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세원 Feb 26. 2017

생각하는 대로 사는 것의 의미

영화 <컨택트>

좋아하는 김홍도의 그림 중에 <마상청앵도>라는 작품이 있다. 그림을 처음 보면 한자들이 눈에 먼저 띈다.


꽃 아래 佳人은 천 가지 황의 혓소리 내고 시인의 술독 앞에는 두 알의 귤 보기도 좋네.

언덕 위 버들가지 새를 어지러히 오가는 저 꾀꼬리, 안개와 비를 엮어 봄강을 짜는 구나.


이런 뜻이라고는 하는데, 한자에 까막눈이라 짐짓 모른 체하고 옆으로 눈을 돌리니 한 사내가 보인다. 그는 말 위에서 무언가를 보기 위해 서 있다. 영화 <컨택트>를 보고 나니, 나도 모르게 이 그림을 보았던 기억이 떠올랐다.



회상은 일반적으로 ‘지난 일’을 떠올리는 것이다. 그땐 그랬었지. 하는 기억과 함께 불러일으켜지는 아련함. 주인공 루이스는 과거뿐 아니라, 미래를 회상할 수 있게 된다. 루이스의 능력은 다른 타임슬립 물처럼 미래를 되돌리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그것은 루이스가 새로운 언어를 배우면서  살게 된 새로운 삶의 방식일 뿐이다.

옛날 그림은 내가 본 것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이 아닌,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읽어야 한다고 한다. 그 시대 사람들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썼으니까.


그 얘기를 듣고 다시 그림을 바라보면, 내가 <마상청앵도>에서 가장 먼저 바라보게 되는 것은 한자가 아니라,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작은 새 한 마리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길을 지나던 선비가 보인다. 그는 꾀꼬리가 우는 소리를 들었는지, 길을 가다 멈춰 서서 새가 앉아있는 곳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나서야 나는 봄에 걸맞은 시 구절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제야 나는 마치 선비가 그랬듯 새 한 마리를 만나 봄을 느끼게 된다. 아름다운 시 구절과 함께.


생각하는 대로 산다는 것은 프랑스 시인의 명언 ㅡ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by 폴 발레리— 에서처럼 의지의 문제에만 한정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무언가를 보고 듣고 느끼는 것 또한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것은 루이스처럼 미래를 내다보는 능력을 가지지 않더라도 마찬가지다. 아마 규정화하지 않아서 그렇지, 세상에는 약 71억 개의 삶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있을 거라, 나는 생각한다.



어떤 행동을 하는 순간, 그 미래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면 우리의 의지로 그것을 바꿀 수 있을까? 바꿀 수 있다면 이미 그에 따른 미래가 그 결과로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것은 아닐까? 아니면 원작 <당신 인생의 이야기>에 나오는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우리가 선택한 것이 바로 그 선택일지도 모른다.


루이스가 딸을 잃게 될 미래를 목격했음에도 결혼을 선택하고 딸과의 소중한 시간을 소중히 살아내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닐지 모른다. 루이스의 미래는 이미 벌어진 것이었다. 그것이 시간 순으로 현재보다 뒤일 뿐인 것이다. <마상청앵도>에서 우리가 한자를 먼저 감상하든, 꾀꼬리를 먼저 감상하든 그림이 그 모습으로 그려졌다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먹살힘(먹고살기 힘들다)을 외치면서도 우리는 살아간다. 언제가 죽을 것을 알면서도, 다른 사람의 인생이 내 것보다 훨씬 행복해 보이면서도, 우리는 함부로 극단의 선택을 내리지 않는다. 산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오직 루이스만 모든 것을 견뎌내며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모두 견디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특별했던 사랑에 대한 헌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