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경 May 15. 2021

“학교에서 애 작업복을 사 오래...짠해 죽겠어.”

[깨달음 육아] 아들을 기계 공고 보낸 언니의 마음

언니가 왔다. 청주에서. 지난겨울 집 근처 수리산 산책길이 좋았는지, 나와 걷는 게 좋았는지 모르겠지만 계절마다 올 거라고 농담처럼 말하던 언니가 진짜로 왔다. 봄이 되자마자 기다렸단 듯이. 언니와 함께 수리산 길을 다시 걸으며 두런두런 이런저런 사는 이야기들을 나눴다. 그러다 언니가 말했다.

 

“야, 몰랐는데... 학교에서 작업복을 사 오라고 하더라고.”

“응? 벌써? 작업복은 실습 같은 거 할 때 입는 거 아닌가? 아직 1학년인데 사 오래?”


언니의 하나뿐인 아들아이는 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기계공고’에.

 

“그러게 말이야. 나도 몰랐잖아. 생각해보니 내 주변에 인문계 아닌 학교에 진학한 애들이 없더라고. 나도 인문계를 당연하게 갔고, 내 친구들도 다. 우리 애가 고등학교에서 기술을 배울지 몰랐지. 근데 말이야. 왜 그렇게 짠하니. 덩치는 산만해도 내 눈엔 아직도 아기 같은데... 작업복을 입는다잖아.”

“아이고 못 말려. 이 엄마 아들 콩깍지 아직도 그대로네... 근데 언니 기술 공부하는 애들만 짠한 건 아닌 것 같아. 인문계 다니는 애들도 엄마들이 보면 다 짠해. 학교 갔다, 도서관 갔다, 다시 책상에 앉아 하루 종일 공부하는 애들 좀 봐. 그게 얼마나 짠해. 그 나이 또래 애들이 다 짠해. 그러니 너무 안쓰러워하지 마.”


“그래, 듣고 보니 그것도 그렇네. 난 우리 애한테 많은 거 안 바란다. 제발 안 다치고 무사히 졸업했으면 좋겠어.”


언니에게 이 말을 하고 보니, 세상의 모든 아이들이 정말 짠하게 느껴졌다. 특성화고든, 인문계든, 예술고든 학교가 중요한 게 아니었다. 하고 싶은 건 따로 있는데 공부 때문에 그걸 못하는 아이도, 뭘 하면 좋을지 목표가 없는 아이도, 목표는 뚜렷한데 그걸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는 아이도, 뭘 하든 공부를 강요받는 아이들이 모두 다 짠했다. 학교 밖이 이렇게나 찬란한데... 이렇게 봄이 오고 있는데... 계절의 변화를 느낄 여유도 없는 아이들이 모두 안쓰러웠다.  


가벼운 산행을 마친 언니와 나는 서울 우림시장에 있는 순댓국집으로 향했다. 30년 동안 만화를 그렸던 선배가 어머니가 하던 식당 일을 이어받아 장사를 하고 있다며 놀러 오라고 해서다. 선배가 직접 만든 순댓국과 찐만두, 비빔국수를 “맛있다”를 연발하며 먹었다. “이걸 진짜 선배가 직접 했느냐”면서, 정말 맛있게 그릇들을 비워냈다.

언니 아들의 작업복


선배는 앉지도 않고 우리 테이블 옆에 서서 팔을 폈다 접었다, 손을 쥐었다 폈다를 반복했다.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었. 하는 일이 고되다는 걸. 나는 선배의 시선을 피해 주위를 둘러봤다. 선배 어머니는 한편에서 만두를 빚고, 선배의 아내는 가게 앞에서 손님들의 주문을 받았다. 선배의 아이는 핸드폰 삼매경에 빠져 있고.


7평 남짓한 가게는 온 식구들의 일터였고, 만화를 그리던 선배의 손은 하루 종일 물이 마를 틈이 없어 보였다. 오전 8시에 나와 재료 준비를 하고, 오후 10시가 되어서야 집에 들어간다는 선배. 그렇게 오래 일하면 몸이 상하지 않느냐고 걱정과 안타까운 마음을 담아 물었다.


“메뉴가 좀 많아서 그런 것 같아. 그래도... 그동안 내가 하고 싶은 것 실컷 했으니까 이제 가족들도 좀 돌보고 해야지. 몸은 힘들어도 그래도 마음은 이게 훨씬 편해.”


수리산에서 언니가 "우리 아들 짠하다”는 말이 여기서도 맴돌았다. 선배의 어머니도 그리 생각하고 있을 것 같아서. “쟤가 30년 동안 만화를 그리던 놈인데... 시장에 나와 음식을 만들어. 짠해 죽겠어” 하는 말이 들리는 것 같았다.


그러고 보면 아이든 어른이든 모든 삶은 들여다보면 들여다볼수록 짠하다. 열일곱 살 아이의 작업복을 사러 가는 엄마 마음도, 아이가 유치원에 가기 시작하면서 육아와 일을 고민하는 엄마 마음도, 업무 중에는 남의 글을 고치고, 퇴근 후에는 내 글을 쓰겠다고 아픈 손가락을 놀려대는 나도 짠한 건 마찬가지. 겉으로 봐서 모를 뿐이지 세상 모든 사람들은 다 짠하구만 짠해. 그래서 눈물이 짠가 보다. 삶이 짜서.


다행이라면 삶이 짜기만 한 건 아니라는 거다. 수리산을 나오기 직전 이제 막 깨어난 봄의 흔적을 여기저기에서 발견하고 탄성을 지르던 언니가 말했다.


“산은 이래서 참 좋아. 바다는 ‘와’ 하고 3초 만에 좋은 기분이 끝나는데 산은 참 다채롭잖아.”


'산이 다채롭다'는 언니의 그 말이 나는 삶으로 들렸다. "삶은 참 다채롭잖아"라고. 왼쪽에서 보는 삶, 오른쪽에서 보는 삶, 위에서 보는 삶, 아래에서 보는 삶이 모두 다르다. 그렇게 삶도 다채롭다. 이렇게 생각하니 아이를 키우는 일도 그래 보인다. 아이를 키우는 일도 다채롭다. 쓰고 보니 진정 그렇다.


짠한 삶도 있지만 짠함만 있는 건 아닌 것처럼, 아이를 키우는 일도 짠함만 있지 않다. 겨우내 참고 꽃을, 잎을 틔운 식물처럼 우리 아이도 반드시 피어날 거라 믿고 싶다. 아이는 부모가 믿는 만큼 자란다고 했으니, 믿는 대로 틀림없이 잘 자랄 거다. 그러니 한숨일랑 거두고 아들이 입을 핏 좋은 작업복부터 골라볼 일이다.


- 이 글을 쓰고 얼마 후 언니에톡이 왔다. 작업복에 써 있는 안.전.제.일이란 글자 때문에 가슴이 콕콕 쑤셨다고. 언니가 제일 바라는 건데, 그걸 글자로 확인하는 기분은 또 다른가 보다.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게 일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