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감정도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홍수정 Dec 01. 2024

정서 자본의 중요성

우리가 살아가는데 알게 모르게 무척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정서 자본'이다. 개인적 차원의 정서 자본 말이다.


이 글에서 내가 설명하는 정서 자본이란 개인이 세상과 소통할 때 느끼는 감정의 색채, 폭과 넓이, 그 감정을 스스로 인지는 능력, 그것을 잘 감당하고 향유하며 독이 능력, 그리고 이것이 한데 어우러져 형성하는 그 사람만의 정서적 토대 의미한다.


( 찾아보니 '정서 자본'이라는 말을 이미 학자들이 기업 경영에서 쓴 바 있다. 이 는 '조직에 대해 직원들이 가지는 감정'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나는 이 글에서 개인적 차원에 집중하려 한다. )



영화 <아노라> 스틸컷

정서 자본은 우리 삶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람을 대하는 과정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정서 자본이 풍부한 사람은 자신을 향한 사람의 감정을 쉽게 알아챈다. 그래서 내게 선의를 가진 사람, 상냥해 보이지만 악의를 가진 사람, 무뚝뚝하지만 믿을 수 있는 사람, 어딘지 모르게 쎄한 사람, '도망쳐!'라는 머릿속 경보가 울릴 정도로 위험한 사람을 쉽게 감지한다. 정서 자본이 탄탄한 사람은 터무니없는 결정을 잘 내리지 않지만, 그 토대가 빈약하고 궁핍한 이는 위험한 사람과 어울리고 엉뚱한 사건에 휘말리며 결국 '지팔지꼰(지 팔자 지가 꼰다)'을 시전하고 자기 인생을 수렁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서도 운이 나빴다고 한탄한다. 비옥한 정서 자본 위에서 살아본 적이 없어서 자기 문제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영화 <아노라>를 보면서다. 이 영화의 주인공 '아노라'는 스트립 클럽의 댄서인데, 우연히 러시아 재벌 2세의 마음을 얻지만 남자 가족들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힌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다양한 사람과 마주치는데, 자신에게 진정한 애정을 가진 이와 말만 뻔드르르한 X을 구분하지 못한다. 그녀는 애정과 폭력을 구분하는데 서툴러서, 썩은 동아줄에 매달리며 엉뚱한 곳에서 패악을 부리곤 한다.


물론 이것은 그녀가 아직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경험' 자체가 정서 자본의 일종이다. 영화에서 그녀의 전사는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추측컨대 그녀는 제대로 된 애정을 받아본 경험이 부족할 것이다. 혹은 부모가 사랑을 주면서도 폭력을 휘두르고, 폭력을 행사하며 사랑이라고 우겼을 가능성도 있다. 이런 경험은 어린 시절에 그치지 않고 살아가며 중요한 순간마다 튀어나와, 그녀의 판단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경제적 요인만큼이나 정서도 중요한 자본이다.



정서 자본은 개인의 행복에도 영향을 미친다. 행복에는 성공과 성취가 중요하다고 여겨지지만, 그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정서적 토대다. 이것은 단순하게 '행복은 마음먹기 나름'이라거나 '주변에서 행복을 찾아보세요' 같은 공허한 조언이 아니다. 고작 마음먹는다고 행복해질 수 있다면, 세상에 불행이 어디에 있겠는가.


누군가는 신기할 정도로 자기만의 행복을 잘 찾아낸다. 그 사람은 숨은 아이템을 쏙쏙 찾아내는 게임 고수처럼 기어이 행복의 요소를 찾아내어 거기 접속한다. 그리고는 건강한 묘목이 물을 흠뻑 흡수하여 성장하듯 자신이 누릴 수 있는 기쁨을 마음껏 충전한다. 하지만 누군가는 객관적으로 좋은 환경에서도 불안하거나, 불행하거나, 남의 물건을 훔친 사람처럼 눈치를 본다. 마치 뜨거운 시멘트 바닥에 물을 뿌리는 것처럼, 행복을 흡수하지 못한 채로 날려 보내는 것이다. 이를 결정하는 것이 정서 자본이다. 우리 마음속 감정의 거푸집. 



내가 정서를 굳이 '자본'이라 표현한 이유는, 이것 역시 경제적 자본처럼 상속되기 때문이다. 잔인하지만 사실이다. 감정을 느끼는 뇌는 유전의 영향을 받고, 가정의 정서는 구성원에게 공유되며 아래로 이어진다. 다양한 정서적 경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 탄생한 감정을 처리하는 법을 우린 가장 먼저 부모에게 배운다. 하지만 정서 자본이 가정안에서 확정되지는 않는다. 우리가 살아가며 선택하고 공을 들인 공동체 안에서, 그것은 다시 공유되며 꽃을 피운다. 그러므로 돈만큼이나 정서도 누군가에게 물려받거나 개인의 노력으로 일궈야 한다. 정서는 삶의 풍요로움으로 치환되고 다시 풍요로움 안에서 탄생하며 돌고 도는 일종의 자원이다.   


어쩌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정서 자본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오은영 박사님으로 대표되는 무수한 정신분석 콘텐츠는, 억눌리고 천시받았던 감정을 복원하려는 시도와 맞닿아 있다. 영화, 도서, 전시 등 개인의 취향을 탐색하는 활동도, 결국 자신의 정서를 들여다보고 가꾸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뤄낸 한국 사회가 정서의 중요성에 민감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를 감지하고 본인도 모를 노력을 하는 개인은 분명 많아지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혹시 생겨날지 모를 오해를 잠재우며 글을 마치고 싶다. 정서 자본은 상속되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거푸집은 깨어지고 변화하기 마련이다. 다만 첫 번째 틀은 가정에서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반드시 행복한 환경에서 정서적 자본이 쌓이는 건 아니다. 때론 역경과 고난이 정서를 기르는 비옥한 양분이 된다. 무수히 빛나는 작품들이 실은 불행 가운데서 태어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에는 좋고 나쁨이 없다. 누구의 정서가 더 좋고, 누구의 정서는 나쁘다고 할 수 없다. 불행에 예민한 정서를 타고났다면 행복을 느끼기 어렵겠지만, 그래서 남들보다 더 많이 노력하며 살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흐릿하게 인식되었던 정서 자본의 속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잘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