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컵플래너 Mar 09. 2021

마음에는 마스크가 없다

아플 땐, 그냥 아파하기

원래 친구를 좁고 깊게 사귀는 편이고


관계의 숫자를 늘리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아

적은 관계를 유지해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로


적은 관계마저 만나기가 힘들어지니

소외감을 느끼는 것 같아요.






마음에는 예방하는 마스크가 없습니다.

먹으면 금방 효과가 나타나는 약도 없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마음 다스리기를 어려워합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




애석하게도, 가족이나 남자친구, 

친한 친구, 심리 상담사 등 주위의 모든 사람은


마음의 마스크나 

즉각 효과가 나타나는 약은 되어주지 못합니다.


일시적인 진통제일 뿐이죠.

그 진통은 다시 오게 되어있습니다.






방법이라고 말하기 뭐하지만,

제가 택한 방법은 이것이었습니다.


아프면 아파하고, 슬프면 슬퍼하고,

미치겠으면 그대로 집을 나가서 술을 마시고 돌아왔어요.



아픔에, 슬픔에, 

미쳐서 속이 탈 듯한 감정에


마스크를 씌우지 마세요. 

사람이라는 진통제를 복용하지 마세요.

효과 좋은 약을 찾아다니지 마세요.



그냥 아파하는 게 최고의 치료제더라구요.






실컷 아파하고 괴로워하다보면

아프고 괴로워하는 게 지겨워지는 시점이 옵니다.


그리고 지겨워지는 그 시점에

희한하게도 많은 것들이 정리되어지고,

다시 꿈틀거리는 욕구가 살아나더라구요.



극단적인 선택으로 가지 않을만큼의

아픔과 괴로움은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 같아요.


저는 단언컨대 살면서

남들보다 훨씬 많이 아파본 사람이고

스스로 우울증이라고 얘기하고 다녔습니다.



그런데 아픔이 반복될수록, 깨닫는 게 있었습니다.


참지 않고 아파하면 

성숙해진다는 사실이요.






숨 막히는 마스크나 진통제를 찾지 않습니다.

소리없이 울지도 않습니다.



내 감정에 가장 솔직해지고

무너질 것 같으면 차라리 무너져버리는 게

나를 위한 선택임을, 오래 반복되어온 아픔 속에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 아픔이 경험이 되어

다른 이들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다는 사실도요.





저의 부족한 경험이


마스크나 진통제 대신

누군가에게 진정한 치료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부족하고, 또 부족한 글을 씁니다.




글에 최적화되어 있어


오롯이 주제에만 집중할 수 있는 

브런치라는 공간에게도,



어떤 경로로든


이 글을 통해 저를 만나게 된

여러분에게도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마음껏 아파하고 치유를 경험하시길 소망하며

글을 이만 마무리짓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잔잔한 물결같은, 사랑을 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