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May 06. 2023

엄마의 눈으로 본 세상

전주국제영화제, 〈어쩌다 활동가〉

어쩌다 활동가/Warm Welcome

Korea/2023/77min/한국경쟁     

  1968년생. 50대 중반의 여성 이윤정. 그녀에게는 두 가지 직업이 있다. 첫째는 가정주부. 대학에서 아동학을 전공하고 졸업과 동시에 번듯한 유치원의 선생님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이윤정은 직장 대신 결혼을 선택했고, 두 딸을 낳은 후 주부로 살았다. 두 번째는 활동가. 윤정은 2014년 세월호가 침몰했을 때 오랫동안 다니며 봉사하던 교회에 나가기를 중단했다. 세월호 참사를 슬퍼하는 그녀에게 누군가 ‘언제까지 세월호를 이야기할 것이냐’라고 말한 것이 계기였다.     


  지금 그녀는 미등록 이주자를 돕는 이주민 인권운동 단체에서 반상근자로 일한다. 엑셀, 영어, 우체국 등기 등 평생 그녀가 가까이 하지 않았던 것들을 매일같이 해내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 하지만 그만둘 수는 없다.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며 벼랑끝으로 내몰린 수많은 이주 노동자/미등록 이주자/난민의 얼굴과 목소리가 떠오르기 때문이다.     



  인생의 중반에 들어서야 두 번째 직업을 가진 그녀의 일상은 당연히 순탄하지 않다. 남편은 ‘제자리’로 돌아오라며 그녀의 활동에 불만을 표하고, 엄마의 활동에 대체로 공감하는 딸 역시 엄마가 공사 구분 없는 삶에서 조금씩 소진돼가는 게 불만이다.     


  〈어쩌다 활동가〉에는 수많은 쟁점이 있다. 성별 분업, 가사노동의 비가시화, 이주자 인권, 활동가의 헌신과 지속 가능성의 문제, ‘교회’와 ‘사회’의 의미……. 이 모든 주제가 모녀 관계의 내러티브 위에서 펼쳐진다는 점에 주목해보자. 딸은 활동가로 사는 엄마가 궁금했다. 그리고 엄마의 활동을 들여다보는 과정에서 세계의 확장을 경험했다. 엄마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자 지금껏 알지 못했던 세계가 보였고, 딸은 더 이상 예전과 같을 수 없었다. 이렇게 활동가/엄마, 가족/딸 사이에 존재하던 긴장은 점차 녹아내린다. 두 범주는 어느새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포개진다.     


  가족이 먹을 저녁을 차려놓고 스터디를 가는 엄마, 아내를 완전히 이해하진 못하더라도 차로 아내를 데리러가는 남편, 엄마와 자신 사이에 존재하던 거리를 질문하다가 새로운 세계를 목격한 딸. 가족을 돌보던 엄마가 사회를 돌보게 된 과정과 이 낯선 과정에 동참하게 된 가족의 이야기. 달걀도 아닌 메추리알로 바위를 치는 엄마 곁에서 자신이 또 하나의 메추리알이 되겠다는 딸의 선언은 가장 일상적인 관계가 품은 가능성의 크기를 가늠케 해준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 초청으로 제24회전주국제영화제에 기자로 참석해 작성한 글입니다.     

★이 영화의 상영시간은 제 24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