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데일리아트 Dec 10. 2024

[저항하는 예술 ②] 계유정란과 영화 「서울의 봄」

요즘 사람들이 하는 말이 '간밤에 잘 잤느냐'는 것이다. 시국이 어수선하여 TV를 보느라 잠을 설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대표 축구 선수들이 선전하는 시합을 보느라 잠을 못잤다면 억울하지도 않다. 어이없는 광경을 목격하는 뉴스를 보기 때문에 잠을 못이뤄, 일어나면 한숨부터 나온다. 다들 만나면 부아가 치민다고 한다. 너무도 이상하게 돌아가는 정국이다.


문득 저항의 시기에 예술로 시대와 맞섰던 문인, 화가들이 생각이 났다. 그들은 시대에 어떻게 저항했을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그들의 작품을 소환해 보기로 했다. 예술은 예술 자체로서도 가치가 있겠지만, 시대와 동떨어져 존재할 수 없기에 작품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펼쳤던 예술가들이 수도 없이 있었다. 지금 생각해 보니 그들은 시대의 선각자들이었다. 예술은 시대에 어떻게 맞섰을까? 시와 그림, 민화 등 비교적 최근에 상영한 영화도 다뤄보기로 했다. 오늘은 본지 칼럼 「서소문 밖 첫 동네」연재 중 영화 '서울의 봄'편(본지 8월 21일)을 재구성해 서 독자들에게 찾아간다. (편집자 주)


"농업박물관 앞의 김종서 집터에 서면


수많은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농업박물관 앞에 있는 김종서집터 표석


서울 서대문 사거리에서 사방을 둘러보면 ‘농협’ 간판이 많이 보인다.  농협중앙회 옆에는 농업박물관이 있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볼거리들이 많다. 고향이 농촌인 사람들은 어릴 적 향수도 느껴보고 재미있는 체험도 해보길 권한다. 농업박물관 앞에는 ‘김종서의 집’이라는 표석이 있다. 김종서(金宗瑞, 1383~1453), 학창 시절 국사 시간에 배운 내용은 '계유정난 때 단종 편에 서서 죽임을 당했다' 정도였는데 그가 쌓아 놓은 공을 찬찬히 살펴보니 만만치가 않다.


먼저 그는 6진을 개척한 인물이다. 지금 한반도의 북쪽 경계, 두만강 유역이 여진족의 땅이었다. 그는 여진과의 전투에서 가슴과 허벅지에 화살을 맞아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도 여진족을 몰아냈고, 우리 주민들을 이주시켜 나라의 국경선을 확정했다. 16세 어린 나이에 과거에 급제한 문신이고 세종의 명으로 고려사를 저술한 역사학자이다. 그가 태어난 곳은 세종시 장군면인데 ‘장군’이라는 지역명은 김종서 장군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참으로 훌륭한 실력자다. 그의 집이 서대문이라 불리는 돈의문 밖에 있었다.


1383년생 김종서는 1417년생인 수양대군(세조, 이름 이유·李瑈, 1417~1468)과 대비된다. 두 사람의 나이차이는 서른네살이나 된다.  수양이 아무리 촉망받는 왕의 적자라고 하지만 좌의정 김종서를 무시할 수 없었다. 김종서는 선대 왕 세종, 문종으로부터도 신임을 받던 사람이었다. 문무에 능하고 나이도 지긋한 국가의 원로였다. 수양대군은 집현전 학자 신숙주(1417년)와 동갑이다. 또래는 성삼문(1418년), 박팽년(1417년) 등이 있었다. 집현전 학자들은 나이로 보나 경력으로 보나 김종서와는 급이 달랐다. 무슨일이든 거사를 하려해도 김종서는 넘어야 할 산이었다.


1453년 계유년 11월 10일, 계유정난은 이 서대문 밖 김종서의 집에서 시작됐다. 수양대군을 태운 말이 서대문을 나와 비탈길을 터벅터벅 내려갔다. 인적은 드물었고 횃불을 든 종이 일행을 김종서의 집으로 안내했다. 그들은 문밖에서 김종서를 불렀다. 수양대군을 먼저 알아본 김종서의 아들 김승규가 아버지에게 대군이 온 것을 고하자 김종서가 나와 두 번, 세 번 문 앞에 있지 말고 집에 들어오기를 청했다. 수양은 사양하며 사모의 뿔(관모 옆 좌우에 붙이는 액세서리)이 떨어져 나갔으니 빌려 달라고 말한다. 김종서는 자기 사모의 뿔을 빼 수양에게 주었고 수양대군은 비밀스러운 청이 있다며 서찰 하나를 김종서에게 주었다.


