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진우 Oct 17. 2023

직장 내 스트레스가 심하다면, 꿈 일기를 써보자

프로이트는 "꿈을 우리 자신의 정신적 활동의 결과"라고 말했다. 그러나, 꿈은 의식적 활동의 결과물은 아니다. 의식에 의해 검열당한 무의식적 정신활동의 결과며, 의미를 찾기 힘든 정신활동이다. 


그렇다고 꿈의 해석이 정신분석학자나 해몽가의 전유물은 아니다. 누구나 자신의 꿈에 의미를 부여하며 인생을 산다. 좋은 꿈을 꾼 날은 왠지 로또라도 사고 싶은 심정이 드는 것도 우리가 어느 정도 해석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직장인에게 꿈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수면의 질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은 이제는 상식이다. 하지만, 수면 중에 꾸는 꿈이 우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우리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다. 최근 노터데임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의 경영대학원인 멘도자 칼리지(Mendoza College of Business)의 캐셔 벨린다(Casher Belinda) 교수 등의 연구진이 직장인들에게 있어 꿈의 갖는 의미를 밝혀 주목받고 있다.


꿈은 일상적 경험과 유사하지만 일상적 경험과는 매우 다르다. 꿈에서 우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고, 기적적 체험도 많이 한다. 또한, 깨어 나서 꿈이 갖는 의미를 생각해볼 때, 꿈에 부여된 의미가 클수록 자신보다 큰 존재가 있다는 경외심을 느끼게 한다. 이는 오로라나 별똥별, 우주, 거대한 자연을 만날 때의 감정과 유사하다. 꿈이 갖는 의미가 크고, 꿈이 제공하는 정보의 양의 많을수록 경외심 역시 커진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대체로 긍정적인 꿈일 때만 그렇다. 꿈의 내용의 부정적일 때는 애써 무시 또는 억제하거나 합리화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경외심을 느낄 때, 자신이 현재 겪는 걱정이나 우려는 상대적으로 하찮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오로라나 우주, 그리고 거대 자연현상을 경험하다보면 자신조차도 작아 보이는데 그 속의 고민은 말할 것도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경외심을 경험하면 다른 관점으로 사건을 바라보거나 좀 더 넓은 맥락에서 사건을 보기 쉽다. 따라서, 직장 내에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이라면 경외심이라는 감정이 부정적 감정을 줄이고, 넓은 맥락에서 대처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처럼 회복탄력성이 증가하면 업무 성과나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 역시 높아진다.


벨린다 교수 등은 640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매일 꿈 일기를 꾸준히 쓰게 해서 좋은 꿈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다음 날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업무 목표에 집중하도록 도와주는지 살폈다. 성실히 데이터를 제출한 최종 493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좋은 꿈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경외심을 경험하게 하고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내도록 도왔다. 예상대로 나쁜 꿈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좋은 꿈을 긍정적으로 해석한 사람들은 직장에서 회복탄력성과 목표집중 정도가 높았다.



출처: Belinda, C. D., & Christian, M. S. (2023). A spillover model of dreams and work behavior: How dream meaning ascription promotes awe and employee resilie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66(4), 1152-1182.


꿈 일기를 쓰는 것은 꿈을 기억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만약 직장 내에서 괴롭고 힘든 일이 많다면 꿈 일기를 써보시라. 성공한 기업가들이나 뛰어난 과학자, 혹은 예술가들처럼 꿈에서 직접적인 답을 얻기는 어렵겠지만, 꿈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효과는 당신이 평소 직장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느끼고, 세상에 다양한 현상에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더 크게 누릴 수 있다. 긍정적인 사람들은 꿈을 긍정적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높고,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 역시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말에 "꿈보다 해몽"이란 말이 있다. 


심리학자들은 해몽에 과학적 속성이 있다고 믿지 않지만, 꿈보다 해몽은 심리적 효과가 있다고 믿는다. 실제 꿈의 내용은 아주 좋은 내용이 아닐 수 있지만,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당신의 태도가 변하기 때문이다. 꿈보다 해몽을 믿어보자. 좋은 꿈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직장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꽤 괜찮은 힘을 발휘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브레인스토밍이 집단 창의성을 높인다고? 착각 마시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