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로지 Mar 24. 2024

워킹맘은 약한 소리가 하기 싫어서

그렇게 약해지나 봅니다

누가 시켜서 워킹맘이 된 것도 아니고

자발적으로 '내 일'은 꼭 만들어나가고 싶어서 시작된 워킹맘 생활.


양가의 도움과 등하원에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지지해 준 남편의 도움에도

워킹맘으로 살아가기란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특히나 회사 안에서나 회사 밖에서나 워킹맘이 되고 나서 느낀 건

더더욱 약한 소리가 하고 싶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업무 누가 할래?


선뜻 내키지 않는 업무도 절대 '노' 하는 법이 없어졌다.

아기를 낳기 전 그렇게 '노'를 남발하던 나였는데, 이젠 예스맨이 다 되었다.

물론 나도 하고 싶어서 혹은 열정이 넘쳐나서 그런 건 아니다.

그저 내 '노'가 육아를 핑계 삼아 도망가려는 모습으로 비칠까 싫었다.


오늘 아기가 아파서...


아이가 아파서 등원을 못하는 날도 어떻게든 주변의 도움을 구하곤 했다.

아이가 아파서, 아이 어린이집 일정이, 아이 아이 아이... 

휴가를 낼 때 '아이 때문에'라는 말이 정말 하기가 싫다.

다행히 재택이 허용되는 남편이 있어서 우리 집의 아이 병원 당번은 대부분 남편이다.

그렇게 또 남편에게 미안한 사람이 된다.



이직은 그림의 떡인가요?


워킹맘의 이직이 이렇게 힘든가? 싶게 느껴지는 것도 있다.

운 좋게 잡힌 면접에도 면접 준비 시간을 내기란 쉽지가 않다.

퇴근 후에 아이를 부모님 댁에서 픽업해 오면 꼼짝없이 10시까진 아이와 한 몸이고

아이와 같이 잠들기라도 하면 눈뜨면 출근 시간이다.

굳은 의지로 새벽에 일어나 1~2시간 면접을 준비하는 것 그게 최선이었다.






남들 눈에 비치는 내가 아이를 핑계 삼아 편해지려는 것처럼 보일까 봐

내 눈에 비치는 내가 아이를 핑계 삼아 이직을 못하는 것처럼 보일까 봐

나는 그렇게 1년을 전전긍긍하며 약한 소리를 쉬쉬했다.


그렇게 1년을 약한 소리를 안 하려고 보내고 나니

난 강한 사람이 되어있는 게 아니라 약한 사람이 되어있다.


아이한테는 늘 바쁜 엄마

부모님과 남편에게는 늘 미안한 딸, 아내

나 자신에게도 늘 부족한 나


나를 둘러싼 워킹맘이라는 현실을 아무것도 아니라고 당당하게 맞설수록

나는 점점 약해지는 건 무슨 아이러니일까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 난 좀 약해질 필요가 있겠어'


아이 핑계도 대보고 모든 게 이 세상 탓이라는 원망도 해보고

내 부족함에 조금 더 관대해지기로 말이다.

약해지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결혼 전에 꼭 한번 이야기 해 보기로 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