서찰을 달빛에 비추어 읽으려는 순간, 수양대군의 부하 임어을운이 철퇴로 김종서의 머리를 내리쳤다. 김종서의 아들 김승규가 놀라 아버지의 몸을 감쌌다. 그러자 양정이 김승규를 칼로 벤다. 그들은 김종서가 죽었겠거니 하고 서둘러 빠져나온다. 김종서는 일을 당하기 몇 시간 전 수양대군의 측근인 권람 등과 술을 마셨다. 수양대군 일행이 자신을 죽이러 온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권람은 숭례문과 서소문을 장악했다. 거사의 시작이다. 서대문 문지기에게는 수양대군이 문밖에 나갔으니 인경(저녁에 도성 문을 닫기 위해 28번 타종) 종소리가 나도 문을 닫지 말라고 지시했다.


김종서를 제거한 수양은 곧장 입궐해 단종에게 김종서, 황보인 등이 안평대군과 짜고 역모를 획책한다고 보고했다. 역모는 자신이 해놓고 뒤짚어 씌웠다. 역모 잔당을 제거해야 하니 지금 모두 불러들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왕의 재가를 받는다. 한밤중에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입궐하는 영의정 황보인, 판서 조극관, 찬성 이양 등을 차례로 철퇴로 내리쳐 죽인다. 그러나 70세를 바라보는 백전노장 김종서는 이번에도 일어섰다. 여장을 하고 몰래 성문 안으로 들어가 상황을 살피려 했다. 이미 모든 성문을 장악한 반란 세력들에게 저지당하자 둘째 아들 김승벽의 처가에 겨우 몸을 숨겼다.


다음날 철퇴에 맞아 죽은 줄 알았던 사람들이 깨어나 도망가는 일이 발생했다. 수양대군은 김종서가 살아있음을 확인하고, 숨어있는 곳에 신하 양정을 보낸다. 김종서가 양정에게 "정승이 어찌 걸어가느냐? 초헌(가마)을 내오너라"라고 말하자 양정은 가차 없이 김종서의 목을 벤다.  김종서가 죽고 조선 초기 왕실의 구테타 계유정란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후의 역사는 우리가 아는 대로다.


수양이 정권을 장악하자 조카 단종을 영월로 유배시켜 죽인다. 친동생 안평대군에게는 약사발을 내렸다. 모진 고문 끝에 사육신을 죽였다. 피바람 속에서 조선의 7대 왕, 세조가 등극했다. 계유년에 발생한 일이라 계유정난이라 한다. 이 사건은 문종이 죽고 단종이 즉위한 직후부터 치밀하게 추진된 왕위 찬탈 사건이다. 조선에서 재위한 26명의 왕 중에 장자가 왕이 된 것은 8명에 불과하다. 조선 초기부터 장자 왕위 계승은 물거품이 되었다. 룰은 있었으나 잘 지켜지지 않았다. 서대문 밖에서 550년 전에 있었던 이야기다.


요즘 관객수 1312만명을 기록한 영화 '서울의 봄'이 다시 화제가 된다.  9일 웨이브에 따르면 비상계엄 사태 전후 양일(12월 1~2일, 12월 4~5일)을 비교했을 때, 계엄을 배경으로 한 영화와 드라마의 인기가 급증했다. 영화 ‘서울의 봄’은 874.3%, ‘택시운전사’는 1108.7%나 시청 시간이 올랐다. 영화 평가 애플리케이션(앱) 왓챠피디아 ‘핫 랭킹’에서 서울의 봄은 4일 핫 랭킹 18위로 진입해 5일 9위, 6일 5위, 7일 9위 등을 차지했다. 왜 사람들은 철 지난 영화들을 다시 소환해서 볼까. 이유는 하나다. 12월 3일 일어난 계엄 해프닝 뒤에 과거의 역사를 소환하기 때문이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인 1979년 12.12 사건이 일어났다. ROTC 출신 역사 선생님은 지난밤에 총소리를 못 들었냐고 물으며 구데타가 일어났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그후 정승화 참모총장의 체포 소식을 들었다. 10.26, 12.12 등 우리나라의 역사가 원칙 없이 급박하게 돌아가던 시절이다.


