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내가 살던 고향 서울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먹골 1

  카페든 식당이든 다섯 명 이상의 친구들과 둘러앉아선 안 되는,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에 지쳐가던 지난 초봄의 어느 날이었다. 

  우연히 ‘시역과의(是亦過矣)’란 단어를 발견했다. 서예가 김시현의 초대전 주제어였다. 현재가 아무리 힘들어도 이 역시 다 지나간다는 뜻이라 했는데, 내 안에선 묘하게도 안도감 같은 것이 올라왔다. ‘나만 힘든 게 아니라 남들도 다 힘들구나’ 싶어 위안이 됐다.

   요즘은, 내가 속한 극단처럼 자체 연습장이 없는 시민극단에겐 블랙홀과 같은 시간이다. 무대에 서기는커녕 함께 모이기조차 어렵다. 

  이런 시기에 굳이(?) 우리와 연극을 하고 싶다는 이가 있었다. 스스로 좋아서 하겠다는 사람은 아무도 못 말린다. 이럴 땐 우선, 만나봐야 한다. 함께할 수 있을지 눈빛을 맞춰본달까? 지체 없이 그의 직장 근처 먹골역으로 달려갔다.


   먹골은 지금의 중랑구 묵동을 가리킨다. ‘먹골’이란 지역명은 낯설어도, ‘먹골배’ 하면 ‘아하!’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먹골역 앞에서 만난 그는 말쑥한 정장 차림이었다. 가슴 뛰는 지점이 같아서인지, 우린 금세 친해졌다. 마스크 때문에 숨이 차든 말든, 연극에 관해 정신없이 떠들었다. 하지만 나는 수다의 강에 온전히 빠져들 수 없었다. 카페 건너편에 보이는 골목에 자꾸 시선이 쏠렸다. 크고 작은 빌라들로 가득한 골목.

   그 골목 끝엔 배나무밭이 있었다. 내 유년기에 외가 식구들과의 특별한 추억이 만들어지던 곳, 엄마의 친척들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었다. 


   대한민국 어느 집안이나, 많거나 적거나 돈이 있기만 하면, 한 번쯤 겪을 수 있는 재산 다툼이 나의 외가에도 있었다. 그 일로 온갖 고생을 하고, 막내면서도 친정어머니를 평생 모시고 산 나의 엄마는 외가에 발을 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외할머니는 초여름이 시작되면 어린 나를 앞장세워 그곳으로 향하곤 했다. 정확히는 외삼촌 집이었다. 


   정신없이 흐르러 지게 핀 배꽃 덕분에 서로 조금씩 억울한 사연은 얼마 동안 묻힐 수 있었다.


   꽃이 떨어진 자리엔 작은 열매들이 여럿 맺혔다. 그러면 적당한 간격으로 암 배 하나만 남기고 따내야 했다. 크고 맛난 배를 얻기 위해서였다. 

   배 솎는 철이 오면 외갓집엔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어른들은 일하느라 정신이 없고, 아이들은 노느라 정신이 팔렸다. 집성촌이었기 때문에, 나이가 비슷한 아이들 사이에는 친족 관계가 자리했다. 이모, 고모, 조카, 삼촌, 심지어 할머니도 있었다.


   다행히 그 할머니는 나였다. 할매인 나는 골목대장이 되어 배밭을 휘젓고 다녔다. (다음으로 이어집니다)


작가의 이전글 육(六)아(我) 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