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son Lee Jan 13. 2022

신장위구르자치구

미국의 태세 변화와 중국의 여전한 입장 속 해결 불가한 분쟁

압제된 통합과 유연한 분리의 지속적 대립

수년 전부터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가 국제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신장은 엄연한 중국의 영토로 홍콩이나 마카오처럼 특별행정구역이 아닌 본토에 해당한다. 청대에 복속이 된 이후 줄곧 중국의 영역으로 자리하고 있다. 당장 보면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신장은 그 이전에 티벳이 분리 독립 문제에 꾸준히 거론된 것처럼 신장도 티벳과 마찬가지로 이를 강력하게 원했다. 궁극적으로 중국은 중국공산당의 일당체제로 사회주의국가를 표방하고 있으며, 종교의 자유가 없다. 사상을 일정 부분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장은 티벳이 불교를 신봉하는 것처럼 위구르족은 이슬람교에 귀의해 있으며, 이들은 신장 인구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신장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민족이며, 여타 지역에 한족이 많은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신장은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족이 많으나, 중국공산당은 이를 원치 않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들이 분리내지는 독립을 원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분리주의자와 통합주의자가 다른 종교와 민족으로 대립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유럽이라면 애시당초 분리 독립이 진행됐을 것이나 중국은 유럽이 아니다. 혹은 미국도 아니다. 미국은 강력한 연방정부 체제 아래 각주들이 국방 외교를 제외한 전분야의 자치권한을 갖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신장과 티벳 외에도 다른 자치구(닝샤, 광시, 네이멍구) 모두 이름과 달리 제한적인 자치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어김없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공산당의 치밀한 감시를 피할 수 없다고 봐야 한다. 발전된 디지털화는 공산당의 관리와 감독을 더욱 엄격하게 했으며, 이로 인한 위구르족의 반발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결정적으로, 시진핑 주석이 부임해 1인 체제를 구축한 이후 일대일로 구상을 내놓으며, 위구르족에 대한 탄압은 개국 이래 가장 심하다고 봐야 하며, 지나친 압제로 인한 위구르족의 반발도 심상치 않다. 이에 강한 테러와 공격이 자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갈등 봉합이 쉽지 않은 상황에 직면해 있다.


전반적인 연혁 설명을 위해 시계를 오래 전으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청이 영토 확장에 나선 후, 신장은 청의 영토가 됐다. 이후 중국이 군벌 시대가 도래한 이후 위구르족도 기회를 엿봤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19세기에 영국과 러시아가 아프가니스탄을 상하로 두고 대립한 가운데 중앙아시아 다른 지역에 실질적으로 소련의 영향 아래 들어갔으며, 위구르 지역은 중국으로 복속이 됐다. 이에 중국은 '새로 개척한 강토'라는 뜻으로 신장이라 명명하면서 주요 민족은 위구르족을 품기로 했다. 그러나 이슬람교를 신봉하며 문화적으로 중앙아시아와 같은 신장이 중국령이 되면서 이는 흡사 서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서양 열강에 의해 국경이 강제 책정되면서 이후 많은 민족 분쟁과 종교 갈등을 낳은 것처럼 위구르족이 기거하는 지역에도 많은 살상과 무력 충돌이 끊임없이 빚어졌다. 여기에 중국이 시 주석 부임 이후 본격적으로 미국과 대립에 나서기로 하면서 미국과 서방 진영이 이를 정치화하기 시작하면서 신장 지역에 대한 분쟁이 좀 더 적나라하게 국제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간 신장에 대한 언급이 적었던 이유는 미국과 중국의 합의(?)에 따른 결과라고 봐야 한다. 미국은 9/11 이후 아프간을 침공했다. 그러나 적성 집단의 주동자인 오사마 빈 라덴 사살에 실패했고, 미국은 대뜸 이라크 침공을 감행하기로 한다. 아프간  침공부터 이라크 폭격까지 국제법에 엄연히 위반이 되는 사안이나,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침략을 위해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중국의 반대를 피하길 바랐다. 이에 위구르족에 대한 외부 정치화를 하지 않기로 동의했으며,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ETIM; Eastern Turkistan Islamic Movement)을 테러 집단으로 규정하기로 했다. 중국의 필요와 미국의 이해가 모두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이에 신장 문제는 그간 국제사회 여러 지면과 영상에 크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중국의 부상 이후 세계의 공장이자 최대 인구를 지닌 시장으로 변모하면서 미와 서방 진영은 이에 대해 입을 열지 않았다. 그러나 부상 이후 중국이 G2로 분류가 됐고, 중국이 미국의 권한에 다소 위협적인 입장을 내보이자 미국이 이를 다시 정치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 2020년 당시, 미 국무부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은 연설에서 ETIM을 테러 집단에서 제외할 것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간 이들의 이슬람운동(이른 바 종교의 자유)에 기반한 만큼, 테러 행위가 규정되지도 않았으며, 찾을 수도 없었다고 밝혔다. 20년 동안 필요해서 테러 집단으로 분류해 놓았던 미국은 중국 내부 분란 및 이를 정치화해서 다른 국가들을 미국의 편으로 불러 들여야 했던 만큼, 이를 전면적으로 공언했다. 이어 폼페이어 장관은 중국공산당과 시 주석의 폭압적인 정치 행보를 정면으로 비난하면서 중국과 본격적인 경쟁을 넘어 대립 국면으로 들어갈 의도를 서슴지 않고 드러냈다. 이후 미 행정부가 교체됐고,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두고 '전략적 경쟁자'로 명명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중국이 더는  미국의 지위에 도전하지 못하게 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이에 미국이 신장(중국 영토), 홍콩(절반), 대만(영토 외)까지 범중국 지역을 모두 거론해 중국이 이른 바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문제의 근원임을 본격적으로 꼬집고 있는 것이다.


