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오피니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수정 Aug 25. 2023

미래의 전통이란 그런 것이다

할머니 고추장을 챙겨먹게  계기는 아무래도 자취생활이었던  같다. 기숙사를 나와 처음으로 혼자 살게 되었던  , 엄마는 냉장고에 할머니표 된장과 고추장을 채워 넣었다. 열아홉살이  그렇게 휘황찬란한 요리를 해먹지는 않았지만, 나물을 넣고 비벼먹는 비빔밥부터 영혼의 간식 떡볶이까지 고추장은 당시 나에게 된장보다  쓸모있는 식재료였다.


언젠가 할머니표 고추장이 떨어졌을 때 뭐 다르겠어? 하며 시중 태*초 고추장을 샀다가 낭패를 본 적이 있다. 할머니 고추장은 매우면서도 담백하고 끝 맛이 상큼했는데, 시중 고추장은 텁텁하고 달기만 하지 맛이 없어 먹을 수가 없었다.


할머니 고추장의 위대함을 깨닫게 된 이후로 나는 그 고추장만 먹을 수 밖에 없었다. 엄마는 떨어질 때마다 부지런히 외할머니 댁에서 공수해다가 채워 넣었다. 결혼 하고 나서도 할머니는 첫 손녀딸의 식탁까지 걱정해가며 손수 만드신 고추장과 고소한 참기름을 챙겨 주셨다.


그러다 엄마가 고추장을 직접 만들게 된 계기가 있었다. 여느 때처럼 바리바리 딸에게 줄 장이며 반찬을 싸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먼 길 가는 동안 터지지 않게, 상하지 않게 정성스레 싸는 엄마를 가만히 보던 아빠가 한마디 했다.


“언제까지 장모님 고추장을 퍼다 나를 꺼야? 연세도 드셨는데.”


그 말에 꽝 뒤통수를 맞은 듯 얼얼해진 엄마는 그 해 가을 머리통만한 단지에 직접 할머니께 전수받은 방법으로 고추장을 담았다. 엄마가 60세가 될까말까 한 나이에 처음으로 담아봤단다. 뭐하러 힘들게 담았냐고 하니 “우리 딸 꼬추장 못 먹을까봐”란다.


-


  우리 어머님은 먹는 것에 진심이시다. 처음 결혼해서는 주말마다 손수 불고기며 소고기완자국, 칼칼한 찌개, 굴비 갈치를 구워 주셨다. 맛 또한 일품이었는데 무엇보다도 재료를 아끼지 않고 팍팍 넣으신다. 소고기완자국에 넣을 무를 도마에 놓고 썰지 않고 한 손으로 들고 칼로 비켜 부채꼴로 써는데 ‘삐댄다’고 한다. 그러면 정사각형으로 자른 무와는 다른 식감을 가진다. 소불고기도 야들야들 고소하면서도 부드럽다. 그런데 절대 레시피를 공개하지 않으시는데 그 이유는 “알려주면 여기 와서 안 먹을까봐”


그래도 집에서 해 먹을게 없다며 졸라 소불고기 레시피를 얻었다. 아마도 아들 먹을게 없을까 한숨 쉬며 알려주신 듯. 그래도 영 그 맛이 아니었다. 여러번의 실험 끝에 짜꿍이 입맛을 기준으로 성공! 그 성공의 열쇠는 바로 ‘생강’의 양이었다. 어머님! 제가 드디어 어머님 맛을 내요!


무엇보다 우리 어머님은 꽃게찌개를 잘 끓이신다. 살살 녹는 꽃게 살에 달달한 국물 한 스푼, 임신 기간에 그 맛이 생각날 정도로 일품이다. 그래서그런지 아이도 할머니의 꽃게찌개를 좋아한다. 꽃게를 다듬는 것도 그렇고 감히 따라 하는 건 엄두도 못 낼 맛이다. 서해안에 사는 관계로 철마다 꽃게를 쟁여 먹는데 내가 할 수 있는 건 찜통에 쪄먹기. 어머님께 너무 맛있다며 호들갑을 떨었더니 “이거 쉬워. 된장하고 야채만 좀 넣으면 돼.”


하루는 무슨 용기가 났는지 꽃게찌개를 끓여보기로 했다. 내 아이에게 해주고 싶었다. 냉동된 꽃게를 칫솔로 쓱싹 문질러 닦고, 가위로 조심스레 분해하기 시작했다. 고추는 매우니까 생략, 당근 애호박 무우 파를 썰어 넣고 된장을 풀었다. 정말 된장만 넣어도 될까? 잠시 고민했지만 더 넣을만한 것도 없었다. 된장 푼 물이 끓자 야채를 먼저 털어 넣었다. 다시 끓어오를 때 이제 대망의 꽃게를 넣었다. 국물이 잠잠해졌다가 다시 보글보글 소리가 난다. 잿빛의 게껍질이 붉게 달아오르면서 난다! 난다, 냄새가 난다! 달큰한 꽃게 국물의 냄새!


그날 저녁 만찬은 아이의 엄지척으로 마무리했다. 바로 이 맛이야! 밥 한공기를 단번에 비운 아이는 크게 외쳤다. 호박도 맛있고 게살도 맛있고, 당근도 맛있어. 엄마, 또 해줘!


내 몸에 새겨진 풍미가 이렇게 아이의 입맛으로 이어진다.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맛의 문화가 가계를 통해 전해지고 있었다. 한국인이 고달플땐 엄마표 된장찌개가 생각 나듯 오스트리아 사람에겐 굴라쉬가, 미국 중부사람들에게는 미트볼스파게티가 땡긴다. 마음으로부터 그 맛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보수적인 맛의 감각은 어머니의 어머니로부터 내려왔다.


미래의 전통이란 그런 것이다. 모든 세계의 문화가 노출되고 소비되고 중첩되고 피로하게 느껴지는 가운데서도 나를 흔드는 한 끗 차이가 있다. 내 감각이 땡겨 좋으면 닮고 싶고, 잇고 싶고, 계속하고 싶은 것이다. 언제였는지도 모르게 스며자꾸 입 속에 맴돌아 노래 부르고 싶고, 이야기하고싶고, 불편해도 입고 싶고, 맛보고 싶고 내 몸에 새기고 싶은 것이다. 기꺼이 수고로움을 감내하며, 그래서 그 맛과 멋을 내 자식에게 전해주고 싶은 것이다. 시간이 자꾸만 달아나 조급해진다. 조만간 우리 엄마의 나물무침을 배워 아이에게 해 줘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브런치 작가가 진짜 작가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