 가치 또한 불안정해서 비트코인에 대한 인기가 높다는 점이다. 따라서 중남미, 동남아, 아프리카는 스타벅스의 먹잇감이 되기 너무 좋은 상황이다. 실제로 스타벅스는 2018년 10월 아르헨티나 현지 은행 Banco Galicia와 파트너를 맺고 스타벅스 은행 지점을 오픈했다. 물론 비트코인 이야기는 쏙 빼고 고객의 경험, 편의 등 형식적인 이야기를 하면서 말이다. 참고로 베네수엘라와 더불어 아르헨티나 역시 비트코인에 대한 인기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다.



북저널리즘 출판사와 계약을 맺고 7월에 책이 출간됩니다. 저작권 문제로 인해 내용을 일부 삭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ookjournalism.com/

================================================

독서할 시간이 없는 분들을 위해 책을 리뷰하는 '21세기 살롱'이라는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분만 투자하면 책 한 권의 개괄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그램

https://www.youtube.com/watch?v=so6xFJkrmrs


매거진의 이전글 신뢰 도약을 앞둔 비트코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