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낳고보니 꿈이엄마 Jun 07. 2021

방법 5. 일반 명사로 말하기

1장. 신생아부터 말문이 트일 때까지 말걸기

방법 5. 일반 명사로 말하기


 학생 신분 일 때 소아 치과에 실습을 나가면서 아이들에게 뽀통령의 존재가 의미하는 바가 얼마나 큰 지 알게 되었다. 치과 치료를 받으러 온 아이들 얼굴에는 이미 울음이 한가득인데 화면에서 뽀로로만 나오면 진료실엔 평화가 찾아왔다. 그때 자연스레 주인공 고글 쓴 애가 뽀로로고 악어 같이 생긴 애는 크롱이라는 이름이고 뭐 이런 걸 알게 되었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다 보면 각종 캐릭터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캐릭터들이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영혼의 동반자임에는 분명하지만, 나는 요란하고 자극적인 듯 보이거나 끊임없는 소비를 유발할 것 같은 캐릭터들을 아이에게 너무 일찍부터 알게 하고 싶지 않았다. 더불어 정확하고 필요한 어휘들을 잘 가꾸어 알려주고 싶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것을 단어들은 더더구나 말이 트이기 전엔 알려 주고 싶지 않았다. 무언가의 명칭을 알게 되면 어떤 상황에서 그 단어를 활용할 능력이 커지기 때문에, 단어 인지는 그 이상의 엄청난 함의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의 입육아 다섯 번째 방법은 일반 명사로 말하기이다. 뽀로로는 고글을 쓴 펭귄이라고 말해주었고, 크롱은 악어, 나머지 주인공들은 북극곰, 여우, 비버, 참새, 펭귄 등으로 불렀다. 학생 때 알게 된 뽀로로와 크롱 외에 다른 주인공들 이름은 실제로  지금도 잘 모르기도 하고 그 덕에 일반 명사로 부르는 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뽀로로와 크롱은 내가 이미 알고 입에 붙은 이름이어서 바꿔 부르는 게 나도 매번 매끄럽진 않았다. 분명 이름이 의식 구조를 많은 부분 지배하는 게 맞다는 걸 절실히 느꼈다. 또 유명한 캐릭터인 핑크퐁도 분홍색 여우라고 불렀다. 롯데월드에 갔을 때는 암컷 너구리와 수컷 너구리라고 불렀다. 애버랜드가 아니라 놀이동산이나 테마파크라고 말했다. 너무 억지스러운 것 같기고 하고 뭘 그렇게 까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애버랜드가 아니라 놀이동산이라는 단어를 익히는 것이 훨씬 중요했다. 책을 읽을 때도 이해가 바로 되고 일상 대화를 알아듣는 범위도 늘어난다. 매번 그렇게 하는 게 어색할 순 있지만 적어도 처음 말을 배우는 신생아에서 돌쟁이, 말문이 아직 터지기 전 아이에게는 의식적으로 그리 했었다. 모든 것을 흡수하는 시기의 아이에게 정제된 것을 알려 주고 싶었고, 어차피 어휘가 많이 늘어난 36개월 이후에는 뽀로로나 크롱 같은 고유명사로 불러도 인지나 활동에 큰 영향이 없고 또래와의 놀이에 문제없이 참여할 수 있었다.


마지막 문단에 덧붙이고 싶은 시가 하나 있다.


김춘수 <꽃>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이 시는 사물들은 불리는 언어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한다. 길게는 어휘 습득 시기뿐 아니라 살아가면서도 좋은 언어로 좋은 세상을 그려주고 싶은 엄마의 과잉 의욕이 담긴 입육아일 수 있지만(물론 캐릭터가 나쁘다는 의미는 더더욱 아니다.), 아이들도 결국에는 내가 사용하는 언어가 나의 삶을 지배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으면 한다.




 

이전 06화 방법 4. 동요나 멜로디를 활용해서 말하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