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름조각 Jul 25. 2021

경상도 향토 음식-집에서 먹는 음식

이게 다른 지방에는 없나요?

늙은 호박전


    어릴 때 시장에 가면 할머니들께서 커다란 늙은 호박의 속을 박박 긁고 계셨어요. 모양이 삼지창처럼 생겼는데 쭉쭉 긁어대면 국수가락처럼 호박 속을 파낼 수 있었어요. 한 봉지에 천 원, 이천 원 정도로 팔았던 것 같아요. 이 호박에 소금을 좀 뿌려뒀다가 물이 나오면 부침가루밀가루, 물 조금 넣어서 반죽을 만들어 전을 만들어 먹어요. 반죽에 설탕을 섞으면 타기도 쉽고 호박의 은은한 단맛이 죽어버리니까 되도록 설탕은 넣지 마세요. 단맛이 아쉬우면 전을 굽고 난 후에 이나 올리고당을 살짝 뿌리면 됩니다. 대구에서는 음식점에 밑반찬으로 자주 나왔어요. 요게 달달하니 애기들 입맛 저격이거든요. 늙은 호박은 주로 죽으로 쑤어 먹지만 저는 가을쯤이 되면 이 늙은 호박전이 더 생각나요. 


배추전


    배춧잎으로 구운 전 요게 달달하고 삼삼한 게 한번 맛들리면 계속 생각나죠. 수미네 반찬에 나온 배추전에는 밀가루찹쌀가루를 함께 섞어서 전을 부치던데 저희 어머니는 그냥 부침가루로 반죽해서 후딱 구워 주셨어요. 이렇게 구워서 초간장에 찍어먹곤 했는데 주로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이었지만 가끔 겨울 배추가 맛있을 때 한두 장 구워 먹곤 했어요. 먹기 편하려면 역시 한입 크기로 숭덩숭덩 썰어 먹어야겠지만 저희 할머니께선 김장김치처럼 쭉쭉 찢어먹어야 맛있다고 하셨어요. 금방 지져서 뜨끈한 배추 지짐이를 할머니가 손으로 쭉쭉 찍어주시면 돌돌 말아서 간장에 콕 찍어 먹으면 입천장이랑 목구멍이 뜨끈뜨끈했어요. 


돔배기(상어고기)



    상어고기를 돔박 돔박 네모지게 썰었다고 해서 돔배기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소금에 절여서 매우 짜기 때문에 소량씩 먹어야 합니다. 지금은 소금의 양이나 절이는 시간을 줄여 덜 짜지만 그래도 익히기 전에 물에 살짝 담가서 짠기를 빼주는 게 좋아요. 밀가루와 계란물을 입혀서 굽기도 하지만 저 어릴 때는 아무것도 묻히지 않고 기름에 지져서 산적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주로 제사상에 올릴 때나 먹던 음식이고 남으면 어머니께서 설탕과 약간의 간장으로 졸여 짭조름한 반찬을 만들어주시곤 했어요. 최근에는 수은이나 바다 오염 때문에 상어고기를 안 먹게 되어서 저도 맛이 가물가물하네요. 경상도 향토음식이라지만 대구, 포항, 영천, 경주 등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과 부산, 울산 경남권에서 자주 먹습니다. 전라도에서도 까치상어를 제사상에 올리는 경우가 있다는 데 돔배기와 같은 맛이라고 하더군요. 


안동 헛제삿밥 & 탕국


    

    저희 집에서 제사상에 오르는 나물들은 고사리, 무와 콩나물, 시금치, 도라지 같은 것들이에요. 제사 끝나면 이 나물들에 국간장, 참기름 넣고 탕국 국물 조금 넣어서 슥슥 비벼 먹어요. 저희 집에서는 탕국에 홍합, 소고기, 무, 두부를 깍둑썰기해서 넣고 맑은 국으로 끓여요. 다른 집에는 다시마나 문어를 넣기도 한다고 해요. 헛제삿밥은 이렇게 제사를 지내고 먹는 게 아니라, 제사 없이도 제사음식을 만들어 먹는 걸 의미해요. 안동에는 종종 이런 상차림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식당이 있어요. 예전에 <어서 와 한국은 처음이지>라는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친구들이 왔는데 맵지 않은 음식에 전통의 의미가 있으니 헛제삿밥을 잘 먹더라고요. 외국인 친구들에게 소개해주기 좋은 음식인 것 같습니다.   


