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obin 이선종 Dec 11. 2023

FY2324 3Q 첫 번째 분기 보고서

2023년 10월 월간도모

META vs APPLE 

당신이 일하고 싶은 조직은 어떤 모습을 지향하나요? 

APPLE의 조직문화를 설명하는 키워드는 톱다운, 통제, 미니멀을 꼽을 수 있습니다 

META의 조직문화를 설명하는 키워드는 보텀업, 동등함, 공유를 꼽을 수 있습니다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진 두 회사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비전, 즉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큰 그림이라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브랜드로 가능한 모든 것 

2022년 12월 월간 도모에서 '브랜드로 가능한 모든 것'을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이진 않지만 20여 년 간 쌓아왔던 것에 안주하지 말고, 우리가 가는 길을 넓힐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브랜드란 무엇일까요? 

위키백과는 브랜드란 "어떤 경제적인 생산자를 구별하는 지각된 이미지와 경험의 집합이며 보다 좁게는 어떤 상품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상표, 표지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지난 8월 월간 도모에 브랜드란 '강력하게 공유된 아이디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 Link

브랜딩을 하기 위해선 알맹이와 껍데기를 잘 구분하기

우리는 브랜드를 만드는 일, 즉 브랜딩을 하고 있습니다 

단단한 알맹이
- 시대가 바뀌어도 절대 바뀌지 않아야 할 브랜드의 코어 메시지
- 꾸준하게 소리 내어야 하는 메시지
- 소비자들에게 기억되었으면 하는 이미지 

유연한 껍데기(로고, 디자인, 패키지, 사이트 등)
- 트렌드에 맞게 변화되어도 되는 것
- 오히려 변화되어야만 알맹이를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것
- 만들어 가면 단단하게 중심 있지만 트렌디하고 흥미로운 브랜드가 될 수 있습니다

도모얀의 역할

각자의 영역에서 각자 일을 하지만 '브랜드로 가능한 모든 것'이란 비전을 중심에 놓고, 콘셉트와 아이디어를 통해 연결 짓는 사람들의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리포트의 역할 

비전을 시작으로 어떤 인풋이 투입됐고, 어떤 결과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우리가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을까요? 

그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우린 다음 분기에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꿈 vs 목표의 차이 

꿈은 생각만 해도 두근두근거리며, 삶의 이정표가 되는 것입니다. 조직으로 따지면 비전이죠 

목표는 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달성해내야만 하는 것입니다 

꿈과 목표의 차이를 잊지 마세요




새로운 시즌을 마주하며 우리가 잡은 3가지 목표를 FY2324 Kick-off(7/12~7/13)에서 말씀드렸습니다. 첫 번째 분기가 끝난 현재 그 현황과 결과에 대한 의사 결정을 오늘 리포트를 통해 보고 드립니다.  


목표 1. 매출 5,500,000,000 | #이윤증가

#1 영업: 신규 제안 승률 40% 달성 | 50%(+10% 달성)

새로운 고객사, 프로젝트 6회
- 하나 파워 온 매칭펀드, 하나 파워 온 세컨드라이프, 대교 신제품 디지털 마케팅, 한글과컴퓨터 뉴스레터, 인더숲 사업 운영, SC제일은행 디지털 마케팅

실패한 고객사, 프로젝트 6회
- 2023 통일부 정책홍보 영상, 하나 파워 온 인턴쉽,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기관홍보행사, 고디바 IMC, 브리타 디지털 홍보, 환경부 불필요한 플라스틱 저감 국민 공감 캠페인


#2 인지도: 비딩 요청 55건 | 24건, 43%


#3 신뢰도: 신뢰도: 웹사이트 방문자 6,000명 | 2,600명, 43%


목표 2. 한계이익 3,800,000,000 | #비용감소

#4 고객 유지: 재계약률 30% | 실행 계획 수립

프로젝트 헬스 체크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       

신규 제안       

BOB day       

재계약 전략 수립 미팅       


#5 생산성 DT(디지털 전환) 시스템 구축 | 솔루션 검토 1회


목표 3. 사원수 40 | #건강한조직

#6 만족도: 고객 추천 의향 8.0 이상 | 활동 없음


#7 T.E.D.S 산업 밸런스: Entertainment, Design 분야 고객 전체 고객사 중 40% 확보 | 3곳 확보

- 한글과컴퓨터 뉴스레터 / 인더숲 사업 운영 / SC제일은행 디지털 마케팅


#8 이슈: 분기 별 도모 분야 포트폴리오 뉴스레터 발행 회신율 30% | 활동 없음


#9 소통: 1년 미만 퇴사율 20% 미만 | 0명 

온보딩 교육 프로그램 론칭(9-11월)     

도모콘 3회(배민 고재형 작가, 빌리프랩 김태호 대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윤미정 팀장)       

현재 FT 기준 31명, 40명 목표 대비 77%



FY2324 4Q 운영 방향성

목표 1. 매출 5,500,000,000 | #이윤증가

       #1 ESG.ONL: 2023년 12월 론칭

타깃 고객(세컨 티어 → 퍼스트 티어로 올라가는 고객군) 접근 확대       

기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 제안

#2 이길 수 있는 개발팀 구성

컨소시엄, 외부 전문가 등을 활용해 팀 구성 강화       

#3 개인 매출 기여도 측정

인보이스 기준 프로젝트 팀 배분 적용        


목표 2. 한계이익 3,800,000,000 | #비용감소 

#4 보고서 TFT 설립

고객의 니즈 / 시장의 결핍 / 도모의 희소성을 고려해 공유 가능한 보고서로 리뉴얼(목표: 2024년 1월 적용)

#5 재계약률 상승 프로그램 운영     

12월 기준: 코카-콜라, KB라이프생명, 노벨리스 뉴스레터, 하츠, 유니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프로젝트 팀 리뉴얼: 성과 중심으로 재편(2024년 1월 기준)


목표 3. 사원수 40 | #건강한조직   

#6 도모얀 커리어 저널 작성

비전을 기준으로 3대 과업과 5대 해결과제를 입력해 달성하는 과정       

#7 홈커밍데이 개최(11/16)

EX도모얀들과 현재 도모얀들이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8 연말 파티

한 해를 마감하는 전통 행사(12월 중)        



최고라는 것에 대해서(@도모 정기 주주총회, 9/27) 

2000년대 초반 NAVER와 DAUM의 시대적 포털 경쟁이 있었습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승리한 NAVER는 더 위대한 기업으로, DAUM은 메신저 App이었던 카카오에 인수되었습니다. 가전의 명가라는 LG전자는 90년대 SAMSUNG에게 뺏긴 1위 자리를 탈환하기까지 30년이 걸렸습니다. HIVE는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사의 기준을 뛰어넘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어느 영역에서 최고를 지향한다는 것은 꿈이 아니라 생존의 기술입니다. 우리는 커뮤니케이션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여기에 모였습니다. 브랜드가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꿈이 현실로 이뤄지는 과정을 돕는 것을 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최고가 되어 주세요. 그게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위기를 기회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