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진 Jul 18. 2022

가장 어두운 시대에 조차 어떤 등불을 기대할 권리

연극 '더 헬멧'(2022) 관람 후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더 헬멧>(2022)의 공연 정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어쩔 수 없이 이것이다. "작품의 특성상 매우 협소하고 좁은 공간에서 공연이 진행됩니다. 폐쇄공포증을 가지고 계신 관객분 혹은 임신 중이신 분 등 좁고 답답한 환경에서 장시간 공연 관람에 지장이 있으신 분은 관람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이 말은 정말이다. 그 자체로 작은 극장이기도 하지만, 객석과 무대 사이의 거리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안내 방송에는 1열 관객들은 발을 가지런히 하고 주변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작은 신체 움직임도 자제해달라는 내용이 나온다. 불과 70분의 짧은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보고 나면 온몸이 뻐근해지는 체험. <더 헬멧>은 1987년과 1991년 서울을 각각 배경으로 하여,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대학생들과 이들을 진압한 백골단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연극 '더 헬멧' 캐스팅보드(7월 17일(일))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한정된 공간과 적은 수의 인물을 다루는 <더 헬멧>의 주안점은 '빅 룸''스몰 룸'으로 나뉘는 무대 구성이다. 그러니까 C구역과 D구역 관객은 '빅 룸'의 이야기 위주로, A구역과 B구역 관객은 '스몰 룸'의 이야기 위주로 공연을 체험하게 된다. 마치 장준환 감독의 영화 <1987>(2017)에서 신발가게 주인이 셔터를 내려 연희(김태리), 한열(강동원)과 백골단원 사이를 가르는 것처럼, 빅 룸의 이야기를 보는 동안 대부분의 스몰 룸 이야기 혹은 정보는 음성으로만 간접적으로 들리거나 시야로부터 가려진다. 관객은 동일한 '룸' 안에서도 일부의 이야기만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부분이 어떻게 전체가 되는지를 경험하게 된다.


대규모의 환경에서 수많은 인물들이 나오는 이야기보다 <더 헬멧>처럼 소규모 환경과 제한된 인물로 구성하는 이야기가 더 '잘' 쓰기 어렵다. 연출과 무대 구성에 있어서의 실험적인 면만 <더 헬멧>에서 부각되는 게 아니다. 시고니 위버가 중요하게 언급되는 <에이리언 2>(1986)라든지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의 명곡 'My Way'(1969) 같은 문화적 레퍼런스를 극에 끌어오는 방식 또한 훌륭하다. 눈앞에서 온몸으로 겪는 이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을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로 만나는 후대의 관객들에게 그것을 어떻게 '체험'시킬 수 있는지에 관해 모범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대답이다. 공연이 끝난 뒤, 몇 대는 함께 얻어맞은 듯한 기분으로 '방'을 나서게 된다. 어떤 인물은 그곳을 나간 적이 없었다고 독백한다. 또 어떤 인물은 복학해서 <에이리언 3>(1992)를 볼 거라고, 학교에서 다시 만나자고 이야기한다. 21세기의 사람들이 누리는 평범한 일상이, 어떤 시대에는 쉬이 허락되지 않았다는 간명한 사실이 슬픔을 비롯한 모든 감정을 동반한다. (2022.07.17.)


연극 '더 헬멧' 스틸컷


https://www.youtube.com/watch?v=qQzdAsjWGPg


7월 17일 저녁, 커피한약방 혜화점에서

*영화 매거진 <무비고어> 세 번째 시즌 펀딩: (링크)

*인스타그램: @cosmos__j

*모임/강의 등 공지사항: bit.ly/cosmos__j

매거진의 이전글 알 수 없는 방식의 연결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