빨간 소고기 뭇국



    아니, 맑은 소고기 뭇국은 무슨 맛으로 먹어요? 학교 급식으로나 먹었던 맑은 소고기 뭇국은 늘 뭔가 아쉬운 이유가 대구에서는 칼칼한 소고기 뭇국을 먹거든요. 경상도식 소고기 뭇국을 검색하면 콩나물 넣는 레시피도 많이 나오는데 저희 집에서는 콩나물을 넣지 않습니다. 국 한솥 끓여서 여러 번 데워 먹어야 하는데 콩나물은 금세 질겨지니까 소고기, 대파, 무만 넣어서 시원하게 끓여요. 소고기 양지를 참기름에 살짝 볶고 나박 썬 무를 넣어주세요. 국간장이랑 액젓 조금 넣고 뚜껑 덮어 중불로 놔두면 무에서 물이 흥건하게 생깁니다. 어머니께서는 이렇게 간장에 살짝 졸이면 간이 잘 배서 더 맛있다고 하시네요. 여기다 고춧가루 넣고 슬쩍 볶으면 고추기름이 사악 뜹니다. 물 붓고 팔팔 끓으면 대파를 듬뿍 넣고 다진 마늘도 한 숟갈 넣고, 마지막에 액젓이나 소금으로 간을 더합니다. 제 동생이 충청도에서 학교를 다녔는데 친구들이 빨간 소고기 뭇국 먹어보고 다들 맛있다고 엄지 척이었다네요. 이 국은 끓일수록 진국이라 한번 끓일 때 큰 솥에 끓이시길 추천합니다. 


콩잎김치


    이 콩잎은 저희 아버지 최애 반찬인데요. 저희 집에서는 깻잎처럼 간장 양념에 발라서 절였다가 먹지만 된장을 발라서 삭혀 먹는 집도 있다고 해요. 단풍잎이 살짝 물들 무렵 누런 콩잎을 따서 소금에 삭히는데, 이게 나뭇잎처럼 보여서 외지 사람들은 나뭇잎을 먹는다고 오해한대요. 여기에 김치 양념처럼 고춧가루, 액젓, 마늘, 매실청 좀 넣어서 콩잎 무침을 만들어요. 시장에서 파는 삭힌 콩잎을 사서 양념과 켜켜이 쌓아서 맛이 들면 깻잎이랑은 다른 매력이 있습니다.


전 찌개    


    조사하다가 깜짝 놀란 게 이걸 걸배이(거지) 탕이라고 부른다고 하더라고요? 남은 전으로 끓여먹는다고 붙은 이름이라던데 너무 심한 것 같아요. 저는 그냥 전 찌개라고 부릅니다. 제사 지내고 조기 구운 거 남으면 구운 생선으로 무깔아서 조림해먹어요. 남은 전에는 양파, 대파, 고추 썰어 넣고 고춧가루, 국간장, 다진 마늘, 새우젓 조금 넣어서 전 찌개 끓여 먹으면 맛있어요. 기름진 전의 맛이 국물에 우러나니까 굳이 육수 쓸 필요는 없고 쌀뜨물 쓰면 좋아요. 제사 지내고 남은 나물을 넣어서 밥 비벼 먹고, 전 찌개 하고 생선은 조림해서 먹으면 제사음식 버릴 일이 없죠. 저희 집에서는 고구마전이랑 산적, 동그랑땡을 꼭 하는데 이 전들이 전 찌개와 잘 어울려요. 그밖에 버섯이나 배추전도 좋고, 부추전은 흐물흐물 풀어져서 모양새는 좋지 않지만 국물에 적셔진 부추를 건져 먹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갱시기죽(밥국)



    어렸을 때는 안 먹었는데 나이 들고 맛있다고 느낀 음식이에요. 저희 집에서는 '밥국'이라고 부르는데 멸치육수에 김치, 콩나물, 떡국떡, 찬밥을 넣고 끓여서 뜨끈하게 먹습니다. 밥알이 푹 퍼지는 것이 포인트인데 추운 겨울날 아침에 먹으면 속도 뜨끈하고 전날의 숙취도 깔끔하게 풀어질 수 있어요. 솔직히 비주얼 자체는 그렇게 맛있어 보이지 않지만 익숙해지면 정말 맛있습니다. 경상도 출신 부모님이 계시거나 경상도에서 유년기를 보내신 분은 아마 비슷하게 생각하실 것 같아요. 


어름(으름) & 개구리참외


왼쪽: 개구리 참외 /오른쪽: 어름(으름)


    토요일에 음에서 '경상도 향토음식'을 주제로 소통방을 열었어요. 거기서 어름(으름)이란 과일과 개구리참외 이야기가 나왔어요. 산에서 자라는 야생과일인데 어름(으름)은 얼음처럼 시원한 맛이 난다고 붙은 이름이래요. 요즘 과일은 많이 달게 나오지만 예전 과일은 단맛은 적고 시원한 물을 먹는 느낌으로 먹었던 것 같아요. 재래종 개구리참외는 이제 생산량이 많지 않고 2015년 천안배원예농협에서 차별화된 지역특산물을 육성하려고 재배하고 공급하고 있습니다. 인기가 많아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과일이 되겠죠?


<사진출처>

늙은 호박전

배추잎전

돔배기 

경상도식 소고기 뭇국

콩잎김치

전찌개

안동 헛제삿밥

매거진의 이전글 감자전과 막걸리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