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포인셋 Jun 20. 2023

생각은 3초면 사라진다

생각을 붙잡아 쓰기까지


글을 계속 쓰기 위해서는 소재가 필요하다. 외부의 자극과 새로운 사건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는 지금 내 삶에서는 주로 과거를 꺼내어 쓴다. 거의 매일 글쓰기를 해 온 올해부터는 떠오를 때마다 휴대폰에 메모를 적는데, 일부러 지우지 않고 내용을 쌓아두어서 제텔카스텐처럼 쓰고 싶은 생각이 있어서다.


수시로 그 메모들을 들여다보면, 체계적 분류는 없지만 뒤죽박죽 머릿속에서 섞이다가 하나로 묶여 다른 글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하는데도 하나의 큰 장애물은 기억력이다.


매일 머릿속을 주로 차지하고 있는 건 해야 할 일, 미래의 일, 지금 나의 본능 같은 것이 주된 것이라 그 집중 사이사이 솟아났다 사라지는 색다른 것을 붙잡아야만 하는데 문제는 너무, 빨리, 사라진다.


메모는 주로 문장으로, 되도록 구체적으로 적어야 했다. 단어만으로는 그것에 대한 어떤 생각인지 나중에 보면 도통 떠오르지 않을 때가 많다. 한 번 잃은 기억은 어지간해서는 금방 다시 찾아와 주지 않는데, 어제 같은 경우는 두 가지 생각을 동시에 하다가 메모!! 하고 앱을 켜는 동안 둘 다 머릿속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생각은 이렇게 휘발성이 강하다. 저녁 내내 그 생각에 발을 동동 구르느라 분통이 터졌다.


메모를 적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닌 게, 조금이라도 반짝이는 생각이 자주 찾아오지도 않건만 그 순간 메모를 해야지 하고 떠올리는, 그 두 박자기 맞아야만 기록에 남겨지기 때문이다. 몸이 반응하는 지경이 되어야 하는데 아직도 영 그렇질 못하다.


3초를 기억을 못 한다는 건 굉장히 부끄러운 얘기고 아마 조금은 공감해 줄 여기서나 하는 소리지만, 사실 아이와 함께 기억력을 낳아버린 게 아닐까도 생각한다. 물건을 두고 나가거나 잃어버리지도 못하는, 남이 떠올리지 못해 끙끙대는 단어를 늘 꺼내주는 나였는데, 이젠 제법 꺼내 쓰는 능력이 떨어진 모양이다. 아이의 빠른 변화에 맞춰 새로 입력해야 할 정보와 생활방식이 너무 많은 탓인지. 엄마들의 기억 세탁과 미화가 가끔 이해되는 대목이다.


한편으론 짤막해도 하나의 문장으로 적어둔 것들만 있으면 글이 하나 뚝딱 나오는 것도 신기한 일이다. (내가 쓰는 건 긴 글은 못 되지만.) 적어둔 여러 개의 문장 중 무언가가 선택될 때는 꺼내어질 준비가 된 것이다. 보면, 그냥 이제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오며 가며 보는 몇 번동안, 생각이 익어가나 보다. 그러기 전까지 어떤 문장은 반년이 되도록 그냥 적혀만 있기도 한다. 아직 생각이 다 채워지지 않았거나, 서로 묶일만한 것을 찾지 못해서 그렇다.


한동안은 생각은 그다지 없는데 메모에만 열중해서 시답잖은 주제들이 그곳에 많이 적혔고, 그중 몇 개는 지워지거나 소모되지도 못한 채 그 자리에 있다. 그러니까, 생각나무 같다고 해야 할까. 요즘은 메모에도 시큰둥 해진 게 양분은 주지 않고 수확만 해서인지, 열매로 색다른 게 만들어지지 않아서 조금 재미가 덜 해진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자꾸 쓰는 게 능숙한 정원사가 되는 유일한 길 같아서 스스로 만족도는 들쑥날쑥해도 계속 쓴다. 그러다가도 이리저리 방법을 바꿔봐야 할까 망설이고, 그렇게 아직도 초보 티를 낸다.


오늘 조용한 밤엔 다시 한번 영감이 찾아와 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난 여기가 좀 좋았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