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존재 Jun 22. 2023

우물 속의 인간

내가 질문하기를 그만뒀던 이유는 답이 없음을 깨달았기 때문에. 존속은 맹목적이고 생은 맹목적이고 그래서 개인의 삶 또한 맹목적이라는 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질은 뇌를 비우고 배부른 돼지로 살아가는 것이라는 틀린 답에 도달했기 때문에. 오류를 옳다고 받아들였던 이유는 그렇게 사는 인간들이 잘 사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실제로 자신을 비운 사람들이 가장 행복하고 잘 사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런데 나는 나를 비워낼 수가 없다. 어떤 항아리는 바닥이 깨져 채워도 채워도 사라지는데 나의 항아리는 비워도 비워도 비울 것이 남아있다. 나는 언제나 분한 것이 있고 언제나 말할 것이 있고 언제나 감상을 가지고 있다. 언제나 나의 논리는 존재하고 논리라는 말이 무색하게 변모한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제자리이고 사람들이나 돈은 나를 바라보지 않는다. 현재 나의 옆엔 오직 사랑 하나, 그러나 언제 변하거나 부서질지 알 수 없기에 두려운 것이 당연한 사랑 하나만이 있다. 


내게 주어진 것은 이것 뿐이다. 혹은 내가 자신에게 주어졌다고 믿는 것은 이것 뿐이다. 그리고 나의 믿음은 너무 단단해서 의식 이상을 깨버리질 못한다. 의식은 몇 번이고 반복해서 깨질 수 있지만 뿌리에 해당하는 무의식이 깨지지 않는다면 소용 없다. 뿌리는 나의 일부임에도 나의 발목을 잡는다. 그럼 나는 의식인가 무의식인가. 원해서 나를 잡는 건가 혹은 원치 않음에도 나에게 잡히는건가. 참 이승우스러운 생각이 아닐 수 없다. 


질문하기를 그만둔건 결국 나에게 독이었다. 내 안에 존재하지 않았던 도시의 잿빛은 이제 내 머리의 색이 되었다. 나는 적잖이 세속화되었고 그럼에도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희망으로 직조했던 지도는 찢어 버린지 오래다. 상황이 찢은 것도 있고 내가 찢은 것도 있다. 


사람들은 구루를 찾고 스승을 찾으라고 한다. 투자를 해도 스승이 필요하고 공부를 해도 스승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현실이든 인터넷에든 부모든 어딘가에서 자신과 공명하는 스승을 만나 잘 따르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스승이 없다. 사르트르 같은 사람은 자기 자신을 스승삼을 수도 있었겠지만 공교롭게도 나에겐 그런 자질조차 없다. 굳센 의지나 맹목성 같은건 나의 생과 거리가 멀다. 내가 인간의 맹목성에 놀라고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이 나에게 없기 때문이다. 


아우렐리우스는 자신이 다 앎에도 행하지 못하는 것이 무엇 때문인가 고민했고, 그 결론으로 의지를 내놓았다. 어쩌면 나는 남들이 천 몇백년 전에 끝내놓은 고민을 다시 하고 있는 인간인지도 모른다. 의지가 문제임을 인식함에도 의지를 제대로 다룰 줄 모르는 인간인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인간은 두종류로 나눌 수 있는 것 같다. 남들이 이뤄놓은 것을 바탕으로 그 너머를 나아가는 인간, 남들이 이미 가본 길임에도 굳이 가려는 인간. 나는 후자, 후자 중에서도 물리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인 것을 굳이 행하려는 멍청한 개체인지도 모른다. 


우물 속에서 소리를 질러봤자 자기 목소리만 들린다. 자신의 목소리와 작게 보이는 구멍 바깥의 하늘. 하늘을 바라보던 인간은 '우물만 나가면 나는 하늘에 도달하게 될거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우물을 나가면 사람이 사는 마을로 가야하고 사람들과 잘 지내고 그들을 설득해야하며 공부를 하고 돈을 모아서 로켓을 사거나 만들어야 하늘로 도달할 수 있다. 우물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간이 이걸 알리가 없지. 너무 늦게 우물에서 나가버린 인간은 하늘은 정말 많은 것을 요구하는구나 하고 풀이 죽어버리는 것이다. 


나는 지금 어떤 인간에게도 이입할 수 없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인간들은 우물이 아닌 세계를 기반으로 더 나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하다못해 남들이 이미 한 것을 답습하는 사람들이라도 더 나은 무언가를 이루는 중이라고 믿으며 살아가는 것은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심리상담사는 나보고 습관적으로 판단을 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나는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인간 중에서도 가장 이분법적인 인간인가보다. 왜 지금도 '더 나은 것'을 향해 간다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마치 나은 것과 별로인 것이 나뉘기라도 한 듯 말이다.




작가의 이전글 모든 껍데기를 벗겨내고 나면 진주를 찾을 수 있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