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Sep 15. 2023

[SICFF] "아이토르가 아닌 루시아라 불러주세요."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 〈2만 종의 벌〉

2만 종의 벌/20,000 Species of Bees

에스티발리스 우레솔라 솔라구렌 감독/Spain/2023/128min     

'국제장편경쟁' 부문



  “아이토르!” 스페인의 한적한 숲길. 몇 명의 어른과 아이들이 누군가의 이름을 애타게 부른다. 그들의 긴박하고 절박한 표정으로 보아, ‘아이토르’란 이름의 아이가 사라진 듯하다. 그러다 한 아이의 얼굴이 클로즈업된다. 그는 잠시간 망설인다. 미세하게 입을 오물거리고 얼굴 근육도 떨린다. 살짝 고개를 수그렸다 다시 든 그가 소리친다. “루시아!” 그 소리를 들은 옆의 어른도 아이와 같은 표정으로 고민하더니 “아이토르” 대신 “루시아”를 외치기 시작한다. 누군가는 ‘아이토르’를 고집하고 누군가는 ‘루시아’로 이를 대체한다. 산속에는 ‘아이토르’와 ‘루시아’라는 외침이 함께 울린다. 〈2만 종의 벌〉은 아이토르였으나 이제는 루시아가 된 한 아이의 이야기다.     


  방학을 맞아 할머니가 있는 시골 마을로 떠난 여덟 살 아이토르와 그의 가족. 시골 마을은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로 북적인다. 어른들은 서로의 안부를 묻느라 바쁘고 아이들은 그간의 공백을 아랑곳하지 않고 금세 어울린다. 그런데 이 평화롭고 안온한 분위기에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아이토르다. 긴 머리, 매니큐어를 한 손, 수영장에서 옷을 벗지 않기……. 아이토르는 가족뿐 아니라 마을 사람에게서도 관심을 끈다. 동네 사람들은 할머니와 함께 길을 걷는 아이토르를 보고 손녀가 참 예쁘다며 덕담을 건넨다. 할머니의 표정은 묘하게 일그러지고 아이토르는 수줍은 듯 웃는다.     



  아이들이 잠든 저녁. 할머니가 엄마를 부른다. 네가 너무 오냐오냐하며 아이를 키워서 아이토르가 저런 것이라며 엄마를 비난한다. 엄마는 아이가 아직 어리고 정체성을 조금씩 형성해나가는 과정이라며 항변한다. 지난 세대의 성별 가치관으로 아이를 교육하지 않았다는 응수도 덧붙인다. 하지만 엄마 역시 불안하다. 다만 이 불안을 제대로 마주하기에는 아직 용기가 부족할 뿐이다.     


  아이토르는 왁자지껄한 가족 모임에 끼는 대신 산에서 양봉업을 하는 이모할머니와 금세 친해진다. 이모할머니는 아이토르의 특별함을 알아챈다. 그러고는 두려움과 불안을 마주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아이토르는 그녀에게 자신의 마음을 조금씩 털어놓는다. 아이토르는 그전에도 주변에 자신의 마음을 조금씩 열어 보였다. “아빠처럼 되기 싫어요.” “할머니, 전 왜 이래요?” “다들 제가 누군지 아는데 왜 저만 몰라요?” 이런 고민의 연장에서, 아이토르는 이모할머니에게 다시금 묻는다. “제가 죽으면 여자로 다시 태어날 수 있어요?” 이모할머니는 여자가 되기 위해 죽을 필요는 없다고 일러준다. 여러 물음으로 자기 존재를 질문하던 아이토르는 마침내 선언한다. “루시아라고 불러주세요.”     



  아이토르가 루시아로 불리는 일은 결코 녹록치 않다. 아빠는 할머니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아이를 너무 오냐오냐했다며 화를 내고, 늘 루시아의 입장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려는 엄마도 아이토르를 루시아로 부르는 일만큼은 망설인다. 사실 엄마는 지금 루시아 일 말고도 고민할 것이 많다. 조각 예술가로 일하는 그녀는 교수 임용을 앞두고 있다. 마지막 실기 작품을 준비하는 데 매진 중이던 그녀는, 사실 저명한 조각가인 아버지의 작품을 자기 작품으로 제출해둔 상태다. 그런 그녀에게 루시아의 고백은 두 가지 의미로 다가온다. 아들을 딸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그리고 자신은 루시아만큼 솔직하고 용기 있게 살아가고 있는지.     


  〈2만 종의 벌〉은 이 모든 과정을 차근히 좇으며 루시아와 그녀를 둘러싼 세계의 변화를 담아낸다. 유독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친구와 둘이 산속 계곡에서 수영을 하려던 루시아. 그녀가 옷을 벗기를 망설이자 친구가 먼저 수영복을 바꿔 입자고 제안한다. 자신의 여야용 수영복이 너무 작아서 불편하다고 말이다. 쭈뼛대는 루시아에게 친구가 말한다. 이미 학교에서 루시아와 같은 친구를 만난 적이 있고 자신은 그런 친구의 모습이 “귀엽다”고 말이다. 그제야 루시아가 환하게 웃는다. 그러고는 둘이 함께 한 발 한 발, 조심스레 물속으로 나아간다. 루시아가 마주한 미래가 쉽지만은 않겠지만, 마냥 껄끄럽기만 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신중함이 깃든 아름다운 미래 전망으로 이 장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이 장면이 더 많은 사람의 가슴에 새겨지길 바란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을 통해 기자로 초청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제11회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는 9월 13일부터 9월 20일까지 진행됩니다. 영화 상영 시간표와 상영작 정보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SWIFF] 미래를 부정당한 퀴어, 가능성을 벼려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