수양대군이 왕위를 갖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 김종서였다. 그를 두고서 역모를 실행할 수 없었다. 김종서가 역모를 눈치채고 자신들을 공격하기 전에 그를 제거해야 했다. 수양대군이 나이차이 서른넷이나 되는 김종서를 기를 쓰고 죽이려 한 이유이다. 12.12를 일으킨 신군부도 마찬가지다. 계엄사령관인 참모총장 정승화를 제거해야 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정승화는 전두환과 군부 내 사조직, ‘하나회’의 야심을 눈치챘다. 하나회의 우두머리인 전두환을 동해에 있는 경계부대에 보내려고 했다. 전두환은 마음이 급해졌다. 자신이 사령관인 합동수사본부도 계엄사령관 정승화의 통제 아래 있었다.


전두환은 정승화가 10.26 당시 궁정동 역사의 현장에 있었다고 주장하며 무력으로 제압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의 총탄에 쓰러질 당시, 정승화는 궁정동 안가(안전 가옥)의 ‘나’동에 있었고 사건은 ‘가’동에서 일어났는데도 10.26에 연루된 것으로 몰아갔다. 별 2개 소장이 별 4개 대장에 대한 하극상이다. 그리고 청와대로 향했다. 550년 전, 김종서를 철퇴로 내리친 뒤 수양도 곧바로 궁궐에 들어갔다. 김종서가 역모를 꾀한다고, 그리고 역모를 꾀하는 잔당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단종을 겁박했다. 자신들의 불법을 최고 책임자에게 인정받기 위한 행위이다. 전두환은 대통령 권한대행 최규하에게 정승화 체포 동의안을 받아냈다. 어르고 달래며 새벽 5시가 넘어서였다. 두 사건은 궁궐이냐 청와대냐, 왕이냐 대통령이냐, 배경과 등장인물은 다르지만 모든 절차가 매우 유사하다.


수양대군은 조선의 제7대 왕으로 등극했고 전두환도 대한민국의 제11대, 12대 대통령이 되었다. 

영화 포스터


작년에 영화 '서울의 봄'이 상영될 때, 이 영화를 본 어떤 이는 분해서 잠을 못 잤다고 했다. 영화를 보고 마음이 먹먹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개봉 일년이 지난 지금 영화에 불과했던 일들이 다시 현실이 되었다. 국민들은 생생하게 스크린에서가 아닌, 티브에서 일어날 수 없는 현실을 지켜보아야 했다. 눈 하나 깜짝 안하고 계엄선포문을 읽어내려가는 대통령을 지켜보아야 했다. 총을 들고 국회에 난입한 계엄군을 보며 도대체 지금 우리나라 대명천지에 일어나는 일인지 눈을 의심해야 했다. 그런데 이번의 계엄사건은 계유정란과 12.12와도 다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위 두 구테타는 최고의 권력을 획득하지 못한 자가 최고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었다. 왕이 되고 싶은 수양대군은 명망있는 권신 김종서를 잡아야 성공할 수 있었고, 12.12는 전두환이 계엄사령관 정승화를 잡아야 성공할 수 있었다.


또한 방해하는 세력을 없애도 또 다른 산이 남아 있었다. 왕인 단종과 대통령 최규하를 설득해야 했다. 그런데 이번 계엄사건은 이미 최고의 권력 위치에 있는 대통령이 자신의 권력을 더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획책한 사건이다. 그럼 그것은 누구를 적으로 만들어 일으킨 것인가. 국민을 적으로 삼아 일으킨 사건이다. 이를 소위 친위 구테타라고 한다. 그래서 국민들은 더욱 분노하고 어이없어 하는 것이다. 최고의 권력자가 무엇이 두려워 이런 일을 획책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또다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이 지속되고 있다. 영화를 보고도 마음이 먹먹해서 자리에 일어나지 못했던 맘 여린 선량한 국민들은 12월 한 겨울에 또다시 거리로 내몰려 찬 아스팔트에 앉아 윤석열 탄핵을 외친다.  우리는 왜 이렇게 다양한 구테타를 경험해야 하나. 


 어릴 적 할머니의 옛날이야기에서, 교회에서, 절에서, 교과서에서 권선징악(勸善懲惡), 사필귀정(事必歸正)을 배웠다. 반드시 정의가 승리하기 때문에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아니 우리 역사에서는 권력을 불의에 내준 경우가 많았다. 지금 우리는 그것을 목도하고 있다. 농업박물관 앞의 김종서 집터에 서면 수많은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저항하는 예술 ②] 계유정란과 영화 「서울의 봄」 < 문화 < 기사본문 - 데일리아트 Daily Art
출처 : 데일리아트 Daily Art(https://www.d-art.co.kr)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