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침엔 샴페인 Oct 20. 2023

희망가튼 소리 하고 자빠질 바엔

 공상과 망상이 주는 힘은 실로 어마어마 하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 단박에 탈출시키는 전용 우주선을 내려주는 기분이랄까 뭐 그러지 않을까 싶다. 사실 내가 그런 인간형이 아니라서 지레짐작 해보는 거다. 

항상 이성적이고 바른 몸과 마음을 가꾸고 살아간다고 까진 아니여도, 꽤나 빡빡하게 나 자신에게 철저한 면이 없지 않아 있기에, 가끔은 좀 헐거워 지고 싶단 생각이 들때가 있다. 그렇다고 생뚱맞은 일탈을 할 만큼 당찬 기질의 소유자도 아닌 것이, 항상 어떠한 틀에 누가 꽁꽁 매어놓지도 않았음에도, 솔선수범 내가 나를 칭칭감고 사는 중이다. 왠지 먹고 살기 속편한 농땡이족 스러워 보인다.  

 이런 나도 가끔은 가슴속에서 뻗쳐올라오는 울분과 정체불명의 열정으로, 사는게 언짢게 느껴질 때가 많다. 기분따라 삶의 질이 좌우되는 거 보니, 어지간히 뱃속 편한가 부다 스스로를 내치고 싶어진다.

 누구나 원하는 꿈을 이루며 꿈꾸는 모든 삶을 만들어 갈 수는 없지 않은가. 그럼에도 되고싶단 바램, 무언가 꼬옥 하고 싶단 원대한 꿈은 감히 꿀 생각은 커녕 먹고사는 문제에 있어서 정말 지지리 고생하고 살아온 사람들은 내가 느끼는 이 가당치도 않은 언짢음조차 사치스러울 것이 분명하다. 

 그들의 인생저편엔 과연 어떤 위로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을까. 그들을 지탱하며 끌고온 원동력, 살게 하는 힘의 주축엔 공상과 망상이 버젓이 자리잡고 있다고 해도 난 믿겠다. 인간이 그러지 않고서야 버틸 재간이 도무지 없지 않은가. 가끔은 어찌나 가벼운지, 나의 멘탈의 얄팍함에 몸 둘바를 모르겠지만, 언제나 부서져도 초강력 접착력을 자랑하는 그 공상과 망상의 용도에 나는 유용함과 필요성을 새삼 상기한다. 

 지극히 현실적인 마인드로 맨 땅에 헤딩을 줄기차게 하다보면, 얼얼함을 느낄 사이도 없이 우리는 서서히 말라가게 된다. 아니면 차곡차곡 온몸 구석구석에 지방을 알차게 채우고 지내던지 둘 중 하나가 된다. 내 몸이 어떻게 변화가 되는지 세세하게 신경써야 하는 직업 아니라면, 굳이 외모쯤이야 덮어놓고 일이나 작업에 매진하지 않는가. 몸뚱이는 현실세계에 모셔놓고, 정신에 골몰하다 보면 우리 머릿 속에선 무수히 많은 세상이 연출된다. 살기 위해서 나름 방편 아닌 방편을 짜맞추게 된다. 내가 이세상을 지배하는 위대한 지도자가 된다는 둥, 제일의 갑부가 된다는 둥 유명한 셀럽으로 떵떵거리며 사는 삶을 한번 쯤 꿈꿔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아니라면 어차피 바뀌지 않을 현실 다 같이 죽자 심사로 외계인이 출몰해서 인간을 모조리 쓸어버리든지, 전쟁이나 바이러스가 인류를 멸망시키고 유일한 생존자로서 어쨋든 살아간다든지 하는 영화 한 편도 가볍게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실상은 하루 종일 같은 공간에서 같은 일을 열 몇 시간씩 반복해야 하는 단순한 노동이 살아온 삶의 대부분일지도 모른다. 그 밋밋함에 질력을 낼 만도 하것만, 몇 년씩 몇 십년씩을 해내는 그 꾸준한 일상은 언제나 최고의 작품상을 줘도 아깝지 않다.   그러는 동안 우리는 머릿속에서 뻗쳐오르는 가슴을 눌러가며, 얼마나 수많은 생각들을 접었다 폈다 눈앞의 현실을 바꾸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을까. 눈물겹다. 그리고 눈부시다.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이 세상 최고의 존재로 급부상하는 그 감격적인 경험 덕에 오늘을 살아내고, 또 내일을 맞이한다. 아무것도 아니라니...세상에 아무것도 아닌 존재도 있을수 있구나...존재 자체로 이미 아무것도 아닌 게 아닌데 말이다. 더 나은 모습으로의 점프할 때의 희열이라고 말을 바꿔야만 하겠다. 어느 한 부류에 국한된 얘기로 비춰진다면 유감스러울 따름이다. 그들이나 우리들이나 다 똑같은 이 생을 이고지고 가는 노동자들 아니던가.

 때론 생존의 가치를 따지기도 민망할 자기부재의 삶이 싫어 다 때려치우고 도망가고 싶을 때도 우리는 아랑곳하지 않고 그 밥벌이와 노동의 현장에서 자신을 활활 태운다. 꿈을 차곡차곡 구겨넣고, 자존심을 세차게 불어넣어 잘도 타오른다. 언제나 뜨겁고, 눈이 부시며, 앞으로 그러할 것이다.  

 그들을 지탱해주는 망상과 공상의 나래 속 수많은 스토리는 언제나 궁금하다.  정정해야겠다. 그것은 다름아닌 ‘ 희망 ’이라는 두 글자로 다시 불리워야 한다. 그들의 터무니없는 망상과 공상, 그들의 상상은 언제든 현실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왔음을 알고 있다. 믿음과 성실성이 결합한 무적의 노동자들이 바로 우리다.

 지금 우리는 삐까뻔쩍한 세단에 몸을 싣고 신나게 고속도로를 달리며 사랑하는 이와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중이다. 기계에 몸이 끼어 손가락이 날아가고, 다리가 부러져도, 우리는 지금 그저 행복한 중이다...     

작가의 이전글 요즘 무슨 낙으로 사냐 건, 웃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