그 사이 영국의 BBC는 위구르족에 대한 공산당의 지나친 사상 교육과 고문 및 가혹행위를 직접 보도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강력하게 반발했으며, 취재에 나선 기자를 제재하며 중국에서 추방했다. 그간 노벨평화상 수상과 무기 배치는 물론 반중과 관련된 행보를 보인 (그 중에서도 미국은 늘 제외하고) 국가 전원에 제재로 일관했던 중국은 기자 개인을 제재(입국 금지)했으나, 영국이라는 만만치 않은 국가에 무역 제재로 일관하진 않았다. 프랑스, 독일, 대한민국 등 중국과 무역이 자국 대외 교역에서 가장 많은 국가가 아니기도 하겠지만, 비단 교역량을 떠나 영국은 미국과 직접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이라 보는 것이 좀 더 맞다. 이에 신장 지역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국제사회에 대두가 됐으며, (20년 전에 진즉에 알려졌어야 하나) 이제서야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다.


반대로, 중국 입장에서 보면, 지나친 폭압으로 인한 정치화를 자초했다고 봐야 한다. 중국공산당 입장에서 보면, 이전처럼 미국과 함께 하는 듯한 행보를 보였다면, 이야기가 달라졌을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이 반중을 전면적인 안건으로 내세우고 있었던 만큼, 시 주석과 중국 정부도 강하게 대응하는 것을 현실적인 방법으로 택한 것으로 봐야 한다. 신장은 홍콩, 대만과 달리 어차피 중국 내부 영토이기 때문이기에 시 주석의 발언처럼 엄밀히 '내정 간섭'에 해당되는 사안이 맞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 측에서 다소 억울할 수도 있는 부분은 미국이 이전에는 윤허했으나 이제와서 이에 대해 시비를 걸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도 이점을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즉, 힘의 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이 미국의 국익을 건드릴 수 있는 후보가 됐고, 중국이 이른 바 아시아에서 역할 증대를 원하고 있는 만큼, 미국이 이를 좌시할 수 없는 부분이 정면으로 충돌한 것이다. 


이에 지난 2021년 3월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고위급 회담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이 이를 전면 거론한 것이다. 양자 회담에서 신장을 비롯한 지역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의 정치적 뇌관을 건드린 것이다. 미 고위급이 미중 수교 이후 이에 대해 본격 거론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라고 봐야 하며, 이로 인해 양 국의 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당시 고위급 회담에서 양 측은 합의문과 공동성명이나 별도의 행동강령을 발표하지 않은 채 회담을 마쳤다. 즉, 양 측 모두 해당 국가에 대한 성토 자리가 된 셈이며, 이를 통해 중국은 어김없이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미국에 적극 맞섰다고 관영매체는 보도하기 시작했다. 미국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이후 2021년 11월 말에 미중은 화상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했으나 예상대로 별다른 합의와 이행 절차는 마련이 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미중이 대립하고 있는 이상 위구르족 문제는 꾸준히 거론될 것이며, 위구르족은 안타깝게도 서아시아의 쿠르드족처럼 국가 건립이 여러 구조와 당면한 현실을 볼 때 결코 불가능한 상황에 처해 있다.

작가의 이전글 2021 한호정상회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