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길을 타고 건너온 다양한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 바다에 접한 개방성으로 일찍이 개화(開化)의 꽃을 피웠지만 탐욕스러운 제국주의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 바로 인천이다.
여기에 이국적 건축물과 시대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동네가 있다. 바로 한국 속 작은 중국이라 불리는 ‘인천 차이나타운’과 ‘개항장 거리’이다. 이곳을 거닐다 보면 어느새 세상 밖 마을 ‘송월동 동화마을’에 도착한다. 이 세 곳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제1 패루 중화가
한국 속 작은 중국
인천은 조선 시대에는강대국들의 각축장이 되어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모두 치러냈다. 바다를 접한 땅의 운명인지, 일본이 1883년 강화도 조약으로 인천항을 강제 개항시키면서 구한말 서양 문물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게 된다.
인천 하면 떠오르는 이름 중 하나가 ‘인천 차이나타운’이다. 언제부터 어떻게 생겨났을까?
인천항이 개항된 다음 해인 1884년 제물포 지역이 청나라의 치외법권 (治外法權)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기지인 조계지가 설정된 것이다. 이후 중국인 2000명이 현재의 선린동 일대에 이주하면서 현재까지 130년이 넘는 동안 화교 고유의 문화와 풍습을 간직하는 한국 속 작은 중국이 형성되고 있다.
차이나타운은 서울과 부산 등 여러 곳에 있지만, 역시 인천 차이나타운이 정통성으로 보나 규모 면으로 보나 단연 으뜸이다.
인천 차이나타운
우리나라 최초의 열차인 경인선 종착역이 바로 인천역이다. 1호선 인천역을 나오면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바로 ‘中華街‘(중화가)라고 쓴 커다란 제1 패루이다. 패루는 중국인들이 동네 입구에 마을의 대문으로 세운 것으로, 붉은 기둥 위에 지붕을 얹은 탑 모양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부정한 귀신을 쫓고 상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중화가, 선린문, 인화문, 한중문 4개의 패루가 차이나타운의 경계를 표시한다.
차이나타운
중화가 패루를 지나자마자 거리는 온통 빨간색이다. 길 양쪽에 즐비한 중국풍 건물과 한자 간판, 홍등이 보인다. 여기가 중국인가? 하는 생각이 초입부터 들기 시작하는 이유다. 기름진 짜장면 냄새가 코 끝에 밀려오면 이미 짜장면 거리에 들어선 거다. 한국인의 사랑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짜장면을 원조집에서 먹겠구나 하는 기대감이 수직상승한다.
초입 사거리를 지나자마자 '황제의 계단'이 보인다. 5층까지 연결된 계단에 3층부터 무릉도원, 만리장성, 도화원 복숭아가 그려져 있어 중국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는 묘미가 있다. 2층 황제를 알현하고 1층 왕의 길로 내려오는 어린 왕자가 보인다.
화덕만두, 양 꼬치, 공갈빵, 월병, 탕후루 등 다양한 먹거리들로 넘쳐나는 거리. 줄이 길게 늘어선 가게에서 무엇을 파나 봤더니 화덕만두네.
황제의 계단
의선당
줄을 선 화덕만두 가게
여기저기서 짜장면의 원조를 자처하지만, ‘공화춘’이 원조라는 것은 ‘짜장면 박물관‘에 가보면 저절로 알게 된다. 짜장면 박물관은 우리나라 짜장면의 발상지인 옛 공화춘 식당 건물을 헐고 2층으로 건립하였다. 짜장면에 관한 모든 것을 시대별로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졸업식의 대표 음식이 된 짜장면을 먹는 일가족을 재연해 놓은 코너는 중년층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짜장면 박물관
짜장면은 원래 중국에선 작장면으로 우리가 먹고 있는 짜장면 맛이 아니라고 하는데, 언제부터 전 국민이 애정하는 짜장면이 생겨났을까? 청국 조계지에 중국요릿집이 생겨나면서부터이다. 인근 인천항에서 일하던 부두 노동자들이 싸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된 것이라 한다. 또 ‘누들 플랫폼’에 가면 각종 면의 발전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짜장면 박물관 실내전경
누들플랫폼
인천원조냉면과 무지개 빛 라면행렬
청일 조계지 위쪽에 가면 ‘삼국지 벽화거리’가 나온다. 벽면에 삼국지연의의 명장면 160개가 펼쳐진다. 도원결의, 적벽대전 등 유명한 내용이 잘 설명되어 있어 천천히 걸으며 감상하다 보면 ‘삼국지’를 한 권을 읽는 기분이 들것이다. 스토리 순서대로 보려면 언덕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와야 한다.
차이나타운 뒤쪽에 위치한 자유 공원에 가면 인천상륙작전의 지휘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동상도 볼 수 있다.
삼국지 벽화거리
근대 개항장 거리
'1883 제물포 개항장'이라 쓴 설치물이 근대 개항장 거리의 시작을 보여준다. 길 건너편에 위치한 ' 대한통운' 건물은 세월의 흔적을 느끼게 한다. 당시 건물들이 지금은 근대 문학관이나 공연관 미술관으로 활용되고 있으니, 자원 선순환의 좋은 선례이다.
1883 제물포 개항장
대한통운 옛모습
근대 개항장 문화거리
인천시 중구청 앞은 개항 시대 일본인이 거주하였던 일본 조계지다. 일본은 청나라보다 1년 앞서 조계지를 설정하였다. 계단하나를 사이에 둔 '청. 일 조계지 경계 계단'을 보면 씁쓸함이 인다.
개항 초기 세워진 일본 주택들은 점포가 딸린 목조주택이 대부분이었다. 중구청사는 당시 일본 영사관 건물로, 1930년대 모더니즘 건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많다고 한다.
중구청 주변으로 펼쳐진 개항장 거리를 걸으면 타임머신을 타고 그 시대에 와 있는 것 같다. 모던 걸, 모던 보이가 되어 이 거리를 활보해 보라.
중구청 인근 역사문화의 거리
제물포 구락부는 개화기에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1901년 러시아인 사바틴이 2층 벽돌조로 건립한 곳이다. 실내에 들어서니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에서 많이 본 익숙함이 느껴진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호텔이 궁금하다면 대불호텔 전시관 들러봐도 좋겠다.
제물포 구락부
송월동 동화마을
현실이 버거울 때 가볼 만한 곳으로 ‘송월동 동화마을’을 추천한다. 건물에 그려진 동화 속 주인공을 만나는 동안 일상의 고단함과 시름을 잊을 수 있다. 사랑에 빠진 피노키오, 신데렐라와 호박마차, 흥부와 놀부, 미녀와 야수, 무지개 계단, 겨울 왕국 등 ‘포토 10선’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 골목 저 골목 한 바퀴 돌고 나면 마음속 깊숙이 잠자고 있던 동심이 저절로 발동한다.
'평화와 공생'길을 열다.
11월이라 그런지 '인천시민愛집'을 나설 무렵, 벌써 해가 지기 시작했다. 그 옆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저녁노을이 아름답다. 새벽을 알리는 빛이 될 이 석양처럼, 지나온 날은 오늘을 비추는 빛이 된다. 이곳은 지나날 '이기심과 배타성'이 할퀴고 간 자리에, 한줄기 빛처럼 나라와 인종을 초월한 '평화와 공생'의 길을 열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시간여행을 마치고 어둠 내린 중화가 패루를 앞에 서니, 문득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한다’는 글귀가 머릿속을 스친다. 이 세 곳을 품고 있는 도시답게 , ‘평화와 공생’으로 가는 모든 길도 통하고 열 수 있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