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에 대한 잘못된 생각
*본 글의 모든 저작권은 (주)코멘토에 귀속되나, 내용의 수정 없이 출처를 밝히고 공유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스펙에 대한 고민은 더 이상 취업의 문턱에 있는 4학년 2학기 학생들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3학년은 물론이고 심지어 캠퍼스의 낭만이라고 불리우던 것을 누려야 하는 신입생들도 당장 대학 생활을 어떻게 보내야 졸업이 다가왔을 때 웃으며 졸업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으니까요.
이를 반증하듯 기업의 현직자들에게 무료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코멘토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상담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스펙'에 대한 질문입니다. 00회사에 입사하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스펙이 어느 정도인지, 제 스펙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평가, 지금 상황에서 무엇을 더 하는 것이 좋을지, 계속해서 떨어지는데 스펙이 부족한 것인지 등등 매우 많은 종류의 스펙에 대한 상담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스펙에 대한 취업준비생들의 고민을 보면 결국 '나는 무엇을 더 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나는 무엇을 더 해야하는가
'나는 무엇을 더 해야하는가'라는 질문을 취업준비생의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실제로 스펙이라고 할게 없을 정도로 아무런 경험이 없는 지원자와 매우 우수한 스펙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안한 마음에 무엇을 더 해야할지 고민하는 지원자로 구분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 별 다른 경험이 없는 학생의 경우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2~3학년의 저학년과 당장 취업을 준비해야 할 졸업예정자 혹은 기 졸업자로 구분됩니다.
'스펙'에 대한 고민은 본인이 지금 어떤 Stage에 있는가에 따라서 좀 다른 관점에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연히 아직 졸업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2~3학년과 졸업예정자가 해야할 고민이 다를 수 밖에 없고,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가져야할 고민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펙'에 대한 고민에서 어떤 유형의 지원자라고 하더라도 매우 중요한 한 가지를 빠뜨리고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유형에 따라 고민이 달라지지만 결국 스펙에 대한 고민을 다른 질문으로 바꿔보면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나요?' 입니다. 그런데 이것에 대한 답을 얻기가 어려운 이유는 취업이 대학 입시와는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학 입시는 매우 명확합니다. 언어/ 수리I/ 과학탐구/ 사회탐구/ 영어 중에서 내가 문과인지 이과인지, 그리고 어떤 학교에 지원하는지에 따라서 필요한 과목이 정해지고, 해당 과목의 총합계 점수가 예상가능한 합격 점수를 넘는지 못 넘는지에 따라서 합격 여부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내가 어떤 과목을 좀 더 공부해야하는지, 어떤 과목은 시간을 덜 써도 괜찮은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취업은 좀 다릅니다. 소위 말하는 학점/ 토익/ 해외연수/ 인턴/ 봉사활동/ 기타 대외활동으로 구성되는 스펙이라는 것이 점수화되고, 해당 점수의 총 합이 가장 높은 사람부터 나래비 세워서 합격불합격을 결정한다면 아마도 스펙에 대한 고민이 매우 줄어들겠지만 모두가 아는 것처럼 기업에서의 채용은 스펙을 점수화해서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스펙을 점수화하면 붙을 것 같은 사람이 탈락하는 경우도 있고, 내가 보기는 나보다 스펙이 좋지 않은 것 같은데 쉽게 취업에 성공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인걸까요?
나보다 스펙이 좋지 않아도 합격하는 친구도 있는데, 무엇이 문제일까?
갑자기 뜬구름 잡는 이야기지만 '어떤 스펙을 더 쌓아야할까?'에 대한 고민은 사실 내가 무엇을 더 해야할까에 대한 고민을 하기에 앞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고민이 먼저되어야 합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은 다르게 이야기하면 '나는 어떤 사람이라고 주장하고 싶은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물론 엄밀히 말하자면 다른 질문이지만 취업과 연결해서 생각해보면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고 묻는 질문은 결국 '나는 어떤 사람이라고 주장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 질문이 중요한가는 기업의 채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대로 기업의 채용은 대학 입시와는 다릅니다. 기업의 채용은 시험을 통해서 합격선을 넘으면 통과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입장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에서 사람을 뽑은 것은 기업 입장에서는 매우 큰 비용과 Risk를 감수하는 행위입니다.
