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Jul 31. 2023

스스로를 갱신한 감독과 배우, 몰아치는 장르영화의 쾌감

〈밀수〉 리뷰

7★/10★


  우리는 심각한 얼굴을 한 남성 배우들이 포스터 가운데에 큼지막이 자리한 ‘두 글자 영화’, ‘세 글자 영화’를 참 오래도록 봐왔다. 그중에는 언젠가 다시 보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인 영화도 있었고, 절로 얼굴이 찡그려지는 식상한 영화도 있었다. 문제는 개별 영화의 완성도와 성취를 떠나, 이런 콘셉트의 영화가 기시감‧피로감을 준다는 점이다. 포스터만으로 이미 그 영화를 본 것만 같은 기분이 드는 것이다. 포스터만이 아니다. 전개도 마찬가지다. 몇 장면을 보면 이미 결말이 예측되고, 그 결말로 어떻게 나아갈지가 뻔히 보인다. 지루함에 잠깐 잠들었다 일어나 영화를 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한국 상업영화의 성장이 안전한 공식의 확립으로 귀결되어 반복적으로 소비된 결과다.     


  〈밀수〉도 그래 보였다. 닳고 닳은 포맷에 여성 배우를 끼워 넣었다는 것만으로 새로움을 줄 수 있을까 싶었다. 그러나 〈밀수〉는 성급한 단정을 기분 좋게 배반한다. 첫 번째 포인트는 케이퍼 무비, 즉 장르 영화로서의 재미다. 영화의 전개는 굉장히 빠르다. 문제가 되는 갈등 사건이 빠르게 전개되며 관객을 순식간에 영화 속 세계로 몰입시킨다. 화학 공장의 폐수로 바다가 오염되어 생계가 막막해진 어촌의 해녀들이 밀수에 뛰어들고, 그들 사이에서 오해가 생겨 사이가 벌어지며, 얄궂게도 엇갈린 이들이 다시 얼굴을 마주하기까지의 초반부를 보자. 본격적인 판이 벌어지기까지의 전사(前史)를 속도감 있게 설명해주는 초반부는 ‘먹고살기(이왕이면 더 잘 먹고살기)’가 최고로 중요한 문제였던 1970년대의 시대정신을 파노라마로 펼쳐낸다. 초반부를 본 관객은 이제 인물들이 그 어떤 비도덕적인 일을 하든 신경 쓰지 않는다. 착한 사람이든, 나쁜 사람이든, 조금 덜 나쁜 사람이든 다 먹고살기 위해 발버둥치는 자일 뿐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퍼 무비를 위한 제대로 된 판이 벌려진 것이다.     



  무대가 마련됐으니, 이제 그 위에서 뛰어놀 캐릭터의 차례다. 웰메이드 케이퍼 무비가 그러하듯, 개별 캐릭터들은 다채롭게 날뛰는 동시에 앙상블을 이룬다. 김혜수는 〈타짜〉, 〈도둑들〉에서 보여주었던 연기로 장르 영화의 긴장을 생산하며 중심을 잡는다. 김혜수의 캐릭터와 연기는 그 자체로 관객에게 영화를 설명하는 장치가 된다. 김혜수의 파트너이자 자존심 강한 해녀를 연기한 염정아는 현실적 연기 톤을 선보인다. 〈밀수〉가 동떨어진 세계의 판타지가 아니라 우리가 건너온 실존하는 과거의 이야기임을 일깨우는 것이다. 다방 마담을 연기한 고민시는 예쁘고 요염하게만 소모되다 사라져버리는 다른 영화의 선배 레지들과는 다른 길을 걷는다. 쟁쟁한 배우들 사이에서 기가 눌리기는커녕 오히려 보란듯이 활개하며 인상적인 존재감을 과시한다.     


  ‘어리바리’한 악당을 연기한 박정민, 공권력이라는 막대한 힘을 가진 세관을 맡은 김종수 역시 가진 것 없는 해녀들을 억누르고 착취하는 역할을 얄미울 정도로 능숙히 소화한다. 이들에게서 조금이라도 더 가진 자가 유리한 1970년대의 생존경쟁에서 ‘남자’라는 특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피는 재미도 있다. 그리고 권 상사를 연기한 조인성. 사실, 우리는 이미 스타가 된 미남 배우들의 멋짐에 무던한 경향이 있다. 처음 그의 멋짐을 접했을 때의 신선한 충격이 조금씩 휘발되고 어느새 그저 익숙한 존재로 여겨지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멋짐은 당연하지 않다. 류승완 감독은 〈밀수〉에서 작정하고 조인성을 멋있게 연출했다고 인터뷰했는데, 이 말은 허언이 아니다. 권 상사는 모두가 생존을 위해 피 튀기는 경쟁을 벌이는 전쟁터의 꼭대기에 있는 인물이지만, 그에게는 다른 남자들이 갖지 못한 낭만이 있다. 속된 말로, ‘치인다’. 〈밀수〉의 조인성은 캐릭터와 액션에서 모두 기존의 매력을 완벽히 갱신하며 그의 멋짐을 새삼 뽐낸다. 물론 〈밀수〉의 캐릭터 활용에 아쉬움이 없는 건 아니다. 해녀로 출연하는 박준면, 김재화 등 이미 다른 작품에서 자신의 역량을 증명한 배우들의 활용도가 더 컸다면 어땠을까 싶다. 그럼에도 전반적으로 뛰어난 존재감을 뽐내는 캐릭터들의 각축전이 영화의 재미를 더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겠지만 말이다.     



  이외에도 해녀들의 특성을 반영한 수중 액션, 음악과 의상으로 연출한 시대적 분위기 등 〈밀수〉를 즐길 만한 요소는 많다. 화룡점정은 메시지다. 남성 이익 카르텔에게 모든 것을 털린 해녀들이 누구도 앗아갈 수 없는 자신들만의 의리‧패밀리십‧해녀 정체성을 무기 삼아 빼앗긴 것들을 되찾는 과정은 영화의 장르적 쾌감과 만나 폭발한다. 현실에서는 가진 자들이 연대하고 없는 자들이 갈등하지만, 〈밀수〉에서는 없는 자들이 뭉쳐 가진 자들의 칼끝이 서로를 향하게 한다. 식민자 남성의 전략인 ‘이이제이’를 피식민자 여성의 반격으로 전유하는 것이다. 〈베테랑〉, 〈모가디슈〉 등에서 남성들의 연대와 갈등으로서의 세계에 천착하던 류승완 감독이 이토록 완성도 높은 여성 케이퍼 무비로 돌아왔다는 게 놀랍다. 숨통이 트이는 해녀들의 숨비 소리에 하루 빨리 동참하시길.

매거진의 이전글 이 감정, 사랑일까 이기주의적 욕망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