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홍수정 Jan 24. 2023

작가의 오랜 숙적, '상투성'

작가들의 오랜 숙적이 하나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상투적인 표현'이다. 간단히 말해 상투성. 

예시를 들고 싶은데 평소에 그렇게 잘 떠오르던 구태의연한 표현들이 잘 떠오르질 않네.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더니, 허허. 각자 마음속으로 '내 머리에서 나왔지만 진짜 진부하다' 느꼈던 그 표현들을 다시 떠올려 주시길 바란다.


상투성.

이놈은 간사하다. 처음 언뜻 보면 친구 같다. 잘 못 쓰던 글도 이분의 도움을 받으면 얼추 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보 작가들은 종종 상투성의 유혹에 빠져 너무 쉽게 그것과 손을 잡고 만다. 그 상태에 절여진 작가들은 자각조차 못할 때도 있다. 그러다 어느 날 문득 깨닫게 되는 것이다. 내 글에 나의 언어가 없다는 무서운 사실을. 


이놈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감옥에 처넣으면 되지 않을까? 상투적인 표현의 리스트를 만들어서 영영 금지시켜 버리는 것이다. 어느 작가도 그 표현을 쓰지 못하도록. 


하지만 불가능하다. 이놈들은 계속해서 얼굴을 바꾸기 때문이다. 

특정 표현을 썼다 해서 상투적인 것이 아니다. '호수 같은 마음', '봄꽃 같은 화사함'. 이런 표현을 썼다고 무조건 상투적인 게 아니다. 그것은 언어의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시를 쓰며 저런 표현을 썼다면 상투적이지만 과학 논문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썼다면 상투적이지 않을 수 있다. 언어는 노래 같다. 오래된 가곡도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 새롭게 들리기도 한다. 상투성은 특정 표현이 아니라 그 사회가 공유하는 언어 체계의 맥락 위에 있다. 


이놈들은 죽지도 않는다. 

죽였다 싶음 살아나고, 죽였다 싶음 또 살아난다. 

새로운 표현을 발견했다고 생각해서 열심히 쓰다 보면, 어느새 낡은 것이 되고 만다. 독자는 까다로운 손님이다. 어떤 언어가 신선하지 않은지를 금방 알아챈다. 그리고 그 주인장의 방을 더 이상 찾지 않는다. 마치 패션과도 비슷하다. 지금 보기에 세련된 것도 시간이 흐르면 금방 촌스러워진다. 그래서 상투성과의 전쟁은 평생에 걸쳐 이뤄진다. 내가 편하게 쓰는 이 표현이 어느새 관습적이고 지겨운 것이 되지는 않았는지, 끊임없는 점검이 필요하다.  


적당한 용어를 몇 개 정해두고 돌려쓰면서 찍어내듯 글을 쓸 수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 하지만 그건 작가가 아니라 기술자의 일이다. 세상에 없는 자기만의 언어를 발굴해야 하는 작가는 세상에 이미 존재하는 상투적인 언어와 매일 싸워야 하는 운명이다. 하지만 이것이 글 쓰는 이의 행복이자 축복이다(불행이자 저주이기도 하지만). 그리고 이런 지난한 작업도 기댈만한 구석이 있다면 조금은 마음 편해질 것이다. 그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편에서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쉽게 쓰는 것은 쉽지가 않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