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iel Sep 16. 2023

스타트업 운영시
적정 직원 보상 수준


좋은 직원을 데려오고, 이들을 동기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보상과 연계해서 물어보는 창업자들에게 해주는 간단한 가이드라인 하나. 


가장 적절한 급여 및 복지는 그 급여나 복지에 대해 '딱히 좋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딱히 불만도 없는 상태'를 만드는 것. 보상에서 현타가 오는 경우는 주로 유사한 집단과의 비교에서 느껴지는데, 이 부분에서 'neutral'하게 만드는게 좋다는 뜻이다. 


개발자인 사람이 금융 투자업에 종사하는 친구와 급여를 비교하고 현타를 느낄 수도 있겠지만, 그건 회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하지만 유사한 규모 또는 유사 업종, 그리고 비슷한 경험을 가진 개발자들간에 급여차이가 너무 나서 이직을 생각하게 하는 건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상 최적 급여 + 복지 수준은 업계 평균의 '90~95%' 수준. 


이 논리의 근간에 깔려 있는 것은 사람이 보상 때문에 열심히 일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보상은 주로 '마이너스 요소'로 평가되는데, 높다고 해서 딱히 더 생산성이 높지는 않지만 낮다는 것이 확실하면 의욕을 떨어뜨리는 기능을 한다는 것. 돈 많이 받아봐야 한 일주일 정도 좋고, 그 다음엔 그 정도 보상을 '자기 수준의 인력에 대한 평균'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눈높이가 올라간다는 것이고, 그래서 보상을 크게 줘봐야 동기부여의 요소가 되지 못한다. 


다만 언제나 업계 평균선 전후의 보상만 할 수는 없는 것이고, 3~5년내, 즉 좀 멀기는 하지만 도달 가능성이 분명한 미래에 상당한 규모의 보상을 받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충족이 되어야 한다. 이건 스타트업의 특성상 급여는 받더라도 불안정한 미래라는 리스크를 짊어진 것은 평소의 월급으로 보상되지 않기 때문. 장기 인센티브 계약이든 스톡옵션이든 혹은 스톡그랜트든 3년 정도의 미래에 한 몫 챙길 수 있다는 약속도 추가로 필요하고 (물론 인력이 충분한 자격을 보여줄 때) 이를 위한 기준은 어디까지난 최소한 소속팀, 가능하다면 회사 차원의 실적과 연계되는 것이어야 한다. 개인 차원의 성취에 대해 이렇게 큰 보상을 하는 것은 대부분 그렇게 적절한 보상이 아니다. (대기업에서는 물론 다른 이야기)


---


오해가 있을 것 같아 하나 추가하자면, 보상을 neutral 하게 설정한다는 것은 경영진의 인간적인 매력이나 사업의 비전, 개인의 조직내에서의 존재감에 대한 만족이나 업무 성과에 대한 보람, 해당 회사 조직원으로서의 자부심 같은 비금전적 동기부여 요소들 중에서 최소 한 두 가지는 업계 평균보다 월등히 좋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창업자들이 이걸 어려워하니 돈으로 마음을 사려고 하고, 실패한다. 리더로서의 역량이 부족한 걸 돈으로 메꾸려고 하니 돈은 돈대로 쓰고 조직 관리는 관리대로 실패하는 것.

매거진의 이전글 스타트업은 꿈을 꾸는 직업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