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상현 Jun 07. 2020

어떤 관념

내가 보는 내 모습, 그리고 다른 사람이 보는 내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객관적 일지 주관적 일지 생각의 잣대를 가늠하기 어렵다. 내가 스스로에게 정의할 수 있는 내 모습은 무엇일까. 외부의 충격에 반응해 나의 모습을 일그러뜨리며 스스로 내 모습을 망쳐버릴 때가 종종 있다. 나는 그 외부의 충격에 벗어나고 싶은 충동을 수 없이 느낀다. 그 충격은 스스로를 파괴해버리기 충분하다. 하지만 스스로를 파괴해 껍질에서 벗어나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물음을 가진다. 


분노를 참을 수 없는 상대가 있고 있을 수 있다. 그러지 않기를 바라지만 그 상대가 소중한 가족이어야 할 사람 중 한 사람이 될 수가 있다. 세상의 모든 평화를 바라긴 하지만 가끔 파괴된 세상의 나는 그 사람을 증오하는 마음을 키워 분노를 앞세우고는 한다. 분노하는 순간 나는 패배자가 된다 는 관념에 빠져버리고 세상의 모든 것을 포기하기도 한다. 포기하면 모든 게 쉬워진다. 그리고 다시 잡을 수 있는 것을 잡기 어려워진다. 열어버린 판도라의 상자에서 나온 희망마저 비아냥거리게 된다. 


나는 무엇을 해야만 할까. 어떤 방법이 있을까. 나는 끊임없이 생각해본다. 하지만 이 물음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나의 에너지는 바닥을 치고 나의 모습을 복구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나 스스로가 원했던 만큼 나는 내면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나는 좀 더 괜찮은 사람이길 원했던 것이다. 가끔 너는 괜찮은 사람이야 라는 말을 주변의 누군가에게 듣기도 하지만 스스로를 파괴해 버린 나는 나의 모습에 심한 좌절을 느끼고 만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풀어 나가면 될까.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풀어가면 혹시나 잔혹 동화가 될까 섣불리 이야기를 풀어가지 못하는 나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놀이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