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NFT 아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emin Park Oct 18. 2021

결어: NFT 아트는 예술계를 탈중앙화한다

일상 속 심미적 경험의 흔적에 아우라를 부여한다, 미디어 블록체인이니까

이상에서 NFT 아트를 분류적 의미와 평가적 의미에서 살펴보았다. 분류적 의미에서 NFT 아트가 현대 예술 정의론에 비추어 개방된 예술 정의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평가적 의미에서 아우라 이론을 빌려 NFT 아트가 흔적의 아우라를 갖는다고 보았다. 


NFT 아트는 분류적 의미에서 탈중앙화된 예술계로부터 자격을 부여 받는다


현대 예술 정의론으로는 예술 정의 불가론, 예술제도론, 다원주의 미학, 경험으로서 예술을 검토했다. 예술 정의 불가론은 예술 정의가 다양한 예술에 개방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예술제도론은 분류적 의미에서 예술계가 인공품에 예술의 지위를 부여한다고 본다. 이러한 예술계의 참여자로 예술가, 관람객, 미술관, 예술 관련 매체 등이 있다. 예술제도론에서 예술로서 자격 부여는 수행적 성격을 갖는다. 다원주의 미학에서는 예술계가 스스로의 제도를 혁파할 정도로 개방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경험으로서 예술은 예술 경험이 일상의 심미적 경험을 끌어내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현대 예술 정의론에 비추어 볼 때 NFT 아트는 분류적 의미에서 예술로 정의되는데 무리가 없다. 우선 좁은 의미의 NFT 아트는 디지털 아티스트가 참여하고, 예술로서 거래되고, 예술로서 전시되고, 예술로서 관람되고, 예술 비평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NFT 아트는 다양한 인공품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예술 정의 불가론의 취지에 부합한다. 생산자와 감상자도 디지털 아티스트와 현대 예술 애호가만이 아니라 디지털 생태계의 다양한 창작자와 사용자로 확대된다. 즉 NFT 아트 공동체는 예술계의 참여자가 아닌 사람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는 예술제도론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에 부합한다. 


NFT 아트 공동체의 다원주의적 성격은 미디어 블록체인의 탈중앙화된 성격이 반영된 것이다. 금융계에서는 중앙은행과 같은 중앙화된 거대 기관이 아니어도 암호화 기술을 활용한 블록체인의 비가역성과 투명성을 이용해 거래 내역의 무신뢰를 달성함으로써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그 가치를 인증할 수 있게 됐다. 마찬가지로 NFT는 제도화된 예술계가 아닌 탈중앙화된 심미적 공동체도 어떤 NFT 아트가 예술로서 인증되고 거래되고 재거래되었음을 기술적으로 신뢰 있게 뒷받침해줄 수 있다. 


NFT 아트는 평가적 의미에서 일상 속 심미적 경험의 흔적에 아우라를 불어넣는다


다음으로 NFT의 평가적 의미를 살펴보자. NFT 아트는 모종의 아우라를 가짐으로써 심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NFT 아트의 아우라는 오리지널 프린트로서 의사 아우라를 가질 수도, 디지털 이미지의 아우라 없는 아우라도 모두 가질 수 있다. 전자는 중앙화된 예술계의 힘을 빌린다. 고가로 낙찰된 비플의 작품이 그러한 예이다. 중앙화된 기존 예술계는 오리지널 프린트와 같은 방식으로 NFT 아트에 디지털 인증서를 한정판 형태로 발행한다. 이를 통해 NFT 아트에 원본성을 부여하여 의사 아우라를 만들며, 고가 거래로 의사 아우라를 강화한다. 

더 중요한 것은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이다. NFT 아트의 생산, 유통, 감상에서 원본성이나 가격, 소유 여부가 중요하지 않게 된다. NFT 아트는 원본 없는 복제품으로서 생산되고 변형될 수 있다. 중앙화된 예술계는 탈중앙화된 심미적 공동체로 전환된다. 구매자는 공동체를 대표해 원본 작품이 아닌 인증서만을 소유한다. 창작자는 NFT 아트를 판매함으로써 더 세분화된 취향 공동체에 소구한다. 감상자는 인증 받은 디지털 이미지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복제품을 감상하고 활용할 수 있다. 