무슨 말인가 하겠지만 기업에서 한 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도입하는 시스템 비용을 차치하고서라도 서류 검토부터 인적성 감독, 면접관 및 면접 도우미 등에 동원되는 인력까지 생각하면 한 사람을 채용하는데 기업의 입장에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 정도 비용보다 더 큰 문제는 한 사람을 채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채용된 인력에게 지급되는 인건비는 물론이고 인력이 실제로 한 사람의 인재로서 회사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생각하면 한 사람을 채용하겠다는 결정은 수 천만원의 비용을 증대 시키겠다는 결정입니다. 물론 이런 비용은 다르게 생각하면 투자입니다. 한 사람에게 투자함으로써 그 사람이 투자된 금액보다 더 큰 가치를 회사에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진짜 문제는 채용된 사람이 회사가 기대했던 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할 때 입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가치를 만들지도 만들지 못하지도 않고 그냥 0인 상태로 있으면 다행인데 새로운 사람이 조직에 들어옴으로써 기존의 다른 사람의 업무 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한 사람을 뽑는 다는 것이 큰 Risk라는 의미는 단순히 큰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 아니라 '조직 구성원의 팀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사람의 채용은 조직 구성원의 팀워크에 영향
이해하기 쉽게 대학생이라면 한 번쯤은 해 보았을 조모임을 예로 생각해 보겠습니다. 학기 초에 첫 수업 시간에 들어가면 한 학기동안 조별 과제를 함께 수행할 팀을 선정하게 됩니다. 보통 3~5명 정도로 구성되는 한 팀이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점수를 받게 되는데, 모두 한 번쯤은 '00이와는 정말 같이 하고 싶지 않다.' 혹은 '00이만 팀에 있으면 한 학기는 편하겠다.' 라는 생각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겁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수강신청때 부터 마음 맞는 친구와 같이 수강을 하고 조모임도 같이 하려고 계획을 합니다. 그러면 3~5명 중에서 마음에 안드는 한명 정도는 있을지 몰라도 적어도 나와 함께 성과를 낼 수 있는 친구 1명은 있으니까요.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작게는 수십명, 많게는 수천, 수만명이 근무하는 기업도 쪼개서 보면 하나의 팀과 파트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팀 혹은 파트는 보통 3~10명 정도로 구성된다고 생각해 보면 결국 학교의 조모임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팀 내에서도 서로 마음이 잘 맞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는가하면, 업무 성과가 늘 좋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있습니다. 문제는 기업은 학교의 조모임과 달리 기한이 없다는 점입니다. 학교의 조모임은 마음에 안드는 사람이 있어도 어쨌거나 3개월만 지나면 다시 보지 않을 사이입니다. 하지만 회사는 퇴사하지 않는 이상 같은 팀에 있지 않더라도 어쨌거나 같은 회사에서 30년 이상을 같이 일해야 하는 관계가 됩니다.
기업의 채용 담당자의 고민은 여기서 시작합니다.
우리와 30년을 함께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단순히 좋은 학교를 나오고, 단순히 영어를 잘하고, 단순히 대외 활동 경력이 화려한 사람만을 찾는 것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점 4.0/ 토익 990/ 대기업 인턴 1회/ 미국 IVY League 대학으로 교환학생 1년/ 봉사활동 2회의 스펙을 가진 지원자도 어떤 기업에서는 서류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모 대기업의 그룹전략실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지원자 중에서 미국 명문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여러 인턴 경험도 있는 지원자는 탈락했지만, 이후 Investment Bank에 합격하는 등 좋은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기업에서는 합격하지 못하고, 어떤 회사는 합격하는 경우들은 매우 많습니다. 좀 더 와닿게 이야기하자면 이성을 만날 때 연애를 하는 것과 결혼을 할 때 조금은 다른 관점에서 고민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연애를 할 때는 남자라면 그냥 예쁘기만 한 사람을 찾아다닐지 모르겠지만 실제 결혼을 고민한다면 마냥 예쁜 사람을 찾는다기 보다는 연예인처럼 예쁜사람은 아니지만 나와 가치관이 잘 맞고 여러 면에서 평생을 함께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을 찾습니다. 즉, 기업의 채용 담당자들도 단순히 스펙이 우수한 사람을 찾는다기 보다는 앞으로 30년을 함께할 수 있는 '우리와 잘 맞는 사람'을 찾는 것입니다.
'우리와 잘 맞는 사람' 이라는 것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와 잘 맞는 다는 것'에는 분명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업무 역량도 포함이 됩니다. 성격/성향이 잘 맞는 사람이라고 해도 업무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과 함께 일을 한다는 건 고역일 테니까요. 하지만 강조하고 싶은 이야기는 '업무 역량'이 전부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일정 수준의 '업무 역량'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다음으로 정말 중요한 것은 '어떤 성향의 사람인가' 입니다. 우리 기업이 중요시하는 것이 '경쟁'이라면 경쟁심이 강한 사람을 선호할 것이고, 기업이 강조하는 것이 경쟁보다는 팀워크라면 '팀 플에이어'를 찾을 것입니다. 기업이 '도전'을 강조한다면 매우 열정적이고 도전 정신이 강한 사람을 찾을 것이고, 반대로 도전보다는 Risk를 늘 조심하고 책임감있는 사람을 찾는 기업도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어떤 스펙을 더 가져야하는가에 대한 고민에 앞서 '나는 어떤 사람이라고 주장하고 싶은가?'를 먼저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Part2에서는 그렇다면 '내가 어떤 사람인가'를 어떻게 주장해야할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백번의 글읽기보다 한번의 경험이 낫다고 합니다. 내가 가지지 못한 취업 준비와 기업에서의 경험을 가진 현직자들에게 그 경험을 얻고 싶다면 코멘토에서 활동하고 있는 10,000명의 기업 현직자 멘토에게 무료 상담을 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