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무리 Mar 15. 2021

원치 않는 관계로부터의 해방

이래서 직장인들이 주식을 한다 (Feat. 슈퍼 개미)

 


임원 인사발령 시즌이 돌아왔다. 매년 있는 일이고, 큰 인사이동을 네다섯 번 정도 겪어서인지 이제 '이 또한 지나가리라' 정신으로 버티고 있다. 문제는 우리 부장님이다. 줄곧 사업 부서에서 일하다, 인사발령으로 인한 부침을 직격타로 겪는 우리 본부에 처음 온 부장님. 요즘 부장님은 그야말로 인사발령 시즌 과몰입 상태다.


CEO의 변경이 분명 회사에 큰 일이고, 그로 인해 줄줄이 예상되는 임원 변경이 어떤 다채로운 임팩트를 가져올지 안 봐도 훤하지만, 사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없다. 마치 주식처럼 벌어진 일에 대한 '대응의 영역'만 있을 뿐.


예상치 못한 CEO 변경으로 나는 갑작스럽게도 한가한 3월을 맞이했다. 막 시작하려고 했던 모든 프로그램이 당연하게도 신임 CEO 취임 이후로 미루어지며 생긴 2~3주 정도의 여유다. 물론 3월을 버리는 것 같아 (언젠간 해야 할 일임으로) 조금 답답하고 짜증스러운 마음은 있었지만 직장생활 10년 + 알파의 짬바로 체득한 기적의 노하우는 '내가 바꿀 수 없는 상황 때문에 스트레스받지 말자', '미리 고민하지 말자' 정도랄까.


이 두 가지면 충분하다. 그런데 요즘 우리 부장님은 매일 아침 본인이 믿는다고 생각하는 직원 몇 명을 불러 놓고 회의 아닌 회의를 진행한다. (그중의 한 사람이 나) 앞으로 CEO가 바뀌면 임원 인사가 진행될 것이고, 이 사람은 어디로 갈지, 저 사람은 어디로 갈지, 그럴 때 우리에게 미칠 임팩트는 무엇일지. 그 사람은 이런 성향이라던데 우리 조직과 잘 맞을지, 이 사람이랑 잘 지내야 할 텐데 걱정이네 등등.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어찌 될지 모르니 아직 안 해도 될 걱정' 혹은 '미리 걱정해봤자 소용없는 걱정' 정도이겠다. 이 걱정을 한 시간 정도 듣고 나면 나는 적당히 지친 표정을 지으며, "부장님, 임원 걱정은 하는 게 아니래요. 그냥 우리 걱정이나 해요." 류의 농담 또는 "부장님 오전 중에 어제 요청 온 거 빨리 끝내야 할 거 같아요" 같은 일 핑계로 '저 먼저 나가보겠습니다'를 시전한다. 그런데 내가 가장 대단(을 넘어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옆에 늘 함께 앉아 있고 먼저 일어나는 법이 없는 우리 팀 차장님이다.


차장님은 뭐랄까, 사물에 비유한다면 새하얀 백자 같다. 담아도 담아도 끊임없이 비워내는 백자. 부장님과 주 4일 정도는 카풀로 같이 퇴근하기 때문에 분명 이런 대화 최소 하루 3시간일 텐데. 마치 오늘 처음 듣는 새로운 이야기인 것처럼 몰입하고 리액션한다. 와.. 차장이 되려면 저 정도는 돼야 하는구나. 과장 나부랭이의 인내심이란 한없이 가벼운 거구나, 를 끝없이 생각하게 된다.






얼마 전 주식 관련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소위 '슈퍼 개미' 유튜버가 주식 투자를 통해 경제적 자유를 얻고 나서 가장 좋은 점이 '원치 않는 관계로부터의 해방'이라고 했다. 아!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말이었다. 직장 생활이라는 게 어쩌면 원치 않는 관계의 연속이니까. 물론 좋은 사람, 배울 점이 있는 사람, 매우 아주 드물게 존경할 만한 사람도 만나지만 문제는 관계의 원함과 원하지 않음을 내가 선택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직장 생활 대부분의 불행이 '원치 않는 관계'에서부터 오기에, 그 슈퍼 개미 유튜버의 말은 퇴사하고 전업투자자를 꿈꿀 만큼 강렬했다. 어쩌면 부장님에게 필요한 것도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선택권 1도 없음) 기업 CEO의 변경이나 임원 인사발령 같은, 원치 않는 관계 변화로부터의 해방 인지도 모른다. 물론 해방은 퇴사뿐이기에 늘 외벌이의 고달픔을 토로하는 부장님이 할 수 있는 것은 내려놓음 즉 나 스스로를 해방시키는 일인 듯하다.


아직 CEO 정식 인사 발령까지 2주나 남았는데. 이 애매하고 모호한 시간이 어서 빨리 지나고, 부장님의 인사 발령 과몰입 상태도 끝나고, 하루빨리 매일매일 해야 할 일을 척척 해내는 일상의 직장인으로 돌아가기를 바랄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폭설이 내리면 떠오르는 밥벌이의 위대함과 서글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