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진 Jun 11. 2019

'아무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라는 느낌

모두에게 연결되어 있지만

'모두에게 연결되어 있지만 아무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라는 느낌은 내게 가끔씩 사실인데, 그 가끔이라 함의 빈도는 조금씩 잦아져가는 것 같다. 오늘은 오후 내내 동네 카페에서 글을 쓰다 나왔는데, 횡단보도 앞에서 누가 지도 앱 화면을 보여주며 길을 물었다. 다행히 근처였고 간단히 이야기할 수 있는 위치였다. 내 설명을 들은 그는 방향을 한 번 더 확인한 뒤 고맙다고 하며 그의 길을 갔다. 그에게 나는 '동네 사람'처럼 보였을까. 아니면 '동네 사람이 아니어도 길을 알려줄 수 있을 만한 사람'처럼 보였을까.


길을 걸을 때는 거의 모두에게 '경계심을 완전히 해제하지는 않은 태세'를 유지하는데, '정말 순수하게 길을 묻고자 말을 거는 사람'이라는 건 그의 얼굴과 눈빛 한 번만 봐도 단번에 알 수 있는, 경계하지 않아도 될 법한 것이었다. 이건 언제나 오프라인에서만 온전하게 가능한 종류의 것이다. 직접 대면하며 말을 주고받을 때는 '비언어'가 있기 때문에 말이 발화되기도 전에 이미 상대의 의중을 알거나 일부 짐작할 수 있는데, 온라인 공간에는 대부분 표면화된 언어와 이미지만 있고 대화 역시 피상적이기 쉽다. 언어에 있어 진정 중요한 흐름과 맥락은 많은 경우 그 표면 자체보다 경시된다.


요즘 내 경우에는 불과 몇 년 전과 달리 '소셜미디어'를 거의 필요에 의해서만 유지할 뿐 대화 자체의 흥미나 온기는 일부를 제외하면 평상시에는 이미 옅어졌다. 이건 어쩌면 본인이 글쓰기와 기록하기에 주로 골몰해 있어 타인의 일상이 종종 '따라가야 할 정보'가 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통계적 참고의 목적으로 이 계정을 스스로 '비즈니스 계정'으로 전환해두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마케팅 용도의 계정이 주로 쓸 법한 말인 "소통해요~"만 공허한 게 아니라 이를테면 사진의 캡션을 보지 않아도 라이크를 누를 수 있는 편리함도 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같다는 것이다. 통계가 제공하는 '프로필 방문'이나 '도달' 같은 갖가지 지표는 그 자체로는 별 의미와 감흥이 없어서, 최근에는 굳이 '비즈니스 계정'을 유지하는 일이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개인 계정'이라는 느낌을 스스로가 약하게 만든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생각들을 무질서하게 오가며 다시 꺼내 읽고 있는『뉴필로소퍼』 한국판 창간호의 제목이자 테마는 '너무 많은 접속의 시대'다. 이 말은 그래서 최근 들어 더 정확하게 다가온다. 접속도 정보도 너무나 넘쳐나고 간편할 따름이어서 오히려 대화를 막는다는 느낌. 편리함이란 안온함과는 대체로 반대의 개념인 것 같기도 해서. 요즘 자주 불편한 것들을 찾는다. 구체적으로 뭐가 있을지는 선뜻 모르겠어서, 계속해서 찾는 중이다. '혼자의 시간 보내기'나 폰 안 보기' 같은 건 나한테 편한 거라서, 그런 것 말고. (2019.06.10.)





*

그는 무심하게 어깨를 툭툭 친다거나 대뜸 "저기요" 같은 말부터 꺼낸 게 아니라, 조심스럽게 가까이에 와서 내가 그에게 주의를 향하게 한 뒤, 자신의 손 안의 지도 앱 화면을 가리켰고 그제야 화면상의 특정 지점을 언급하며 본인이 찾는 위치와 그에 따른 필요한 도움을 (내가 경계를 풀 수 있을 만큼) 명확하고도 정중하게 이야기했다. 언제나 있을지 모를 사소한 순간이고 단지 짧은 몇 마디였지만 나름대로는 유의미한 순간이었던 것 같다. (단순하게는, '스마트폰이 있어도 정말로 길을 물어봐야만 하는 상황이 있구나' 하는 생각을 충분히 하게 될 수밖에 없는.)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의 1박 2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