다만 NFT 아트의 아우라를 디지털 이미지 일반의 아우라 없는 아우라나 미디어 아우라로만 개념화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NFT 아트는 탈중앙화된 기술적 인증 과정을 통해 일반적인 디지털 이미지가 가질 수 없는 아우라를 뿜어낸다. 수없이 많은 일상이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흔적으로 남는다. 그 중에서 일정 규모의 공동체 내에서 최초의 경험과 같은 특별하게 공유되는 흔적이 NFT 아트로 만들어진다. 흔적이 NFT 아트로 인증되면서 경험으로서 예술의 자격을 부여받는다. 흔적이 가진 숨결이 공동체 내에 공유된다. 이 논문은 이를 흔적의 아우라 개념으로 포착하고자 했다.


아우라 없는 아우라 논의에서 보듯 디지털 이미지의 해방 가능성에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주목한 경우가 없지 않다. NFT 아트도 그러한 사례 중 하나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디지털 아트와 달리 NFT 아트는 1) 분류적으로는 예술계의 탈중앙화를 2) 평가적으로는 흔적의 아우라 부여를 추구한다.


NFT 아트의 탈중앙화된 예술계는 제도화되지 않은 예술계라는 딜레마를 해결한다


예술계의 탈중앙화는 예술제도론의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 예술제도론은 예술 정의 불가론을 피하면서도 충분히 열린 예술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딕키의 예술제도론은 예술제도에 대한 불명확한 정의로 비판을 받았다. 이 때문에 딕키는 후기 예술제도론에서 예술가, 관람객, 예술사가, 예술철학자, 비평가, 박물관장 등등을 예술계를 구성하는 제도로 언급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예술 개념은 과거의 예술계로 닫혀버리게 되었다. 예술 개념을 열어놓기 위해 예술제도를 도입했지만, 예술제도를 정의하면 예술 개념을 닫게 되는 딜레마는 예술계를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해결되지 않는다. NFT 아트는 예술계를 탈중앙화함으로써 예술계를 완전히 열고, 예술계 없는 예술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술계에는 그라임스도, 잭 도시도, 찰리도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스타트업 상장도, 바둑 대국도, 찰리도 예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술계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업 예술가일 필요도 없고, 지속적인 예술애호가일 필요도 없다. 어떤 NFT 아트를 심미적으로 향유하는 공동체의 일원이 일시적으로라도 되기만 하면 된다.


블록체인은 예술계도 탈중앙화한다


나카모토 사토시는 2008년 금융 위기 직후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통해 블록체인을 이용한 금융의 탈중앙화 철학을 제시했다(Nakamoto, 2008). 이더리움 생태계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실상 모든 계약의 탈중앙화를 추진한다. NFT 아트는 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예술에 적용해 탈중앙화된 예술계에서 작동하는 예술을 꿈꾼다. 


물론 블록체인이 기술적으로 탈중앙화를 뒷받침하더라도 그 사회적 활용을 중앙화된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기존 은행이나 중앙화된 거래소와 마찬가지로 크리스티나 소더비 같은 기존의 미술 경매소나 새로 생긴 NFT 마켓플레이스가 NFT 아트 거래를 중앙화할 수 있다. NFT 아트의 의사 아우라화는 예술계에서 벌어지는 정보 자본주의의 사유화 기제인 셈이다. 그리고 이를 추종하는 이들에 의해 NFT 아트의 투기가 확대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막기 위해 정부가 대증요법으로 중앙화된 규제를 강화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는 시장을 넘어서 사회 전체를 탈중앙화함으로써 시장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하려는 시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NFT를 통한 예술계의 탈중앙화는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잠재력을 보여주는 또다른 사례이다. NFT 아트는 그 시작이 바로 모든 일상 속에서 수많은 열린 공동체가 공유하는 경험의 가치를 인증하고, 소유에 구애 받지 않은 채 흔적의 아우라를 향유하며, 세분화된 취향을 반영한 창작을 지원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출처: 

박대민(2021). NFT 아트 : 예술계의 탈중앙화와 흔적의 아우라. <한국언론정보학회>. 109호. 127-152쪽. 

매거진의 이전글 NFT 아트와 흔적의 아우라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