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Aug 28. 2022

기록하는 역사에서 느끼는 역사로

영화 〈리옹으로의 여행(Blind Spot)〉 리뷰

7★/10★(클라우디아 폰 알레만 감독 작품, 1981년, 113분, 독일.)


  플로라 트리스탕. 이 이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혹 트리스탕이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도 그를 고갱의 외할머니 정도로만 기억할 것이다. 그러나 ‘○○의 가족’이라는 호칭은 중요한 업적을 남긴 여성을 모욕하고 삭제하는 가장 흔하고 쉬운 방법이다. 여성 인물의 생애를 논할 때 늘 남성의 이름으로 채워진 ○○를 걷어내고, 가족이라는 사회적 울타리를 경유해야만 하는 상황 자체가 기울어진 역사를 증거한다.     


  트리스탕은 탁월한 저술가였으며 걸출한 사회주의 활동가였다. 그녀는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자본주의 도시화가 야기한 계급 격차가 처참한 결과로 이어졌음을 고발한 기념비적인 저서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을 쓰기 4년 전에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런던 산책》을 썼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그 유명한 문구를, 노동자 스스로 쟁취하는 해방이라는 아이디어를 마르크스보다 먼저 썼고 제시하기도 했다. 그녀가 죽었을 때 1만 명이 운구에 참여할 정도로 노동자를 반자본주의 전선에 조직하는 데 탁월한 활동가이기도 했다. 동시에 자신의 여성 정체성을 해방의 전망에 반영한 탁월한 정치 감각도 갖고 있었다. 억압받는 남성일수록 아내를 더욱 강하게 억압한다는 그녀의 문장이 이를 증언한다. 요컨대 플로라 트리스탕은 정부와 경찰이 두려워하는 저술가‧활동가이자 남성 노동자의 젠더 기득권에도 반기를 든 선구적인 여성이었다. ‘죽어가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는 그녀의 결기가 서슬 퍼렇다.     



  그러나 이 중 그 무엇도 제대로 기록되지 못했다. 엘리자베트가 리옹으로 떠나는 건 이 때문이다. 〈리옹으로의 여정〉은 기억되지 못한 혁명가 플로라 트리스탕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젊은 여성 역사학도 엘리자베트의 시선으로 전개된다. 트리스탕이 리옹에 머물며 기록한 일기가 여정의 바탕이 된다.     


  영화의 템포에 주목해보자. 영화는 지극히 느린 속도로 리옹의 일상적 풍경과 트리스탕의 발자취를 좇으며 고뇌하는 엘리자베트의 모습을 오간다. 이는 트리스탕을 연구하는 엘리자베트의 방법론과 관련이 있다. 그녀의 지도교수는 자기를 삭제하고 남아 있는 기록과 주변인의 증언을 활용한 객관적 방법으로 역사를 연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엘리자베트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런 방법론은 트리스탕을 수동적 앎의 대상에 고정시킬 뿐이다. 엘리자베트는 트리스탕을 ‘느끼고’ 싶다. 그래서 그녀가 걷던 길을 걸으며, 그녀가 자주 향했던 강을 거닐며 그 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수시로 듣는다. 지금은 외국인과 노인만 남은 스산한 거리에서 트리스탕이 어떤 가능성을 발견하고 노동자 조직화에 투신했는지를 느끼려 한다.     



  트리스탕이 앎이 아닌 느낌의 대상이기에, 엘리자베트는 연구하는 동안 많이 ‘아프다’. 처음에는 가 닿을 수 없어서 고통스러웠지만, 어느덧 너무 깊게 들어온 트리스탕이 그녀의 몸과 마음을 뒤흔든다. 트리스탕이 점점 엘리자베트에게 스며들고 있다. 그 동질감이 그녀를 울렁거리게 하고 토하게 한다. 하지만 그 고통의 시간을 견뎌냄으로써 마침내 “내 걸음은 그녀의 것이 된다.”     


  객관적‧일반적 역사 연구가 아닌 동질감을 느끼는 엘리자베트의 연구 방법은 소수자 연구에서 특히 중요하다. 어떤 소수자의 역사든 도저히 가능할 것 같지 않은 대상과 맞서 싸운 사람이 있다. 그들의 동기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그들의 용기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결국 ‘느껴야’ 한다. 그러나 이 느낌은 늘 제대로 된 역사‧저항의 방법론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이런 방법론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늘 ‘과몰입’했다는 손가락질, 너무 예민하고 신경질적이라는 비난에 직면한다. 그러나 이런 비판은 불가능한 싸움을 시작하겠다는 다짐을 ‘비합리적’인 것으로 만듦으로써 저항을 무마하려는 반동적 시도일 때가 많다. 트리스탕이 자본주의적 폭력과 남성 중심주의적 세계에 맞서 싸우기로 결심했을 때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용기였음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이 용기를 객관적 방법론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아마 어려울 것이다. 어떤 연구방법론이든 독자를 설득하려면 어느 정도의 ‘선동’이 필요한 법이다. 이는 세계를 향한 ‘총체적‧객관적’ 전망을 필요로 하는 운동에서도 마찬가지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에 초청받아 서울국제여성영화제(SWIFF)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8월 25일부터 9월 1일까지 이어집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흡연하는 페미니스트라면,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영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